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kohlrabi-kimchi was prepared for assessment of changes in sensory qualities and measurement of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for the purpose of using kohlrabi as an ingredient of Kimchi. Examin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hl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국내산 콜라비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콜라비를 김치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콜라비 김치의 상품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항산화능 및 항암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고, 무에 비해 아삭한 식감과 단맛을 가진 콜라비(Brassicaoleracea var. gongyodes)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저장 중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 함량, pH,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색도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비란? 콜라비(Brassica oleracea var. gongyodes)는 양귀비목 배추과에 속하는 양배추과에서 분화된 채소로, 양배추에 비해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Cha & Lee 2013). 특히 콜라비 표면에는 보라색 색소성분인 anthocyanin 성분이 풍부하며, 그 외 carotenoid, glucosinolates와 같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아, 항암 및 항산화능이 높다고 보고되었다(Park 등 2012).
콜라비 김치의 저장 중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는? gongyodes)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저장 중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 함량, pH,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색도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경도는 저장 10일경 감소하였으며, 젖산균은 저장 5일차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외관, 신맛, 향,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 저장 15일차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콜라비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는 기능성과 기호성이 높아, 새로운 김치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으며, 콜라비와 같은 고부가가치 작물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비 표면의 특징은? gongyodes)는 양귀비목 배추과에 속하는 양배추과에서 분화된 채소로, 양배추에 비해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Cha & Lee 2013). 특히 콜라비 표면에는 보라색 색소성분인 anthocyanin 성분이 풍부하며, 그 외 carotenoid, glucosinolates와 같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아, 항암 및 항산화능이 높다고 보고되었다(Park 등 2012). 콜라비는 맛이 무와 비슷하지만, 무에 비해 매운맛이 적고 질감이 단단하여 생식 외에 피클 등에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 SS, Lee JJ. 2013.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y added with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994-2003 

  2.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 Critical Review Food Sci Nutr 342:175-184 

  3. Choi HS. 2005. Physiolog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Preserv 4:2-10 

  4. Choi SH, Ryu DK, Park SH, Ahn KG, Lim YP, An GH. 2010.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469-475 

  5. Han BR. 2004. 100 Kinds of Kimchi That We Really do Need to Know. Hyeonamsa. Seoul, Korea. pp.88 

  6. Hwang JW. Song YO. 2000. The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Kimchi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04-210 

  7. Jung SY, Lee JG. 2010. Functional varieties of vegetables foster present and future. J Korean Soc Seed Sci Ind 7:8-17 

  8. Kang SE. 2011. Season Kimchi of Kimchi Master Kang Soon-Eui. Joongang Books. Seoul, Korea. pp.54 

  9. Kim DG, Kim BK, Kim MH. 1994. Effect of reducing sugar content in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Soc Food Nutr 23:73-77 

  10. Kim HM. 2005.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occoli Kimchi.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Korea. pp.1-56 

  11. Kim HY, Kim BC, Kim MR. 200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akdugi added with various thickening agent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60-1067 

  12. Kim JH. 2013. A study on Kimchi consumption pattern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Kimchi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J Korean Soc Diet Cult 28:480-487 

  13. Kim MR, Park HY, Jun BM. 2001. Characteristics of Kakdugi radish cube by autumn cultivars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25-31 

  14. Kim MS, Lee HJ, Kang KO. 2008. Effects of mashed Maesil and Maesil extrac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226-233 

  15. Kim NY, Jang MS. 2000.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Korean J Soc Food Sci 16:75-83 

  16. Kim SD, Hawer WD, Jand MS. 1998.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free sugar,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23 

  17. Kim SD, Jang MS. 1997.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800-806 

  18.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1991.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188-191 

  19. Kim YA, Rhee SH, Jeong KO, Park KY, Moon SH. 2002.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acking method on the fermentation chacteristics of Kakdugi (diced radish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971-976 

  20. Kwon MJ, Chun JH, Song YS, Song YO. 1999. Daily Kimchi consumption and hypolipidemic effect in middle-aged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144-1150 

  21. Kwon MJ, Song YS, Song Yo. 1998. Antioxidative effects of Kimchi ingredienrs on rabbits fed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27:1189-1196 

  22. Lee CH, Hwang IJ, Hwang SY, Yoon EJ. 1988. Effects of K-sorbate, salt-fermented fish and $CaCl_2$ addition on the texture changes of Chinese cabbage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Diet Cult 3:309-317 

  23. Lee GY. 2013.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hlrabi pickle prepared with addition of vinegar.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Korea. pp.1-43 

  24. Lee JS, Lee YJ,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prepared with red paprik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3:64-71 

  25. Lee Sk, Shin MS, Jhong DY, Hong YH, Lim HS. 1989. Changes of Kimchis contained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68-74 

  26. Lee YO, Park KY, Cheigh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bee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261-266 

  27. Lee YS, Son HS, Rho JO, 2011. Changes in the quality of Baechu-Kimchi added with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7:59-70 

  28.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3-450 

  29. Mo EK, Kim JH, Lee KJ, Sung CK, Kim MR. 1999. Extension of shelf-life of Kakdugi by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4:786-793 

  30. Park BH, Cho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00-608 

  31. Park JE, Lee JY, Jang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006-1016 

  32.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1:169-182 

  33. Park SH, Im HS. 2008.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quality index and sensory index of Kakdugi. Korean J Culi Res 14:136-142 

  34. Park WP, Park KD, Kim JH, Cho YB, Lee MJ. 2000.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0-34 

  35. Park WT, Kim JK, Park S, Lee SW, LiX, Kim YB, Uddin MR, Park NI, Kim SJ, Park SU. 2012.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in Kohlrabi. J Agri Food Chem 60:8111-8116 

  36. Sul MS, Hwang SY, Park SH, Lee HJ, Kim JK. 2004.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with frozen mashed red pepp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436-443 

  37. Yang YJ, Han JS. 2005. Effect of the beet addition on the quality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38-543 

  38. Yi JH, Cho Y, Hwang IK. 1998.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14:1-10 

  39. Yu JS, Yu EH, Yeo JH, Kim JH, Ko KJ, Kim MR.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kakdugi added with various condiments. Chungnam J Human Ecol 13: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