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 그룹스터디룸 계획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Importance-satisfaction of Interior Space in University Group Study Roo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745 - 755  

신은경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위한빈 (칭화대학교 건축학과) ,  김세용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 캠퍼스는 시대적 흐름과 학생들의 생활패턴 변화 등의 다양한 공간 계획적 이슈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물리적 공간의 지속적인 변화는 대학의 경쟁력 확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된 구성원인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학생들의 학습 방법은 기존의 개별 학습 형태를 벗어나 여러 명이 모여 토론하는 그룹형 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시설 및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재가공해야하는 새로운 유형의 과제가 등장하고 있어 관련된 설비 또한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독립된 공간이 각 대학에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그룹스터디룸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내 조성된 그룹스터디룸들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 계획요소가 실제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IPA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대학 내 시설들에 대한 건축적 이슈를 도출하여 각 대학별로 활용 가능한 디자인 요소들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y campuses try to satisfy students' demands. Therefo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niversity campuses keeps changing. Due to the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and shortage of school build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cilities and create new space in the campus, 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대학에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의 건축계획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에서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룹스터디룸과 관련된 지표는 크게 세 가지 성격으로 구분되는데, 1)스터디룸 공간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접근성’, 2)학습공간의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내부 환경’, 3)그룹스터디룸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구성’ 이다.
  • 기존에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들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대학 내 조성되는 신 학습공간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 그룹 스터디룸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 등장은 이용자들의 학습 효율을 높이고,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을 위해 기존의 학습공간과는 다른 시설적 특징을 지닐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룹 스터디룸이 기존의 학습공간과 어떠한 차별성이 있는지를 찾아보고, 공간 계획요소가 실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용자 입장에서의 그룹 스터디룸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향후 대학 내 유사시설의 계획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그룹 스터디룸 예약 및 사용과 관련된 공간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두 부분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생각하는 ‘중요도’ 및 실제로 ‘만족도’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연구 흐름은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서관과 같은 대학 내 주된 학습공간에 대한 실내 환경이 어떠한 계획요소를 지니는지 도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또한 현장 조사를 통해 그룹 스터디룸의 계획요소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장조사시 파악된 사용현황을 근거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 내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분석을 만족도, 중요도의 관점에서 실시하였다.
  •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장조사시 파악된 사용현황을 근거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 내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분석을 만족도, 중요도의 관점에서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어떠한 방식으로 공간계획에 반영할 것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에 대해 실내 공간 및 접근성 분석을 통하여 공간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우선 현장조사를 통하여 대학 내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들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하여 이들의 상호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스터디룸이라는 대학 내 새로운 학습공간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공간을 실제 사용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예약 및 사용에 관련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공간 계획요소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시각에서의 그룹스터디룸에 대한 만족요소 및 중요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고, 계획요소 측면에서 이들 요소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 그룹 스터디룸의 실내 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관한 연구는 위한빈(2015)이 유일한 연구라 할 수 있다[6]. 이 연구에서는 K대학 내 조성된 스터디룸들에 대한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각 스터디룸들의 실내 공간이 어떠한 구성을 보이는지, 이에 따른 이미지가 어떻게 도출되는지 살펴보고 있다. 따라서 대학 내 스터디 룸 공간이 어떠한 요소로 조합되는지 계획요소 추출이 가능하다.
  • 또한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및 학습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이 접근성, 내부 환경, 시설물 정도라는 계획요소에 따라 어떠한 중요성을 지니며, 어느 정도 이용자를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룹 스터디룸이 기존의 학습공간과 어떠한 차별성이 있는지를 찾아보고, 공간 계획요소가 실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용자 입장에서의 그룹 스터디룸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향후 대학 내 유사시설의 계획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에 조성된 그룹 스터디룸들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대학 내 조성되는 신 학습공간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터디룸 내부환경 요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2가지는? 스터디룸 내부환경 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실내 마감재료(벽체, 카펫 등), 차음 정도, 공간 색상, 환기 장치 유무, 창문 유무, 개별 조명 유무, 조명 개별제어 가능여부, 냉난방 시설 유무, 냉난방 제어 가능여부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공간계획 요소들이 중요다다고 분석되었다. 냉난방시설의 유무의 중요도는 1.55로 가장 중요하다고 분석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차음 정도’가 1.65점으로 차선으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공간 색상은 2.
본 연구에서 그룹스터디룸의 정의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룹 스터디룸은 토론을 위한 공간이어야 하며, 다양한 학습행태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들이 구비된 공간’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①동시에 여러명이 이용할 수 있는 캠퍼스 내 공간이고, ②이용자 간의 자유로운 토론과 대화가 허용되며, ③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 그룹 스터디룸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룹 기반의 활동은 어떤 것이 있는가? 윤미지(2007)의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국내 대학들이 도서관 리모델링 및 신축을 통해 이용자들이 공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그룹스터디룸(Group Study Room)이나 세미나룸(Seminar Room)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유형의 학습공간이 대학교 내에 조성 되고 있다고 하였다[2]. 이는 학생들의 취업 및 졸업과 연계된 공모전, 언어학습, 면접 준비 등의 그룹 기반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고, 멀티미디어 시설이 필요해지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대학 내 새로운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그룹으로 구성한 후, 모여서 학습·토론하거나 정보를 교류하는 현상은 청년 취업난으로 인한 졸업 전 스펙 쌓기와도 연계되는 사회적 현상을 수용한다고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ong, H, "A Study on the University Professors' Intention of Knowledge Sharing", Management Research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vol. 23, no. 1, pp. 109-137, 1999. 

  2. Yun, M, "Assessing a potential of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commons for facilitating knowledge creation",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07. 

  3. Kim H, "The effects of utilizing an outside-class study group o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learning, and college learners' perceptions", Modern English Education, vol. 14, no. 3, 2013. 

  4. Lee, C., Choi, S. & Park, K, "A Study on the Plan Type of Reading-room in the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Construction Technology, vol. 18, no. 1, pp. 55-75, 1998. 

  5. Lee, Y., Park, K., Kim, B,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University Library", Korea Biblia, Vol,23, no. 2, pp. 133-150, 2012. DOI: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2.133 

  6. Wei, H., Shin, E., Kim, S, "A Study on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Study Room at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22, no. 1, pp. 13-23, 2015. DOI: https://doi.org/10.7859/kief.2015.22.1.013 

  7. Shin, J., Kim, D., Lee, S,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Rest Spaces at University campus -Focused on Major National Universit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4, no. 3, pp. 1229-6163, 2012. 

  8. Kim, S., Lim, H, "A study on the space design for reading rooms in a college library", Design Convergence Study, vol. 11, no. 5, pp. 243-257, 2012. 

  9. Min, D, "A Study on space betterment of University Library to improve satisfaction",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8. 

  10. Chang, A,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4. 

  11. Hammit, W. E., Bisler, R. D. N, Francis, P, "Going Beyo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influence of park impacts",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m Administration, vol. 14, no. 1, pp. 45-62, 1996. 

  12. Martilla, J. A., James, J. 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 41, no. 1 pp. 77-79, 1977. 

  13. Kim, K., Min, D, "A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the Space Factor of Prominent University in 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14, no. 2, pp. 34-4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