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수의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 역량 분석
Facultie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469 - 478  

이순덕 (남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교수행동의 특성과 원리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은 8개 하위요인에 속하는 40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이를 2개 대학 86명의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결과, '중요 내용의 강조기법 적용'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 전략들은 중요도(M=4.48, SD=.39)에 비해 실행도(M=4.07, SD=.40)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다. 또한 IPA 분석 결과, 전체 40개 항목 중 19개 항목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아 지속 유지해야 할 항목으로, 5개 항목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개선노력 집중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개선노력 집중 항목이면서 Borich 요구도 지수가 높아 교수들이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은 1) 수업목표에 적합한 수업방법과 전략 수립, 2) 명확한 목표, 적절한 예, 체계적인 수업 진행, 3) 학생에게 질문 기회 부여와 적절한 피드백 제공이 도출되었다. 교수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역량의 진단을 통해 교수개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facultie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The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scale consisted of 40 items belonging to 8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6 faculties from 2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성으로 거론되는 전략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 인식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성들을 자신의 수업에서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도 파악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자신의 실천 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보다 집중적으로 실행 노력을 기울이고 개선해야 하는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교수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징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수준과 이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수업의 실천 원리와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및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대학 교수자의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수업 진행과정에서 필요한 행동요인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및 관계를 고취하는데 필요한 행동요인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수업의 전중후 모든 과정에서 행동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제시한 손충기[7]의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성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수업 실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도출해 내는 것이 목적이다.
  • 이를 통해 효과적인 수업 실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도출해 내는 것이 목적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성으로 거론되는 전략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 인식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교수행동 특성들을 자신의 수업에서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Borich 요구도 지수가 높은 우선순위 5개와 IPA의 개선노력 집중 영역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항목을 교육적 요구가 높은 최우선 과제 3개로 선정하였다. 좋은 수업 또는 잘 가르치는 수업을 위해 교수들이 최우선적으로 개선하고 노력해야 할 전략은 1) 수업목표에 적합한 수업방법과 전략 수립, 2) 명확한 목표, 적절한 예, 체계적인 수업 진행, 3) 학생에게 질문 기회 부여와 적절한 피드백 제공이다. 이 항목들은 수업준비, 수업내용 구조화, 학생과의 상호작용 영역에 각각 해당한다.
  • 둘째, 효과적인 교수행동 전략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역량이란? 대학교수의 직무는 기본적으로 교수(teaching)와 연구 (research)라는 두 가지 활동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8], 교수-학습 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한 지표로서 교수자의 가르치는 역량인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9]. 역량(competency)은 인간이 가진 능력을 일컫는 다양한 용어 중 하나로, 직무와 관련하여 일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에 한정하여 주로 활용되는 개념이다[10].
대학 교수의 주요 임무는? 교육과 연구, 봉사는 대학 교수가 해야 할 주요한 임무이다. 사회적 통념이나 교수업적평가 기준 등에 비추어 연구 영역에 비해 교육과 봉사 영역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교수행동 전략의 중요도 점수와 실행도 점수에 대한 t검증과 Borich 요구도 산출값의 관계가 항상 일치하지 않은 이유는? t값이 높은 항목들의 Borich 요구도 지수가 대체적으로 높았으나, 그 관계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Borich 요구도 공식이 중요도 값에 가중치를 주는 방식이기도 하지만 실행도 수준과의 차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Y. Kwon, S. Y. Shin, J. S. Kim,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quality in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1, no. 1, pp. 51-78, 2011. 

  2. C. J. Song,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5, no. 2, pp. 171-200, 2014. DOI: https://doi.org/10.15753/aje.2014.15.2.007 

  3. H. D. Song, S. Y. Jang, Y. K. Kim, "An need assessment of faculty member's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4, no. 4, pp. 149-179, 2013. DOI: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7 

  4. H. J. Lee, J. H. Lee, "Analysis of university accreditation criteria for quality university teach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9, no. 3, pp. 173-204, 2008. DOI: https://doi.org/10.15753/aje.2008.9.3.008 

  5. Y. H. Cho, S. Y. Park, "Exploration of a scal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in university education",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6, no. 1, pp. 105-127, 2013. 

