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우울증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의 체계적 고찰-진단적 타당성을 중점으로 : 한국형 우울 선별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Systematic Review of Validation Studies on Depression Rating Scales in Korea, with a Focus on Diagnostic Validity Information :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3 no.2, 2017년, pp.53 - 59  

정수연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신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박기호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제갈은주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원혜 (국립정신건강센터 심리건강과) ,  최윤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청소년상담학과) ,  이승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기홍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iable and valid diagnostic screening tool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enable accurate estimation of depression in individuals at risk or in need of treatment, and provide patients with an opportunity to receive optimal treatm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extensive studies on screening tool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요우울장애의 진단이 관련 증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울증 환자의 집단 내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주요우울장애의 핵심 진단기준을 고루 질문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K-DEP는 주요우울장애의 핵심 진단기준에 더해 조증, 불안 증상, 신체증상, 무망감 영역을 보완하여 양극성 장애, 불안장애와 감별이 용이하도록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문항 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활용한 최적 및 최소 문항의 선발을 통해 좋은 선별도구의 요건인 정확성(민감도 및 특이도)과 비용 효율성, 실용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우울 환자의 높은 유병률과 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의 선별에 대한 임상 현장과 학계의 관심이 높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기존 우울증 평가도구의 체계적인 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견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진은 한국형 우울증 선별도구(K-DEP)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다수의 우울증 평가도구가 주요우울장애의 핵심 증상을 측정하지만, 그 진단기준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는 드물며, Park 등24에 따르면 DSM-5의 주요우울장애의 핵심 진단기준 9개를 모두 충족하는 경우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3%에 불과하고, 대부분 진단 기준의 세부적인 조합이 다양하게 분포되어있다.
  • 또한 문항 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활용한 최적 및 최소 문항의 선발을 통해 좋은 선별도구의 요건인 정확성(민감도 및 특이도)과 비용 효율성, 실용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설계에 K-DEP의 실시 및 채점자와 진단 면접을 실시하는 전문가를 다르게 설정하는 이 중 맹 검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우울증 선별 및 평가도구보다 더욱 합리적이고 유용한 검사임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타당화 하고자 한다.
  • K-DEP는 주요우울장애의 핵심 진단기준에 더해 조증, 불안 증상, 신체증상, 무망감 영역을 보완하여 양극성 장애, 불안장애와 감별이 용이하도록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문항 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활용한 최적 및 최소 문항의 선발을 통해 좋은 선별도구의 요건인 정확성(민감도 및 특이도)과 비용 효율성, 실용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설계에 K-DEP의 실시 및 채점자와 진단 면접을 실시하는 전문가를 다르게 설정하는 이 중 맹 검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우울증 선별 및 평가도구보다 더욱 합리적이고 유용한 검사임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타당화 하고자 한다.
  • 또한 Yoon 등5은 국내에서 우울증 치료 장면에서 주로 사용되는 소수의 우울증 평가도구에 대해 척도의 구성과 국내 연구 동향, 점수의 해석과 평가도구 사용 장면에서의 이점을 보다 자세하게 보고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의 발견에서 나아가 본 연구는 한국형 우울 선별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진행된 연구이므로, 우울증 평가도구 개발의 관점에서 우울증 평가도구가 측정하는 구성 개념을 정리하고, 국내에서 시행된 표준화 연구에서 진단적 타당성을 보고한 연구를 중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더불어 각 평가도구의 국내 대상 진단적 효용성을 분석한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민감도 및 특이도를 산출한 과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우울 평가도구의 효용성과 정확도를 가늠하는 양질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정신건강 의료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국내 우울증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한국인의 우울증을 선별해 낼 수 있는 한국형 우울증 선별도구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였다.
  • 전문가 자문단의 의견을 토대로 본 연구진은 한국형 우울 선별도구의 용도를 임상 장면에서의 자세한 진단보다는 일차 의료현장 등에서의 간편하고도 정교한 선별에 방점을 두어 개발하는 것에 대해서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주요우울장애의 선별을 위해서는 DSM-5에 명시된 아홉 가지 핵심 진단기준을 모두 포괄할 뿐만 아니라 수검자의 신체적 호소, 불안장애, 양극성 장애와의 감별을 위해 신체적 증상 불안 증상 조증 증상 등의 구성개념에 대한 질문이 평가도구에 포함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즉,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중인 우울증의 전문가 면담 평가도구와 자기보고식 평가도구의 속성을 고찰하고 DSM-5 의 주요 우울장애 진단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단일한 분석 틀을 구성, 각 평가도구가 측정하는 각기 다른 조작적 정의의 영역을 동일한 기준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더불어 각 평가도구의 국내 대상 진단적 효용성을 분석한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민감도 및 특이도를 산출한 과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Monahan, PO, Lowe B. Anxiety disorders in primary care: prevalence, impairment, comorbidity, and detec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7;146:317-325. 

