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도전적 평가와 방해적 평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Impact of Job Rotation Stress in Nurs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hallenge Assessment and Hindranc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373 - 381  

이한나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민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한정원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 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이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8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의 경로계수를 검증한 결과,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도전적 스트레스 평가,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도전적 스트레스 평가,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 효과가 있었으며,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는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직무순환을 경험하며 도전적인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방해적인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간호조직의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간호조직은 간호사에게 직무 순환이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조직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d verify a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the factors and pathway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orking in four general hospitals with over 200 beds in B city and G province. The results of verify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 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경로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 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로 직무순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특히 병원 조직의 인적 관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순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더욱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azarus와 Folkman [11]의 스트레스 대처 이론을 기초로 외생변수를 직무순환 스트레스로 포함하고 내생변수로 도전적 스트레스 평가, 방해적 스트레스 평가, 심리적 안녕을 포함하여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설문조사 전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에 대해 서면을 통해 설명하였으며, 연구목적 이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과 대상자의 익명성, 비밀보장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으면 설문조사를 거절하거나 설문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간호사는 의료기관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의료인으로, 병원조직은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 다양한 인력관리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은 간호사가 동료 및 환자들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질 높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적으로는 직무만족도 향상 및 이직률 감소와 같은 긍정적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조직에서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인적 관리 방안들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1]. 최근에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하여 직무순환 스트레스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데[2-3], 전통적으로 직무순환은 다양한 직무 기술을 배우는 교육의 기회가 되며[4], 한 부서에서 반복되는 직무 할당으로 인해 발생하는 권태를 완화시키고, 열정과 동기를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5-8].
직무순환의 부정적인 면은? 최근에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하여 직무순환 스트레스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데[2-3], 전통적으로 직무순환은 다양한 직무 기술을 배우는 교육의 기회가 되며[4], 한 부서에서 반복되는 직무 할당으로 인해 발생하는 권태를 완화시키고, 열정과 동기를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5-8]. 그러나 직무순환은 원치 않은 부서 이동, 새로운 업무 적응의 어려움, 새로운 업무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의 부담감, 소속감 결여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간호사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직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9-10]. 간호사에게 직무순환이 스트레스가 되는지의 판단은 간호사가 그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고 대처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도 연결된다.
간호사의 직무순환에서 긍정적인 면은? 간호사의 직무순환 스트레스를 분석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정확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국내에서 직무 순환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7]에서 직무 순환이 긍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일으킨다는 보고와 일치한다. 특히 Shin[27]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직무 순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직무 경험을 증가시킨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는 직무순환을 새로운 기술 습득 기회로 삼고, 자신에게 적합한 업무를 찾기 위한 기회로 삼는 것으로 사료 된다. 이는 직무순환이 도전적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개인의 발전과 성취를 위한 도전으로 삼아 긍정적 감정과 행동을 일으킨다는 선행연구[12-13]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간호 관리자는 직무 순환을 인력 관리를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M. Kang, S. H. Ba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2, no. 3, pp. 185-194, 2015. DOI: http://10.5953/JMJH.2015.22.3.185 

  2. S. Stites-Doe, "The New Story about Job Rotatio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 10, no. 1, pp. 86-87, 1996. DOI: http://10.5465/AME.1996.9603293224 

  3. W. H. Ho, C. S. Chang, Y. L. Shih, R. D. Liang, "Effects of job rotation and role stress among nurs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no. 1, pp. 1-10, 2009. DOI: http://doi.org/10.1186/1472-6963-9-8 

  4. T. Eriksson, J. Ortega, "The adoption of job rotation: Testing the theories", Industrial and Labour Relations Review. vol. 59, no. 1, pp. 653-666, 2006. DOI:http://hdl.handle.net/10016/7627 

  5. H. F. Huang, M. L. Liao, Z. M. Thou, "An empirical study on relativity among job ro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5, no. 1, pp. 107-129, 2005. 

  6. C. S. Chang, S. C. Tai, Y. L. Shih, "Job rot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ing staff",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Health Science. vol. 10, no. 1, pp. 15-26, 2008. 

