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port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which are key drivers for trade, has increased global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about 165% from 1995 to 2015. Korea imports 76.2% of grain from major food exporters such as USA, Australia, Brazil, and China. The expected long shipping distances from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수입곡물을 대상으로 운송단계별 푸드마일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Greenhouse gases, GHGs) 발생량뿐만 아니라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s, PMs) 배출량에 대하여 환경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질적인 운송의 전과정을 고려하기 위하여 국가 간 해상운송뿐만 아니라 주수출국과 수입 이후의 국내 운송과정을 포함한 푸드마일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수입곡물인 밀, 옥수수, 콩을 대상으로 운송단계별 푸드마일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운송단계의 온실가스(GHGs)와 미세먼지(PMs) 발생량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쌀 소비량 변화에 따른 자급률을 고려하여 대체곡물인 밀을 재배하는 경우와 푸드마일을 고려한 곡물별 수출국 전환에 따른 환경영향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운송의 전과정에 대하여 운송수단별 단위무게거리(ton⋅km)당 GHGs 발생량과 PMs 배출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곡물별 푸드마일에 따른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주요 수입곡물의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의 저감방안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쌀 소비량 변화를 바탕으로 주요 수입곡물로 전환하여 재배하는 방안과 푸드마일을 고려한 곡물 수출국의 다변화 방안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대안별 환경영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수입곡물인 밀, 옥수수, 콩을 대상으로 운송단계별 푸드마일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운송단계의 온실가스(GHGs)와 미세먼지(PMs) 발생량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쌀 소비량 변화에 따른 자급률을 고려하여 대체곡물인 밀을 재배하는 경우와 푸드마일을 고려한 곡물별 수출국 전환에 따른 환경영향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수입곡물에 대한 푸드마일 산정 및 환경영향을 평가할 때,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곡물이 수입되어 국내에서 가장 가까운 가공시설까지 운송한다는 가정 하에 최소한의 거리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가정은 수입되는 곡물의 각 주산지로부터 수출항까지의 거리 및 운송량에 대한 정보와 국내에서 수입되어 들어온 곡물의 유통경로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최소 거리를 산정하여 최소한의 푸드마일로 인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수출국 내에서 해당 곡물의 생산 비중을 높게 차지하고 있는 지역 중 수출항에서 가장 가까운 생산지를 주산지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수입곡물에 대한 푸드마일 산정 및 환경영향을 평가할 때,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곡물이 수입되어 국내에서 가장 가까운 가공시설까지 운송한다는 가정 하에 최소한의 거리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푸드마일(Food miles)이란 무엇인가? 1994년 농식품의 운송량과 운송거리를 바탕으로 실제 농식품의 운송거리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푸드마일(Food miles)의 개념이 등장한 이후로(Paxton, 1994), 농산물 수출입에 대한 운송과정의 푸드마일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발생량을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었다(Lang, 1999; Pretty et al., 2005; Coley et al.
국내 주요수입곡물의 온실가스(GHGs)와 미세먼지(PMs) 발생량은 얼마인가? 수입단계에서 발생되는 환경영향은 옥수수의 경우 GHGs 와 PMs의 발생량이 각각 1,670 Gg CO2-eq.와 1,829 Mg PM10-eq.로 다른 곡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브라질에서 수입되는 옥수수가 두 범주에서 각각 40%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밀의 경우 운송단계에서 발생되는 GHGs와 PMs가 각각 502 Gg CO2-eq.와 589 Mg PM10-eq.로 분석되었으며, 밀의 주 수출국 중 호주에서 수입될 때의 환경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콩은 주요 수입곡물 중 발생되는 환경영향이 가장 적으며, GHGs와 PMs 두 범주에서의 발생량이 각각 284 Gg CO2-eq.와 307 Mg PM10-eq.로 평가되었다.
주요수입곡물인 밀, 옥수수, 콩의 자급률은 얼마인가? 1%p 감소하면서, 곡물의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AFRA, 2016). 특히 주요수입곡물인 밀, 옥수수, 콩의 자급률은 2015년을 기준으로 각각 0.7, 0.8, 9.4%로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MAFRA, 2016). 또한 국내 주요 수입곡물의 대표적 수출국이 미국, 호주, 브라질 등으로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Korea Customs Service, 2016), 곡물 수입의 운송과정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ernatz, G., 2009. Apples, bananas, and oranges: Using GIS to determine distance travelled, energy use, and emissions from imported fruit. Journal of Resources Analysis 11: 1-15. 

  2. Centre for Transport Strategies, 2014. Ukraine-Agricultural Trade, Transport, and Logistic Advisory Services Activity. World Bank. 

  3. Coley, D., M. Howard, and W. Mihael, 2008. Local food, food miles and carbon emissions: A comparison of farm shop and mass distribution approaches. Journal of Food Policy 34(2): 150-155. doi:10.1016/j.foodpol.2008.11.001. 

  4.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Transport, Regional Development and Local Government. 2009. Road and rail freight: competitors or complements?. Australian Government. 