  2. Von Korff M, Shapiro S, Burke JD, Teitlebaum M, Skinner EA, Turner RW,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 primary care clinic: comparison of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and practitioner assessm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87;44:152-156. 

  3. Pignone MP, Gaynes BN, Rushton JL, Burchell CM, Orleans CT, Mulrow CD et al. Screening for depression in adults: a summary of the evidence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2;136:765-776. 

  4. Jung SW, Lee EJ, Choi YK, Sung HM, Kim DH, Choi JS, et al. A Guide of Diagnostic Evaluation for Depression: focused on Assessment Instrument for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2009;18:21-38. 

  5. Yoon SY, Lim JH, Han C. Rating scales for measurement-based clinical practice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12;23:136-146. 

  6.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8;14:201-212. 

  7. Han K, Kim M, Park JM.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4;10:201-207. 

  8. Shin SC, Kim MK, Yun KS, Kim JH, Lee MS, Moon SJ, et a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its use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1;30:752-767. 

  9. Chon KK, Rh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2;11:65-76. 

  10.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81-399. 

  11. Choi HS, Choi JH, Park KH, Joo KJ, Ga H, Ko HJ,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114-119. 

  12. Lim KH, Park YN, Kim DH, Shin IH, Lee WS, Kim JB. A preliminary study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9; 9:275-281. 

  13. Lee MS, Rhee MK. A development of Korea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3;42:492-506. 

  14. Hwang SH, Rhee MK, Kang RH, Lee HY, Ham BJ, Lee YS,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reening scale for depression in Korea: the Lee and Rhee Depression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2012;9:36-44. 

  15. Kim YK, Hur JW, Kim KH, Oh KS, Shin YC.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47:36-44. 

  16. Lee JB, Kim CS, Park HB, Park BT, Lee JH, Cheung SD. A Study on Anxiety-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987;4:29-38. 

  17. Lim SY, Lee EJ, Jeong SW, Kim HC, Jeong CH, Jeon TY, et al. The valid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Scale 2 in Korean version. Anxiety and Mood 2011;7:48-53. 

  18. Oh SM, Min KJ, Park DB.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89-296. 

  19. Jung IK, Kwak DI, Shin DK, Lee MS, Lee HS, Kim JY.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7;36:103-112. 

  20.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48-63. 

  21. Bae JN, Cho MJ.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its short form among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4;57:297-305. 

  22. Kim JY, Park JH, Lee JJ, Huh Y, Lee SB, Han SK,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Psychiatry Investigation 2008;5: 232-238. 

  23. Jung IK, Kwak DI, Joe SH, Lee HS.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7;1:61-72. 

  24. Park SC, Kim JM, Jun TY, Lee MS, Kim JB, Yim HW, et al. How Many Different Symptom Combinations Fulfill the Diagnostic Criteria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CRESCEND Study.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2017; 71:217-222. 

  25. An JY, Seo ER, Lim KH, Shin JH, Kim, JB.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13;19:47-56. 

  26.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59-76. 

  27. Kim JI.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 12:204-209. 

  28. Kim JS. A Study on Anxiety-Depression and Psycnoticism in Hospitalized Patient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992;9: 54-67. 

  29. Kim MS, Lee IS, Lee CS. The Validation Study 1 of Korean BDI-2: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mp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7; 26:997-1014 

  30. Lee H, Kim KH.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 (K-MASQ).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4; 33:395-411 

  31. Lee JH.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995;12: 292-305. 

  32. Lee SA, Kim KH, Cho, SM. Validation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 in Korean Adolescents. Psychiatry Investigation 2015;12:218-226. 

  33. Lee SA, Kim KH, Cho SM. Validation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 Questionnaire in Korean Adolescents. Psychiatry Investigation 2015;12:218-226. 

  34.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98-113. 

  35. Rhee MK, Lee YH, Jung HY, Choi JH, Kim SH, Kim YK,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2-Korean Version (K-BDI): Validity-II.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1995; 4:96-104. 

  36. Shin HC, Kim CH, Park YW, Cho BL, Song SW, Yun YH, et al. Validity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detection of depression in primary car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1317-13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