  7. C. Jaturanonda, S. Nanthavanij, P. Chongphaisal, "A survey study on weights of decision criteria for job rotation in Thailand: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17, no. 1, pp. 1834-1851, 2007. DOI: http://dx.doi.org/10.1080/09585190600965324 

  8. M. Jorgensen, K. Davis, S. Kotowski, P. Aedla, K. Dunning, "Characteristics of job rotation in the Midwest US manufacturing sector. Ergonomic", vol. 48, no. 1, pp. 1721-1733, 2005. DOI: http://dx.doi.org/10.1080/00140130500247545 

  9. J. Ortega, "Job rotation as a learning mechanism" Management Science. vol .47, no. 1, pp. 1361-1370, 2001. DOI: http://doi.org/10.1287/mnsc.47.10.1361.10257 

  10. S. Huang, Y. H. Lin, C. C. Kao, H. Y. Yang, Y. L. Anne, C. H. Wang, "Nursing job rotation stres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 13, no. 1, pp. 114-122, 2016. DOI: http://https://doi.org/10.1111/jjns.12095 

  11. R. S. Lazarus,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12. W. R. Boswell, J. B. Olson-Buchanan, M. A. LePine,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work outcomes: The role of felt challenge, job control, and psychological strai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4, no. 1, pp. 165-181, 2004. DOI: http://doi.org/10.1016/S0001-8791(03)00049-6 

  13. J. A. LePine, N. P. Podsakoff, M. A. LePine, "A meta-analytic test of the challenge stressor-hindrance stressor framework: An explanation for inconsistent relationships among stressor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8, no. 5, pp. 764-775, 2005. DOI: http://10.5465/AMJ.2005.18803921 

  14. M. A. Cavanaugh, W. R. Boswell, M. V. Roehling, J. W. Boudreau,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elf-Reported Work Stress Among U. S. Manag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5, no. 1, pp. 65-74,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5.1.65 

  15. N. P. Podsakoff, J. A. LePine, M. A. LePine, "Differential challenge stressor-hindrance stressor relationships with job attitudes, turnover intentions, turnover, and withdrawal behavior: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2, no. 2, pp. 438-454, 2007. DOI: http://10.1037/0021-9010.92.2.438 

  16. M. W. Baek,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0, no. 2, pp. 81-89, 2007. 

  17. B. S. Kim, S. H. Yoon, "New Graduate Nurses' 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2, no. 3, pp. 491-500, 2006. 

  18. E. Y. Lee, and N. H. Kim, "Relationship among nurses' attitude on job ro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1, no.2, pp. 154-163, 2012. DOI: http://10.5807/kjohn.2012.21.2.154 

  19. K. S. Kim, "AMOS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Academy, Seoul, 2004 

  20. J. W. Han, B. E. Yang, B. N. Le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Nurse Job Rotation Str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2, no. 3, pp. 352-358, 2016. 

  21. J. R. Webster, T. A. Beehr, K. Love, "Extending the challenge-hindrance model of occupational stress: The role of appraisa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9, no.2, pp.505-516, 2011. DOI: http://doi.org/10.1016/j.jvb.2011.02.001 

  22.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7, no. 6, pp. 1069-1081, 1989.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7.6.1069 

  23. M. S. Kim, H. W. Kim, "Analyses o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and Relationship between PWB and Subjective Well-Being(SWB) among Korean Marri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5, no. 1, pp. 27-41, 2000. 

  24. Y. J. Cho,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on elderly women's subjective well-being : an application of the demand- control-support model",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7. 

  25. S. H. Shim, "Factor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at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17. 

  26. J. F. Hair, W. C. Black, B. Babin, R. E. Anderson, R. L. "Tathan,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U: Pearson Prentice Hall. pp. 217, 2006. 

  27. S. Shin, M. Yoo, "A Model for Predicting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Experiencing Ro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7, no. 4, pp. 551-561, 2017. DOI: http://doi.org/10.4040/jkan.2017.47.4.5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