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문제기반 과학 탐구과제 평가준거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Online Problem-Based Science Lear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5, 2017년, pp.879 - 889  

최경애 (중부대학교) ,  이성혜 (한국과학기술원) ,  채유정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제기반 탐구학습으로 설계된 초등학교 및 중학교 온라인 과학 과목을 대상으로 고차적인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문제에 대해 목표 분류학에 기반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사고력을 도출하고 이를 구조화함으로써 평가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준거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 연구 및 문헌분석,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6개의 평가요소 즉, 지식, 논리 분석적 사고, 비판적 사고, 탐구능력,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평가요소의 정의, 하위 요소 및 평가 기준 등을 연구진이 수립하였고 2차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개발된 평가 기준안을 실제 온라인 탐구 과제 24종에 적용하여 과제별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정, 보완할 영역을 도출하고, 개선하여 최종 평가 기준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기준안은 평가문제가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과 함께 그 문제가 요구하는 사고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내용 영역의 학습과 함께 사고기능의 개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준거가 될 것이며,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 방법과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등의 핵심역량을 요구하는 교육 현장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research reports on online science inquiry problems that promote thinking abilities. The steps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동안 흔히 사용되었던 동영상 강의 중심의 수업과 달리 학생들이 스스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관련 지식을 활용하고 논리적, 분석적으로 자료를 구조화하고,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의 문제기반 탐구학습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들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제출한 보고서를 사고력의 관점에서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 과제 문항 분석 및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수행하고 6개의 사고력 중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각 평가요소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하위 요소를 명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4점 척도의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가 수행된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은 수학과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보이는 잠재성 있는 초등학생에게 과학적 탐구 기회를 제공하고 고차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프로그램은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지닌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통해 해당 학년의 과학 내용에 대해 심화 학습을 수행하고 문제해결을 통해 고차적 사고력을 계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개발되었다.
  • 본 연구는 고차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해 개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과제물을 사고력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동안 흔히 사용되었던 동영상 강의 중심의 수업과 달리 학생들이 스스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관련 지식을 활용하고 논리적, 분석적으로 자료를 구조화하고,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의 문제기반 탐구학습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준거 및 과제 평가 문항별 루브릭은 마지막 단계인 ‘문제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제출하는 과제 보고서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온라인 교육 콘텐츠는 탐구중심 문제기반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생들이 실생활 문제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온라인 동영상 강의와 달리 e-Book 형태로 제공되며, 한 단위의 콘텐츠는 기본적인 과학 개념을 전달하기보다는 주제별로 학생 스스로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관련 개념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문제기반학습(PBL)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 제출한 보고서는 튜터가 채점하고 우수한 점, 개선이 필요한 점 등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때 평가는 해당 차시별로 개발된 평가 루브릭(rubric)에 의해 이루어지고, 과제 및 학습활동에 대한 절대평가를 통해 최종 이수 결과가 결정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가 좀 더 고차적 사고력에 집중하고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과학 영재 교육의 목표를 제대로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기반학습(PBL)으로 설계된 온라인 과학 탐구 과정에서 제시된 과제를 분석하고, 해당 과제가 포함하고 있는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고차적 사고의 하위요소로 도출하여 평가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과학탐구학습 상황은 학생들에게 탐구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교실수업과 달리(Kim & Song, 2003; Lee.
  • 본 연구가 수행된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은 수학과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보이는 잠재성 있는 초등학생에게 과학적 탐구 기회를 제공하고 고차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프로그램은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지닌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통해 해당 학년의 과학 내용에 대해 심화 학습을 수행하고 문제해결을 통해 고차적 사고력을 계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개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차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 고차적 사고력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사고력으로, 문제인식 및 문제해결에 필요한 인지적 처리 및 사고 활동을 말하며, 따라서 고차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중심의 탐구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특히 주어진 사실이나 지식을 응용 또는 적용하는 일반적 문제해결을 넘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Shin et al., 2013).
고차적 사고력이란? 이와 같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역량의 핵심적인 특징은 문제해결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문제해결과 관련된 고차적 사고력(higher order thinking skills)의 계발을 전교과에서 중요한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고차적 사고력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사고력으로, 문제인식 및 문제해결에 필요한 인지적 처리 및 사고 활동을 말하는데(Shin, et al., 2013), 복잡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정보의 분석 및 통합, 논리⋅비판적,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과 같이 다양한 사고력이 요구된다(Kim, 2002).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 과학 영역에서 학습자의 고차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에는 무엇이 개발되어왔는가? 이에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 과학 영역에서 학습자의 고차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Kim & Kim, 2012; Lee & Jeong, 2013; Lee & Kim, 2010; Park & Kang, 2012; Song, Kil, & Shim, 2015). 먼저 Lee & Jeong(2013)은 과학 글쓰기에 기반한 과학적 사고력 평가도구를 개발 하였는데, 이들은 과학적 사고력을 Son(2006)의 정의에 따라 과학에 관련된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에 필요한 능력으로 보고, 그 하위 영역을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으로 도출한 후 각 범주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Park & Kang(2012)은 과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을 자연 현상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과학 탐구 과정에 따라 새롭고 적절하게 해결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에 필요한 사고력으로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erson, L. W & Krathwohl, D. R.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mplete ed.). New York: Longman. 

