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 의료체계용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8 no.6, 2017년, pp.57 - 64  

양민규 (가천대학교 건축학과) ,  이영 () ,  서상욱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침몰사고 등 대형 재난사고들이 발생하였을 때 체계적이지 못한 현장대응과 응급의료시설의 운영으로 인해 재난발생 시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 시간 내에 안정적인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난의 피해유형과 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외 사례들을 조사하여 이동 의료단위의 유형을 파악하고, 규모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외에는 트레일러유형, 텐트유형, 컨테이너유형 등의 이동 의료단위들이 실제 운용되고 있었으며 국내에서는 그러한 운용 사례들을 조사하고 종합하여 정부에 제안하는 단계에 있다. 국내에 적합한 이동형 의료단위의 개발과 제안을 위해 실제운용 사례들의 단위유형, 규모 및 조합적 배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토대로 국내에 적절한 유형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isaster situation has been diversified and compounded worldwide as well as in Korea. And the damage scale of each disasters have increased, and following economic loss is also increasing immensely. In Korea, especially the out break frequency of large-scale disasters has increased.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시기에 안정적인 응급의료 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피해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진행한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체계를 위한 이동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재해, 재난 시 재난 응급의료팀의 역할 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현장 응급의료소 역할을 하게 될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국내외의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다. 현재 이동 의료단위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이동 의료단위에 관련한 보도자료 및 응급의학연구재단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보고서1)를 통하여 국내외 이동 의료단위의 현황을 파악한다.
  • 이상으로 국내의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현황을 중점적으로파악하고 국내 이동형 병원에 대한 제안 사항을 확인, 정리하였다. 이동형 병원의 국내 동향으로 국립 중앙의료원에서 이동형 병원 제작 및 구매 사업에 관한 제안 요청서를 발표하고, 포스코 P&S가 이동형 병원 제작 사업계약을 체결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재난상황에 따른 의료시설에 유닛 모듈을 적용한 사례는 해외에서 사용 되는 시설로 일부가 있지만 재난과 관련된 의료기능 구현과 관련된 기술 개발은 아직 전무한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DRT는 어떤 조직인가? KDRT는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로서 해외재난 발생 시재난 피해의 감소, 복구 또는 인명구조, 의료구호 등 정부차원에서 피해국을 긴급히 지원하기위해 파견되는 조직이다.9)
국외 이동형 병원의 현황은? 국내외 이동형 병원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내 이동형 병원의 경우 과거 텐트 형태로 이루어진 현장대응 응급 의료소부터 최근 들어 2.5톤 트럭을 활용한 이동형 병원을 구비하고있으며, 국외의 경우 텐트형의 이동형 병원을 넘어서 모듈러시스템이 적용된 재난대응 이동형 병원과 트레일러 형태의확장 가능한 시설이 운용 중에 있다.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병원이 상용화 되고 있으나 이동에 편의를 증대 시킬 수 있도록 모듈러의 부피를 줄이는 형태의 개발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난현장에 대응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된다면 기대할 수 있는 점은? 0 이상의 지진이 증가하였고 진앙지는 다양하게 퍼져있기 때문에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안전 국가라 할 수가 없으며 지진에 의한 피해를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침몰사고 등 대형 재난사고 들이 발생하였을 때 체계적이지 못한 현장대응과 응급의료 시설의 미비로 인해 재난발생 시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체계의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시기에 안정적인 응급의료 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피해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진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Introduction of domestic mobile hospitals and effective investigation plan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 of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Schematic map of on-site disaster medical activities, Retrieved from http://www.e-gen.or.kr (Apr, 2017) 

  4.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system, Disaster response system, Retrieved from http://www.e-gen.or.kr (Apr, 2017) 

  5. National Medical Center (2016). Bulletin No. 2016-50, Request for proposal mobile hospital production and purchasing business. 

  6. (Aug. 1, 2017) 

  7. (May. 12, 2017) 

  8. (Jul. 15, 2017) 

  9. (may. 15, 2017) 

  10. (Aug. 2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