$\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Premedical Education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9 no.3, 2017년, pp.115 - 120  

정한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양은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mportance of how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s organize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has not been evaluated at a fundamental level.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s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medical education as a univers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예과 교육의 기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학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기초, 의예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역사적으로 의예과 교육은 의학교육이 종합대학 교육체제로 편입되면서 기초과학과 자유인문교양 교육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 의료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의사의 역할이 탐색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예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할 것인지는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의예과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제안을 위하여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의예과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의예과 교육과 관련한 학술논문, 학술저서 및 연구보고서를 문헌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예과 기간이란 무엇인가? 의학교육 단계 측면에서 의예과 과정은 의학과 진입 전 단계를 의미한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는 이러한 의예과 기간을 의학교육 기본과정(basic medical education)을 이수하기 이전에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교양과 인성 함양을 위한 인문사회의학 교육, 그리고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과 기초적인 과학지식을 습득하는 기간이라고 정의하였다[1].
의예과와 의학과의 구분은 무엇에 근거하고 있는가? 의예과와 의학과의 구분은 고등교육법시행령 제25조에 근거하고 있다. 동법 25조는 “대학은 수업연한을 6년으로 하는 경우는 의과대학, 한의과대학, 치과대학 및 수의과대학으로 하며, 그 교육과정은 예과를 각각 2년으로, 의학과, 한의학과, 치의학과, 수의학과를 각각 4년으로 한다.
기초과학 및 실험교육에 대한 중요성의 강조는 의학교육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19세기 후반 미국은 유럽에서 유학한 의사들의 영향으로 의학의 토대가 되는 기초과학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기초과학 및 실험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8]. 이러한 강조는 의학교육에 두 가지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는 1870년 무렵부터 주요 의과대학들이 학생의 과학적인 사고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부학,화학, 생리학, 병리학 등의 실험실 과학을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에 새로운 과학지식과 임상내용에 대한 과목이 추가되면서 학생들은 이러한 기초과학을 실험실에서 직접 경험하면서 배우게 되었다[5,7]. 둘째는 과학과 실험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연과학 시험이 의과대학의 입학요건으로 요구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입학요건의 변화는 의과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기초과학 학습을 장려하게 되었다. 즉 일종의 의학교육 기본과정을 위한 예비교육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1874년 하버드 의과대학은 입학요건으로 학사학위 또는 기초과학 시험을 요구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AMC guideline for premedical education. Seoul: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7. 

  2. Wijnen-Meijer M, Burdick W, Alofs L, Burgers C, ten Cate O. Stages and transitions in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clarifying structures and terminology. Med Teach. 2013;35(4):301-7. 

  3. Nara N, Suzuki T, Tohda S.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in the world. J Med Dent Sci. 2011;58(2):79-83. 

  4. Yang EB, Hur JH, Lee HB, Ahn JH, Jeon WT, Ahn DS. A model curriculum proposal for global medical leader in the Songdo International Campu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2. 

  5. Hwang SI. Reform of medical education in United Stat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Flexner report. Korean J Med Hist. 1994;3(1):1-20. 

  6. Park JH. Medical education in United States. Am Stud. 2008;31(2):89-116. 

  7. Ludmerer KM. Learning to heal: the development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New York (NY): Basic Books; 1985. 

  8. Ludmerer KM. Time to heal: American medical education from the turn of the century to the era of managed car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9. Chambers DA, Cohen RL, Girotti J. A century of premedical education. Perspect Biol Med. 2011;54(1):17-23. 

  10. Fishbein RH. Origins of modern pre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1;76(5):425-9. 

  11. Muller D. Reforming premedical education: out with the old, in with the new. N Engl J Med. 2013;368(17):1567-9. 

  12. Kumar B, Swee ML, Suneja M. The premedical curriculum: we can do better for future physicians. South Med J. 2017;110(8):538-9. 

  13. Brieger GH. The plight of premedical education: myths and misperceptions: part II: science "versus" the liberal arts. Acad Med. 1999;74(11):1217-21. 

  14. Dalen JE, Alpert JS. Premed requirements: the time for change is long overdue! Am J Med. 2009;122(2):104-6. 

  15. Kanter SL. Toward a sound philosophy of pre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8;83(5):423-4. 

  16. Dienstag JL. Relevance and rigor in premedical education. N Engl J Med. 2008;359(3):221-4. 

  17. Korean Council for Medical School Dean. Futur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twenty-eighth medical education symposium; 1994 Jun 10-11; Asan, Korea. Seoul: Korean Council for Medical School Dean; 1994. 

  18. Kim YI, Yoon SD, Ahn YO, Koh YU.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medical program.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1992. 

  19. Han DS, Lee MS, Kim BW, Meng KH, Min DY, Ahn YO, et al. A study of professional medical school syste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997. 

  20. Gunderman RB, Kanter SL. Perspective: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 revisited. Acad Med. 2008;83(12):1158-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