  2. Bloom, B Engelhart, M. D.,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Cognitive domain. White Plains, NY: Longman. 

  3. Brookhart, S. M. (2010) How to assess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in your classroom. ASCD product#109111 

  4. Cho, H. (2014). Theory of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book.. 

  5. Cho, H., & Choi, K. (2008). Theory and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2nd ed). Seoul: Kyoyookbook.. 

  6. Cho, Y., Choi, K., & Cho, D. (1997).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observations A study for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1(1), 185-211. 

  7. Davis, G. A., Rimm, S.,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Translated by Lee, M., Ryu, J., Lee, Y., Lee, H., and Chae, Y.). Seoul: Bakhaksa. 

  8. Huh, K., Kim, H., Cho, Y., Im, S.(1990).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IV). KEDI Research Report, RR 90-17. 

  9. Kim, H. & Song, J. (2003). Middle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 Purposes of Laboratory Wo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3), 254-264. 

  10. Kim, Y. (2002). Thinking & Problem Solving Psychology. Seoul: Parkyoungsa. 

  11. Kim, Y. & Kim, Y. (2012). The Development of a Free-response Test for the Assess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Biology Education, 40(1), 167-177. 

  12. Kim, K., Kim, A., & Cho, S. (1997). Conceptualiz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chool Subject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5(2),129-153. 

  13. Lee, B., Son, J., & Jung, H. (2006).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scientific inquiry learning system.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271-280. 

  14. Lee, J., & Jeong, E. (2013).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Assess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Using Science Writing. Teacher Education Research, 52(3), 575-588. 

  15. Lee, S., Chae, Y., & Sung, E.(2017). A Comparison study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between high-achieve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gifted learne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7(2), 123-137. 

  16. Lee, S, Kim, I. (2010).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about science inquiry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26(1), 25-39. 

  17. Lee, S., You, M., & Choi, B. (2008). The differences of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3), 425-442. 

  18. Lee, S, & Hong, J. (2011). A comparison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and among gifted students' specific gifted area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7(1), 351-371. 

  19. Lee, Y., Park, J., & Lee, B.(2004).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RRC 2004-1-6,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 Lim, B. (2003).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online inquiry-based learning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design of inquiry on the web.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9(3), 69-99. 

  21. Linn, M. C., Davis, E. A., & Bell, P. (2004).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22. Ministry of Education. (2015).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4 of MOE. Seoul: MOEHRD. 

  23. Orpwood, G. (2001). The role of assessment in science curriculum reform. Assessment in Education, 8(2), 135-151. 

  24. Park, I. (201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programs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5. Park, I. & Kang, S. (2011).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314-327. 

  26. Park, I. & Kang, S. (2012).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2), 210-235. 

  27. Park, H. & Kim, Y. (2013). Correlations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 Creativity,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Science, Biology Education, 41(3), 459-469. 

  28. Park, K., Ryu, C., & Choi, J. (2017).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7(1), 17-35. 

  29. Shin, J., Min, J., Kim, S., & Kwon, S. (2013). The Principles of Effective Higher-Thinking Programs and Limitations of Their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 Problem Solving, 9(2), 71-98. 

  30. Son, J. (2006). A Science Writing Teaching Method Based on Scientific Thinking for Improving Scientific Essay Writing Abil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9(2), 333-355. 

  31. Song, S., Kil, J., & Shim, K. (2015).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Elementar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Observing and Inferring, Designing an Experiment, and Conclud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3), 376-388. 

  32. Sung, I., Kwak, B., Park, T., Im, S., Yang, M., Han, S., Kim, J., & Yi, H. (1987).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KEDI Research Report RR 87-37. 

  33. Weisberg, R. W. (2009). Creativity (Translated by Kim, M.). Seoul: Sigma Press. 

  34. Yang, T. (2003).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