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3, 2017년, pp.141 - 159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child characteristics, and time use. A series of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on children's time use in two-parent families based on the 2013 Korean Chil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사용 연구의 조사대상이 성인에 집중되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시간사용 연구의 조사대상이 성인에 집중되었던 이유 중 하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시간일 지법 등)이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고, 연구에 사용가능한 시간조사 자료들(국민생활시간조사 등)에서 성인을 추출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고선강ㆍ김영순, 2015; 서종수ㆍ조희금, 2015). 최근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간을 조사한 자료들이 공개되었고, 이를 기초로 한 아동의 시간사용 연구들(강한나ㆍ박혜원, 2013; 고선강ㆍ김영순, 2015; 김지희, 2012; 박정윤ㆍ전유진, 2016; 정혜지ㆍ주은선, 2017)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아동의 수면시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수면시간은 학습시간이나 여가시간과 비교하여 아동이 자율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적은 생리적 시간에 속하여 가족자원경영학의 생활 시간 연구에서는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다. 그러나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적정한 수면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의학계에서는 아동의 생활에서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는데, 수면은 아동의 물리적 성장, 행동 발달, 감정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 기능, 학습, 주의력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최용락 외, 2009) 미국 수면재단(American Sleep Foundation)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적정 권장수면시간을 9시간~ 11시간 사이로 권고하였다. 최근 미국수면의학회(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는 소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적정 수면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는데, 학령기 아동의 적정 수면시간은 9시간~12시간으로 권고하였다(Paruthi et al.
아동 시간사용 연구의 부족이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조사대상의 편중은 가정자원으로서 시간에 대한 이해가 성인 중심의 협소하고 제한적인 범위에 국한되는 결과를 낳았고, 이에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김외숙, 2015; 서종수ㆍ조희금, 2015). 또한 아동 시간사용 연구의 부족은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관계를 지향하는 건강가정의 관점에서 가정의 시간자원관리 의사결정에 아동의 시간 사용에 대한 고려가 소홀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형성을 위해 가사노동시간 연구 결과들이 활용되어 왔다면, 부모 자녀 간의 민주적인 가족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성인의 시간사용 연구뿐만 아니라 아동의 시간사용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인자.김혜연. (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2. 강한나.박혜원(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613-622. 

  3. 강현구.정수지.이순형(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청소년의 유형별 학업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004년 추계학술 대회, 144-146. 

  4. 고선강.김영순(2015). 아동의 생활시간과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115-127. 

  5. 김경호(2017). 고등학생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제5차 년도 자료의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9(1), 57-84. 

  6. 김외숙(2015). 가족자원경영학에서의 시간사용 연구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13-28. 

  7.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8. 김지희(2012).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 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50(8), 13-19. 

  9.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10. 서종수.조희금(2015). 시간연구의 트렌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47-56. 

  11. 서지원(2015). 맞벌이가정의 시간사용 실태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87-103. 

  12. 이수진(2015). 부모 자녀 간 시간에 관한 규칙 유무에 따른 일본 중학생의 시간관리 행동 및 시간사용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55-70. 

  13. 정은주.장미(2014).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V: 기초분석보고서-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 정혜지.주은선(2017).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교 밖 학업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3(1), 81-116. 

  15. 조희금(2016).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 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49-68. 

  16.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17. 천희영(2015).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18. 최용락.서완석.성형모.구본훈.김경근. 김소연.최소정.이종훈(2009). 아동 수면 양상과 관련된 지역별 사회, 환경적 요인들.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80-87. 

  19.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보도자료, 2015.6.29.). 

  20. BaHammam, A., Bin Saeed, A., Al-Faris, E., & Shaikh, S. (2006). Sleep duration and its correlates in a sample of Saudi elementary school children. Singapore Medical Journal, 47, 875-881. 

  21. Harvey, A., & Mukhopadhyay, A. (2007). When twenty-four hours is not enough: Time poverty of working par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2, 57-77. 

  22. Kalenkoski, C. M., Hamrick, K. S., & Andrews, M. (2011). Time poverty thresholds and rates for the US population. Social Indicator Research, 104, 129-155. 

  23. Lewin, D., Wolfson, A., Bixler, E., & Carskadon, M. (2016). Duration isn’t everything. Healthy sleep in children and teens: Duration, individual need and timing.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12(11), 1439-1441. 

  24. Matricciani, L., Blunden, S., Rigney, G., Williams, M., & Olds, T. (2013). Children's sleep needs: is there sufficient evidence to recommend optimal sleep for children? Sleep, 36, 527-534. 

  25. Owens, J., Maxim, R., McGuinn, M., Nobile, C., Small, M., & Alario, A. (1999). Televisionviewing habits and sleep disturbance in school children. Pediatrics, 104, e27. 

  26. Paruthi, S., Brooks, L., D’Ambrosio, C., Hall, W.A., Kotagal, S., Lloyd, R.M., Malow, B.A.,Maski, K., Nichols, C., Quan, S.F., Rosen, C.L., Troester, M.M., & Wise, M.S. (2016). Recommended amount of sleep for pediatric populations: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12(6), 785-786. 

  27. Ringhofer(2015). Time, labour, and the household: measuring “time poverty” through a gender lens. Development in Practice, 25(3), 321-332. 

  28. Strauch, I., & Meier, B. (1988). Sleep need in adolescents: a longitudinal approach. Journal of Sleep Research & Sleep medicine, 11(4), 378-386. 

  29. Van den Bulck, J. (2004). Television viewing, computer game playing, and internet use and self-reported time to bed and time out of bed in secondary-school children. Sleep, 27, 101-104. 

  30. Zilanawala, A. (2014). Women's time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Differences by parenthood and employ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