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情意)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4, 2017년, pp.287 - 303  

도주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  백석윤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수학 학습과 관련하여 정의적인 면에서 갖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Hannula(2012)가 수학 학습자 개인의 정의적 요인 분석을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조사 대상 학생의 성취 수준, 학년, 성별에 따라 기술통계 및 일원분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정의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일 설문지로 이미 핀란드와 칠레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년 변인이 정의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의적 요인의 인지와 동기 측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 결과와 우리나라, 칠레, 핀란드 3개국의 초등학생들 사이에 나타나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특성 면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초등교사로 하여금 정의적인 면에서의 수학 수업 개선에 필요한 방법론적 고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e us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nnula (2012) to measure elementary students' beliefs and affective factors about mathematics based on the emotional, cognitive, and motivational dimension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활동에 나타나는 정의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핀란드와 칠레 초등학생의 수학학습 관련 정의적 구조 비교분석시 사용된 동일 설문지(Hannula & Laakso, 2011;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Giaconi et al., 2016)를 사용하여 수학 성취 수준별, 학년별, 성별에 따라 정의적 요인 면에서의 분석과 함께 각 요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 2014b)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들 연구 결과로부터 정의적인 면에서의 초등 수학 수업 개선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Hannula(2012)가 학습자 개인의 정의에 대해 구분한 정서, 인지, 동기 차원의 정의적 요인들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Hannula& Laakso, 2011; 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 Giaconi et al., 2016)를 활용하여 수학성취 수준별, 학년별, 남녀 성별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이 갖고 있는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수학 문제해결에서의 신념에 대한 규정 및 측정과 관련된 연구(권미연⋅전평국, 1999)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수학적 신념 면에서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 외에는 몇 안 되는 연구이지만(김부미, 2011, 2012; 김도연⋅김홍찬, 2013; 이종희 외,2011) 주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활동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정의적 요인이 특히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볼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초등학생이 핀란드와 칠레보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요인들 사이에 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이유는? 즉, 핀란드나 칠레의 초등학생에 비해 우리나라 초등학생에게 수학에 대한 정의적요인들 사이에 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가 서양 또는 라틴 문화권과는 다른 동양 문화권 특유의 정의적, 문화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은 그 나라의 문화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이라는 점에서 한 가지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이러한 문화적 특성과 함께 PISA와 TIMSS의 수학 성취도 역시 초등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갖게 되는 정의적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세 국가 중 가장 수학 성취도가 높은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은 개수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 보였으며, 가장 낮은 수학 성취도를 보인 칠레의 초등학생들에게서는 가장 적은 개수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으므로 수학 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초등학생일수록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들 간의 연관성도 많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의적 측면에서의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 설문지에,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으로 무엇을 사용했는가?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인 ‘능력’, ‘자신감’, ‘수학의 어려움’, ‘수학의 즐거움’, ‘숙달 목표 지향’, ‘노력’ 요인 각각에 대해서 수학 성취도가 높은 초등학생들이 낮은 초등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수학 성취도가 초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요인 및 신념과 밀접한 관계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러 정의적 요인들 중에서도, 신념이 문제해결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는 이유는? 이와 같은 정의적 요인들 중 신념 요인이 갖는 특이성에 주목하며 Goldin(2002)과 Cobb, Yackel, &Wood(1989)는 신념의 특성을 인지적-정의적 형태로 파악하고 개인적 신념과 사회적(문화적) 신념으로 구분하였다. 신념은 이와 같이 정서와 태도가 함께하는 인지적-정의적 측면 때문에 그리고, 학생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나 수학적 과제에 참여하려는 의지, 그리고 근본적인 수학적 성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NCTM, 1989, p. 233), 여러 정의적 요인들 중에서도 문제해결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미연.전평국 (1999). 초,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8, 189-207. (Kwon, Mi yeon and Jeon, Pyung Kook (1999). Analysis of factors of mathematical belief form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social norms of the classroom.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8, 189-207.) 

  2. 김도연.김홍찬 (2013).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및 수학적 개념, 수학적 절차에 대한 이해 정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4), 499-521. (Kim. Do Yeon and Kim, Hong Chan (2013).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3e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Elief about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al Concepts, Maathematical Procedur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499-521.) 

  3. 김부미 (2011). 수학 문제해결 신념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4(1), 229-255. (Kim, Bumi (2011). Instrument Development fo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Belief. The Journal of Curriculumand Evaluation 14(1), 229-255) 

  4. 김부미 (2012).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Kim, Bumi (2012).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2), 229-259) 

  5. 안윤경.김선희 (2011).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3), 295-311. (Ahn, Yoon Kyeong, Kim, Sun Hee (2011). The Variation of Emo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4(1), 229-255.) 

