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왕산 국립공원의 이해집단 간 환경태도 비교
Comparison of Environmental Attitude between Interest Groups in Juwang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11, 2017년, pp.1235 - 1246  

우형택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  한재경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  전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environmental attitud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interest groups, including visitors, local residents, and local public servants (Cheongsong-gun), in Juwangsan National Park. A statistical analysis of 418 questionnaires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tati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보호지역을 둘러싼 갈등에 근원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관련 이해집단의 환경태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성이 검증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주왕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객과 지역주민, 지역 공무원의 환경태도 수준과 특성을 비교, 분석, 고찰하고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왕산 국립공원 보호정책과 관리 방안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Woo(2003)가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이미 검증한 설문문항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이 측정도구의 재검증을 시도해 보았다. 조사도구 검증을 위해 조사 분석에 사용된 418부의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 coefficient alpha값은 0.
  • 본 연구는 검증된 환경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주왕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객, 지역주민, 지역 공무원(청송군)의 환경태도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주왕산 국립공원 정책의 기초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주왕산 국립공원의 이해집단별 환경태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이란?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상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연 생태계 및 문화 경관을 포함하는 국가적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국립공원에 대한 개발 압력과 이용 증가는 국립공원의 보호라는 중대한 과제와 심각한 갈등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립공원 갈등의 5대 쟁점은? 그러나 국립공원에 대한 개발 압력과 이용 증가는 국립공원의 보호라는 중대한 과제와 심각한 갈등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립공원 갈등의 5대 쟁점으로는 지역주민의 사유재산 침해 관련 갈등, 사찰 경영(문화재 관람료 징수, 사찰 토지 등)과의 갈등, 탐방객의 각종 행위 규제에 따른 갈등, 지자체와의 인식 차이와 행정 마찰에 따른 갈등, 개발과 보전 간 이념 갈등이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6).
환경태도 측정도구 NEP scale를 사용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국립공원의 탐방객과 지역주민의 환경태도에 관한 연구는 설악산 국립공원의 탐방객과 지역주민의 환경태도를 New Environmental Paradigm (NEP) scale로 측정한 연구(Kim, 2014)와 내장산 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윤리 및 환경의식을 분석한 연구(Yang and Ahn, 2008)가 있으나, 환경태도의 측정도구로는 Dunlap and Van Liere(1978)가 개발한 NEP scale이 국내외에서 일부분이 수정되면서 30년 이상 널리 사용되고 있다(Yang and Ahn, 2008; Gifford and Sussman, 2012; Kim, 2014). 환경태도의 연구에서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번역 과정에서 조사 설문지에 대한 타당성 분석의 미수행, 70년대 개발된 오래된 도구의 사용, 응답 척도의 임의변경, 부적절한 인용, 측정 개념의 혼동 등의 문제점들이 있어 연구결과들 간에 의미 있는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다(Kum and Kim, 2009). 따라서 환경태도의 연구에서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cury, T. A., Christianson, E. H., 1993, Rural-urban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ctions, J. Environ. Educ., 25, 19-25. 

  2. Balderjahn, I., 1988, Personality variable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as predictors of ecologically responsible consumption patterns, J. Bus. Res., 17, 51-56. 

  3. Brecker, S. J., 1984, Empirical validation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as distinct components of attitude, J. Pers. Soc. Psychol., 47, 1191-1205. 

  4. Cheng, C., 2007, The effects of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0, 118-130. 

  5. Chenyang, X., McCright, A., 2015, Gender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cern: Revisiting the institutional trust hypothesis in the USA, Environ. Behav., 47, 17-37. 

  6. Choi, J. G., 2010, The impact of green consumer's value on eco-friendly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7. Dunlap, R. E., Van Liere, K. D.,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A Proposed measuring instrument and preliminary results, J. Environ. Educ., 9, 10-19. 

  8. Fishbein, M., Aj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ddison Wesley Publishing Co., 1-89. 

  9. Gifford, R., Sussman, R., 2012, Environmental attitude, The Oxford handbook of environmental and conservation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65-80. 

  10. Jang, S. H., Lim, D. J., 2001,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y and its determinants between interest group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3, 205-229. 

  11. Jo, Y. A., Kim, K. H., 2003,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2, 177-204. 

  12. Kim, J. M., 2014,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the interest groups in the protected areas: Focused o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779-778. 

  13. Kim, S. H., 2015, A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environmental attitude and participation: Focused on Keumkang pine tree forest trai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 339-354. 

  14. Klineberg, S. L., McKeever, M., Rothenbach, B., 1998, Demographic predictors of environmental concern: It does make a difference how it's measured, Social Science Quarterly, 79, 734-753. 

  15.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6, http://research.knps.or.kr/research.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http://www.knps.or.kr. 

  17. Kum, J. H., Kim, J. M., 2009, The validation of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2, 40-52. 

  18. Ryu, D. G., Park, K. S., Kim, T. H., 2016,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national park visitors' pro-Environment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for national park managerial policies by personal nor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 197-210. 

  19. Shin, J. W., Shin, M. S., 2011,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environmental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2, 427-453. 

  20. Woo, H. T., 2003,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ttitude scale for Kore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 763-774. 

  21. Yang, J. I., Ahn, D. S., 2008, An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visito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 21-29. 

  22. Zhang, J., 1993, Environmental hazards in the Chinese public's eye, Risk Analysis, 13, 509-51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