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노인의 사회관계망이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Need for Lif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3, 2017년, pp.23 - 42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s used by the rural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social networks on the need for life servic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0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Korea. Among the total 1,000 respo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 노인들의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전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다중공선성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다중공선성으로 회귀분석에 왜곡을 줄 만큼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생활서비스 필요도 및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일부로써 사회관계망을 다루고 있을 뿐, 본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 친구/이웃, 지역사회 등의 포괄적인 사회관계망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노인들이 맺고 있는 사회관계망을 가족뿐만 아니라, 친구/이웃, 지역사회까지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사회관계망이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노인들이 맺는 사회관계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사회관계망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 가족관계, 친구/이웃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문성제 외(2017)는 의료관련 서비스에만 치중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의료(건강)관련 서비스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일상생활 전반에 필요한 서비스를 포괄하였으며,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비공식적 사회관계망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공식적 사회관계망도 포함하였다.
  • 이는 자녀와의 관계가 노년기에 특히 중요함을 의미하며, 자녀동거유무가 노인복지서비스필요도 및 이용의사에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자녀동거 유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비교 연구는 충분치 않았다. 따라서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자녀동거 유무에 따 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 노인들이 맺고 있는 사회관계망을 파악하고, 어떤 생활서비스를 필요로 하는지, 생활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약ㆍ정리하고 이에 따른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들이 맺고 있는 사회관계망을 파악하고, 사회관계망이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가족은 배우자 유무, 동거자녀 유무, 분가한 자녀와의 연락빈도, 사회적지지를 주고받는 정도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친구/이웃은 왕래빈도 및 사회적지지를 주고받는 정도, 지역사회는 경로당, 재가서비스, 노인복지관 이용 경험 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지는 청소, 식사준비, 세탁 등의 도구적 지원,간병, 수발, 병원동행 등의 신체적 지원, 경제적 지원 중 몇 가지 지원을 주고받는지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노인들의 변화나 욕구에 대응하기 힘들어지는 이유는? 전통사회에서는 한 마을에서 자녀들과 함께 평생을 살아가는 대가족 형태이었으며, 이웃 간의 교류도 활발해서 노년기에 나타나는 변화나 욕구들이 별로 문제시 되지 않았다. 하지만 산업화ㆍ도시화됨에 따라 핵가족화, 가족원 수의 축소, 맞벌이 가족, 개인주의 등으로 인해 더 이상 노인들의 변화나 욕구에 대응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없거나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가족의 지지가 없는 일부 노인들은 더욱 열악한 상황에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노년기에 접어든 노인들이 겪는 어려움은? 우리가 노년기에 접어들면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외관상의 변화, 신체 구조적인 쇠퇴, 만성질환 발병률의 증가 등과 같은 생물학적 변화, 우울증 경향의 증가, 성역할의 양성화, 내향성 및 수동성의 증가 등과 같은 심리적 변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상실과 같은 사회적 변화를 경험한다. 노인들은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의료적 욕구 외에도 일상적 기능 수행의 어려움, 이에 따른 수발문제,가족관계의 어려움 등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는 포괄적인 욕구상태에 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생애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보호와 수발을 요구한다.
노년기에 접하는 변화는? 우리가 노년기에 접어들면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외관상의 변화, 신체 구조적인 쇠퇴, 만성질환 발병률의 증가 등과 같은 생물학적 변화, 우울증 경향의 증가, 성역할의 양성화, 내향성 및 수동성의 증가 등과 같은 심리적 변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상실과 같은 사회적 변화를 경험한다. 노인들은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의료적 욕구 외에도 일상적 기능 수행의 어려움, 이에 따른 수발문제,가족관계의 어려움 등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는 포괄적인 욕구상태에 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생애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보호와 수발을 요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유진.강효진(2005).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 및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98년 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8, 255-294. 

  2. 강은나.김혜진.정병오(2015). 후기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6(2), 229-255. 

  3. 김동배.유병선(2013).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1), 105-123. 

  4. 김민희.김성희(2012). 섬 지역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 한국도서연구, 24(1), 95-117. 

  5.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6.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7. 김영범.박준식(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8. 난탄시청 홈페이지. http://www.city.nantan.kyot o.jp/www/index.html. 

  9. 남기민(2006).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 서울: 양서원. 

  10. 문성제.손민성.윤희수.최만규(2017).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의료기관 이용 간의 관련성: 노인복지 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17(5), 479-490. 

  11. 민기채.이정화(2008).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 제공이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3), 515-533. 

  12. 박경숙(2003).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경향에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5, 283-307. 

  13. 박미석(2005). 우리나라 노인복지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노후생활준비와 노인 복지서비스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5. 

  14. 박영란.박경순(2013).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노인복지연구, 60, 323-352. 

  15. 백옥미(2011).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앤더슨모델의 적용.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8, 1-27. 

  16. 백학영.윤민석(2007). 서비스 접근성이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10, 219-225. 

  17. 백학영.윤민석(2007). 서비스 접근성이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세계학술대회, 10, 219-225. 

  18. 서선희.임희경(2004). 농촌 노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4(1), 179-203. 

  19. 석재은.장은진(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 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20. 오인근.오영삼.김명일(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21. 윤현숙(2001). 노인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및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1(2), 141-161. 

  22. 이가옥.이미진(2001).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2), 113-124. 

  23. 이미애(2005).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시설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7, 29-47. 

  24. 이미영.조희금.최윤지(2016). 농촌독거노인의 생활안전서비스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 43-60. 

  25. 이민아(2004).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일상생활 지원서비스 작업흐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91-105. 

  26. 이인정(2004).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 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183-205. 

  27. 이재모.이신영(2006).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203-222. 

  28. 이정화.한경혜(2003).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09-238. 

  29. 이혜원(1995). 서울시 거택보호노인의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노년학, 15(2), 140-156. 

  30. 임소영.강민아.조성일(2013).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59, 281-308. 

  31. 장영은.김신열(2014). 자녀와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9, 1-29. 

  32. 정경희(1995).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2), 52-68. 

  33. 정순돌.문진영.김성원(2010).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30(4), 1145-1161. 

  34. 조성희(2003). 방문간호대상노인의 가족자원 특성과 서비스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충남 아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 155-178. 

  35. 최성수.이가람.이성민(2008).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2), 291-307. 

  36. 최용민.이상주(2003).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2, 193-217. 

  37. 최정아.서병숙(1992).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원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2(1), 65-78.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2011년 노인실태 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 노인실태 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8). 고령화사회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서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1. 宮本太? 編(2014). 地域包括ケアと生活保障 の再編?新しい 支え合い?システムを創る. 東 京: 明石書店. 

  42. Brunette, D. & Mui, A. C.(1995). In-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 Utilization by Three Group of Elderly Hispanics: A National Perspective. Social Work Research, 19(4), 197-206. 

  43. Hoyt, D. & Babchuk, N.(1983). Adult Kinship Networks: the Selective Formation of Intimate Ties with Kin. Social Forces, 62(1), 84-101. 

  44. Kraut, J. A.(1983). Correlates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Research on Aging, 5(3), 339-353. 

  45. Logan, J. R. & Spitze, G.(1994).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by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49(1), 25-34. 

  46. Ron, P.(2009). Seeking help from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mong, elderly single women. Journal of Women & Aging, 21, 279-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