  5. Envision Transportation, 2011. The transportation of grain.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CTR). 

  6. Godfray, H., J. Beddintion, I. Crute, L. Haddad, D. Lawrence, J. Muir, J. Pretty, S. Robinson, S. Thomas, and T. Camilla, 2010. Food Security: The Challenge of Feeding 9 Billion People. Journal of Science 327(5967): 812-818. doi:10.1126/science.1185383. 

  7. Hill, H., 2008. Food Miles: Background and Marketing. National Center for Appropriate Technology (NCAT). 

  8. Ju, O., J. Lee, M. Seong, S. Kim, J. Ryu, D. Kim, and Y. Hong, 2010. Estimation of Food Miles and $CO_2$ Emissions of Imported Foo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1): 57-68 (in Korean). doi:10.5572/KOSAE.2010.26.1.057. 

  9. Kim, T., 2012. Management of Food Mileage and realization of low carbon societ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10. Kim, S., Y. Son, J. Park, T. Kim, and K. Suh, 2016. Analysis of Influencing Export Factor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for ASEAN using Panel Gravity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4): 103-114 (in Korean). doi:10.7851/ksrp.2016.22.4.103. 

  11. Kim, S., 2014. Cultivation Technology of Whe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12. Kissinger, M., 2012. International trade related food miles-The case of Canada. Journal of Food Policy 37(2): 171-178. doi:10.1016/j.foodpol.2012.01.002. 

  13. Korea Customs Service, 2016. Available at: http://www.customs.go.kr/ 

  14.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2017. Available at: http://www.keiti.re.kr/ 

  15. Korea Statistics, 2016.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16. Korea Statistics, 2017.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17. Lang T., 1999. The Complexities of Globalization: The UK as a Case Study of Tensions within the Food System and the Challenge to Food Policy. Journal of Agriculture and Human Values 16: 169-185. doi:10.1023/A:100754 2605470. 

  18. Lee, H., H. Kim, G. Lee, and Y. Lee, 2010. The Effects of Urban Agriculture on Greenhouse Gases Reduction and Its Policy Proposal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19. Millstone, E., and L. Tim, 2013. The Atlas of Food with a New Introduction.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7. Available at: http://www.mafra.go.kr/ 

  21.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NRDC), 2007. Foodmiles: How far your food travels has serious consequences for your health and the climate.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NRDC). 

  22. Park, S., 2013. Transport infrastructure problems as grain production increases in Brazil.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23. Park, D., M. Kim, T. Kim, J. Song, T. Kim, and I. Choi, 2009. A Study on Ways to Balance Rice Supply and Dem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4. Paxton, A., 1994. The Food Miles Report: the Dangers of Long Distance Food Transport. London: Safe Alliance. 

  25. Pirog, R., T. Pelt, K. Enshayan, and E. Cook, 2001. Food, Fuel, and Freeways: An Iowa perspective on how far food travels, fuel usag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Leopold Cente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26. Porkka, M., M. Kummu, S. Siebert, and V. Olli, 2013. From Food Insufficiency towards Trade Dependency: A Historical Analysis of Global Food Availability. Journal of Public Library of Science 8(12): e82714. doi:10.1371/ journal.pone.0082714. 

  27. Pretty, J. N., A. S. Ball, T. Lang, and M. James, 2005. Farm Costs and Food Miles: An Assessment of the Full Cost of the UK Weekly Food Basket. 

  28. Roach, A., 2014. Brazil Corn & Soybean Production by state. The Van Trump Report. 

  29. Saunders, C., and B. Andrew, 2008. Carbon Footprints, Life Cycle Analysis, Food Miles: Global Trade Trends and Market Issue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60(1): 73-88. doi:10.1177/003231870806000107. 

  30. Smith, A., 2005. The Validity of Food Miles as an Indicator of Sustainable Development.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DEFRA). 

  31. Sparger, A., and M. Nick, 2015. Transportation of U.S. Grain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32. Suh, K., 2012. An Analysis of Food Miles and $CO_2$ Emission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6): 706-713 (in Korean). doi:10.5572/KOSAE.2012.28.6.706. 

  33. Swed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2. Environmental impact from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Method of comparison. Swed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34. The Van Trump Report (TVTR), 2015. Brazil Soybean Production by State. 

  3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14. 

  3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16. 

  37. Wakeland, W., S. Cholette, and V. Kumar, 2012. Food Transportation Issues and Reducing Carbon Footprint. Green Technologies in Food Production and Processing, Food Engineering Series, Springer. doi:10.1007/978-1- 4614-1587-9_9. 

  38.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2016. Available at: http://www.wto.org/ 

  39. Wynen, E., and D. Vanzetti, 2008. No Through Road: The Limitations of Food Miles. Asian Development Bank (ADB) Institute. 

  40. Yoon, B., R. Jeong, G. Lee, H. Woo, and J. Park, 2010. The study on food mileage relating to nations' dietary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