  6.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 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2), 247-261. (Lee, Chong hee, Kim, Sun Hee, Kim, Soo jin, Kim, Ki yeon, Kim, Bu mi, Tun, Soo cheol, Kim, and Yun min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7. Cobb, P., Yackel E., & Wood, T. (1989). Young children's emotional acts while engaged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D. B. McLeod & V. M. Adams (Eds.),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118-148. New York: Springer-Verlag. 

  8. DeBellis, V. A., & Goldin, G. A. (1997). The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In: E.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PME 21, Vol. 2, 209-216. 

  9.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10. Furinghetti, F. & Pehkonen, E. (2002). Rethinking characterizations of belief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39-57. Dordrecht: Kluwer. 

  11. Giaconi, V., Varas, M. L., Tuohilampi, L., & Hannula, M. (2016). Affective Factors and Beliefs About Mathematics of Young Chilean Children: Understan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In P. Felmer, E. Pehkonen, & J. Kilpatrick (Eds.), Posing and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37-51. AG Switzerland: Springer. 

  12. Goldin, G. A .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59-72. Dordrecht: Kluwer. 

  13. Hannula, M. S. (2011).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ffect i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In M. Pytlak, T. Rowland & E. Swoboda (Eds.), Proceedings of Seven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60. Rzeszow, Poland: ERME. 

  14. Hannula, M. S. (2012). Exploring new dimensions of mathematics-related affect: Embodied and social theorie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4(2), 137-161. 

  15. Hannula, M. S. & Laakso, J. (2011). The structure of mathematics related beliefs, attitudes and motivation among Finnish grade 4 and grade 8 students. In B. Ubuz (Ed.), Proceedings of the 35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3, 9-16. Ankara, Turkey: PME. 

  16. Hart, L. E. (1989). Describing the affective domain: saying shat we mean. In D. B. McLeod & V. M. Adams (Eds.),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37-45. New York: Springer-Verlag. 

  17. Lester, F. K., Garofalo, J., & Kroll, D. L. (1989). Self-confidence, interest, beliefs, and metacognition: Key influences on problemsolving behavior. In D. B. McLeod & V. M. Adams (Eds.),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75-88. New York: Springer-Verlag. 

  18.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19.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575-596. New York: Macmillan. 

  20. McLeod, D. B. (1994). Research on affect and mathematics learning in the JRME: 1970 to the pres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6), 637-647. 

  21. Moscucci. M. (2010). Why is there not enough fuss about affect and meta-affect among mathematics teacher? Proceedings of the CERME-6. 1811-1820 

  22.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 Hooper, M. (2016). TIMSS 2015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ent Center website: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5/international-results/download-center/ 

  23.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24. Op't Eynde, P., De Corte, E., & Verschaffel, L. (2002). Framing students' Mathematics-related beliefs: A quest for conceptual clarity & a comprehensive categorization.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13-37. Dordrecht: Kluwer. 

  25. Schoenfeld, A. H. (1983). Beyond the purely cognitive: Belief systems, social cognitions, and metacognitions as driving forces in intellectual performance. Cognitive Science, 7, 329-363. 

  26.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27. Silver, E. A.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research for mathematics problem-solving instruction.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33-60. NJ: Hillsdale. 

  28. Tuohilampi, L., Hannula, M. S., Giaconi, V., Laine, A., and Naveri, L. (2013). Comparing the Structures of 3rd Graders' Mathematics-related Affect in Chile and Finland. In Proceedings of the Eigh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CERME8). Antalya: ERME. 

  29. Tuohilampi, L., Hannula, M. S., & Varas, L. (2014a). 9-year old students' self-related belief structures regarding mathematics: a comparison between Finland and Chile. In M. Hannula, P. Portaankorva-Koivisto, A. Laine, & L. Naveri (Eds.), Proceedings of the 18th conference of the mathematical views, 15-26. Helsinki, Finland: MAVI. 

  30. Tuohilampi, L., Hannula, M. S., Varas, L., Giaconi, V., Laine, A., Naveri, L., & Nevado, L. S. I. (2014b). Challenging the Western approach to cultural comparisons: Young pupils' affective structures regarding mathematics in Finland and Chil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3(6), 1625-1648. 

  31. Tuohilampi, L., Laine, A., Hannula, M. S., & Varas. L. (2016). A Comparative Study of Finland and Chile: the Culture-Dependent Significance of the 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Levels of the Mathematics-Related A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 1093-1111. 

  32. Yildrim, A. K. (2006). Description of students' beliefs on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Bogazici University, Istanbul, Turk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