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두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맛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aste Compounds and Organoleptic Preferences of Soy Sauce with Addition of Walnu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5, 2017년, pp.916 - 922  

최희은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범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호민 (세광고등학교) ,  김준협 (세광고등학교) ,  정성모 (세광고등학교) ,  이난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나율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organoleptic properties and taste components including free sugar,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with addition of walnut. Changes in total nitrogen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ddition of walnut. Amino type nitrogen content was decre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조간장의 품질향상과 다변화를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호두를 원료 대비 2, 4 및 6% 첨가하여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맛 성분과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호두 첨가에 따른 총 질소 함량은 4% 첨가구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호두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장의 원료를 다양화하여 고부가 양조간장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호두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맛 성분 변화와 관능적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조간장에 호두를 첨가함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양조간장의 품질향상과 다변화를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호두를 원료 대비 2, 4 및 6% 첨가하여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맛 성분과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호두 첨가에 따른 총 질소 함량은 4% 첨가구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호두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분석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및 lact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호두의 첨가에 따라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장은 어떤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양조간장은 한식간장, 고추장, 된장, 청국장과 함께 한국의 식생활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전통발효식품으로, 세균과 곰팡이의 자연발효에 의해 독특한 맛과 향을 생성하며, 수백 년간 소비되어왔다(Choi 등 2011). 간장에는 항암효과(Ito 등 1993), 항균 활성(Masuda 등 1998), 항산화 활성(Long 등 2000) 및 ACE 저해효과(Kimoshita 등 1993) 등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어 있는 식품학적 우수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반면, 간장의 품질 다양화와 고급화를 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콩은 어떤 성분을 공급하는가? 콩은 식물성 단백질과 지질의 주요한 공급원으로써 농업 사회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국가에 중요한 영양학적 가치를 제공하는 식품원료이다. 콩은 단백질, 지방산, 식이섬유와 탄수화물의 공급 외에도 이소플라본, 콩 사포닌과 비타민 E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을 공급하고 있다(Messina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356-363 

  2. Choi NS, Chung SJ, Choi JY, Kim HW, Cho JJ. 201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f mass produced vs. small scale farm produced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 Nutr 26: 553-564 

  3. Choi UK, Jeong YS, Kwon OJ, Park JD, Kim YC. 2011. Comparative study of qualt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oy sauce made with soybeans germin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Int J Mol Sci 12:8105-8118 

  4. Choi UK, Park JH. 2004. Evaluation of taste in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75-820 

  5. Chun SJ, Park YH. 1987.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walnut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19:134-139 

  6. Chung MJ, Jo JS, Kim HJ, Sung NJ. 2001. The components of the fermented soy saucd from gorosoe and bamboos sap, Korean J Food & Nutr 14:167-174 

  7. In JP, Lee SK, Ahn BK, Chung IM, Jang CH. 2002. Flavor improvement of chungkookjang by add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7-64 

  8. Ito A, Watanabe H, Basaran N. 1993. Effects of soy products in reducing risk of spontaneous and neutron-induced liver tumors in mice. Int J Oncol 2:773-776 

  9. Kim MK, Kim JS, Jo BS, Kim JH, Lee IC, Lee MS, Cho YJ. 2011. Functional properties of walnut in cosmetics. J Life Sci 21:858-864 

  10. Kim YH, Cha WS, Kim JS, Ryu SR. 1990. On the composition of triglyceride in the oil of walnut and pine nu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4:341-345 

  11. Kinoshita E, Yamakoshi J, Kikuchi M. 1993.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oy sauce. Biosci Biotechnol Biochem 57:1107-1110 

  12. Lee EJ, Kwon OJ, Choi UK, Son DH, Kwon OJ, Lee SI, Yang SH, Im MH, Kim DG, Chung YG. 2002.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85-90 

  13. Lee JJ, Lee DS, Kim HB. 1999. Fermentation pattern of cheonggukjang and g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Korean J Microbiol 35:296-301 

  14. Lee MS, Lee SH, Park SK, Bae DH, Ha SD, Song KB. 2004. Changes in quality of pine nuts and walnuts coated with protein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842-846 

  15. Long LH, Kwee DC, Halliwell B. 2000.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s used in Asian cookings. Free Radic Res 32:181-186 

  16. Masuda S, Hara-Kudo Y, Kumagai S. 1998.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s by soy sauce: A fermented seasoning. J Food Prot 61:657-661 

  17. Messina MJ. 1999. Legumes and soybeans: Overview of their nutritional profiles and health effects. Am J Clin Nutr 70: 439S-450S 

  18. Park HY, Choi HE, Jo YI, Choi UK. 2016.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by addition of walnut. Korean J Food Nutr 29:625-634 

  19. Park OJ. 1995. Studies on the nitrogen and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ce fermentation jars. M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 Park SY, Jang YJ, Kim EJ, Choi YH, Choi HS, Choi JH, Song 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Gastrodia elata during ferment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875-882 

  21. Soe, YH, Kim WH, Kim KM, Hwang TY, Son HS. 200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allergic effects of walnut oi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04-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