  6. Y. S. Kil,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behaviors used by the professo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8, no. 4, pp. 405-428, 2011. DOI: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4.405 

  7. C. K. Son, " A studies o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eaching improvement of university faculty and the test of its effect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0, no. 2, pp. 121-150, 2003. 

  8. Fairweather, J. S., "The mythologies of faculty productivit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73, no. 1, pp. 26-48, 2002. DOI: https://doi.org/10.1353/jhe.2002.0006 

  9. Carrell, S., West, J., "Does professor quality matter? Evidence from random assignment of students to professo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118, no. 3, pp. 409-432, 2010. DOI: https://doi.org/10.1086/653808 

  10. E. H. Yang, J. S. Chung, "Needs analysi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2, pp. 25-52, 2010. DOI: https://doi.org/10.17232/KSET.26.2.25 

  11. Mayer, R. E.,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11. 

  12. S. G. Baek, E. H. Ham, J. Y. Lee, H. J. Shin, Y. L. Yu,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for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8, no. 1, pp. 47-69, 2007. DOI: https://doi.org/10.15753/aje.2007.8.1.003 

  13. S. Y. Kwon,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1, pp. 185-215, 2010. DOI: https://doi.org/10.17232/KSET.26.1.185 

  14. K. W. Chang, H. J. Kim, "Teaching competencie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2, no. 2, pp. 285-310, 2012. 

  15. S. H. Kang,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Journal of Korean Contents, vol. 15, no. 2, pp. 520-528,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520 

  16. M. J. Park,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Humanities Research, 75, pp. 229-253, 2008. 

  17. S. J. Yune, "Analysis of good college teaching characteristics by multi-faceted approach", Jour. Fish. Mar. Sci. Edu., vol. 24, no. 6, pp. 963-976, 2012.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6.963 

  18. Alexander, A., Karvonen, M., Ulrich, J., Davis, T., Wade, A., "Community college faculty competencies",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vol. 36, no. 11, pp. 849-862, 2012. DOI: https://doi.org/10.1080/10668926.2010.515511 

  19. Tigelaar, D. E., Dolmans, D. H., Wolfhagen, I. H., Van der Vleuten, C. P.,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 48, no. 2, pp. 253-268, 2004. DOI: https://doi.org/10.1023/B:HIGH.0000034318.74275.e4 

  20. Y. S. Kwon, "An analysis of factors of effective lecturing behaviors in university clas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6. 

  21. W. S. Lim, Y. C. Kim, "Analysis of the professor's core lecture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413-434, 2007. 

  22. I. H. Jeong, E. J. Lee, "Educational needs analysis depending on professors' position for teaching competency reinforcement.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7, no. 1, pp. 1-22, 2012. 

  23. H. Y. Lee, Y. S. Kim, H. O. Heo, "The development of a inventory for teaching competency in colleges of engineer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8, no. 3, pp. 439-469, 2012. DOI: https://doi.org/10.17232/KSET.28.3.439 

  24. Sergiovanni, T., & Starratt, R., Supervision: A redefinition. Boston, Ma: McGraw-Hill, 2002. 

  25.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s (7th Ed.). Boston: Allyn & Bacon, 2011. 

  26. M. S. Kim,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aring professo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5, no. 1, pp. 61-86, 2011. 

  27. Kember, D., "Promoting student-cent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Higher Education, 58, 1-13, 2009. DOI: https://doi.org/10.1007/s10734-008-9177-6 

  28. S. Y. Lee, S. Y. Hong,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Journal of Korean Contents, vol. 13, no. 11, pp. 968-978, 201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968 

  29. S. A. Oh, S. D. Lee,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erspectives about good teacher and good instructional practices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vol. 10, no. 1, pp. 25-4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