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idential population of Jeju Island has increased more than 10% for last 10 years. Especially, the tourist population is more than twice comparing to 2005. The population growth of Jeju has brought about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increased land demands for tourism services. The goa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상주인구와 관광인구를 모두 고려하여 제주도의 토지이용 부문의 소비부문별 생태발자국(EF) 지수를 분석하고, 산정된 EF와 생태적으로 생산 가능한 토지면적(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의 비교를 바탕으로 제주도의 생태 적자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주도의 개발과 인구증가가 생태발자국 기반의 환경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5, 2010, 2015년의 EF지수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속가능성의 변화를 살펴보 고자 하였다.
  • )을 단위로 나타냄으로써 간략한 거시적 수치로 분석할 수 있지만, 대상 지역의 환경용량 수준과 적정규모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생태적으로 생산 가능한 면적(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을 통해 지역 내 토지면적의 사용이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해 볼 수 있다. EPL은지역 내 생산에 관여할 수 있는 면적으로 정의되며,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의 면적을 모두 합하여 산정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휴양섬인 제주도를 대상으로 상주인구와 함께 관광인구를 포함한 토지이용부문의 EF지수를 분석 하고 생태적으로 생산가능한 면적인 EPL과의 비교를 통해 생태적자를 평가하였다. 또한 2005년, 2010년, 2015년의 생태발자국 기반의 환경용량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주도 토지자원에 대한 지속가능성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상주인구와 관광인구를 모두 고려하여 제주도의 토지이용 부문의 소비부문별 생태발자국(EF) 지수를 분석하고, 산정된 EF와 생태적으로 생산 가능한 토지면적(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의 비교를 바탕으로 제주도의 생태 적자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주도의 개발과 인구증가가 생태발자국 기반의 환경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5, 2010, 2015년의 EF지수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속가능성의 변화를 살펴보 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휴양섬인 제주도를 대상으로 상주인구와 함께 관광인구를 포함한 토지이용부문의 EF지수를 분석 하고 생태적으로 생산가능한 면적인 EPL과의 비교를 통해 생태적자를 평가하였다. 또한 2005년, 2010년, 2015년의 생태발자국 기반의 환경용량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주도 토지자원에 대한 지속가능성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제주도는 휴양섬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외국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허용, 다양한 관광코스의 개발 등으로 인해 관광객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휴양섬에서는 관광인구가 지역의 소비활동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상주인구와 더불어 관광인구의 체류기간을 고려하여 추정된 체류인구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체류기간은 제주관광공사(Jeju Tourism Organization, JTO)에서 제공하는 관광객의 평균 체류기간을 이용하였다. 2015년 기준 내국인과 외국인의 체류기간은 각각 5.08일과 4.45일이며(JTO, 2016), 제주도 방문관광객의 체류기간은 2013년도부터 발표됨에 따라 2005년과 2010년의 체류기간은 2015년 기준 체류기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은 2005년과 2010년의 체류기간을 2013년 기준 관광객의 체류기간과 동일 하게 적용할 경우와 2015년도 체류기간의 ±20% 범위로 변화할 경우를 가정하여 추정할 시 인구수의 차이가 모두 3% 미만으로 미미한 것에 기인한다.
  • 이러한 가정은 2005년과 2010년의 체류기간을 2013년 기준 관광객의 체류기간과 동일 하게 적용할 경우와 2015년도 체류기간의 ±20% 범위로 변화할 경우를 가정하여 추정할 시 인구수의 차이가 모두 3% 미만으로 미미한 것에 기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의 인구증가와 발전은 어떤 현상을 동반하는가? 지역의 인구증가와 발전은 해당 지역의 소비활동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소비활동의 증가는 소비에 필요한 토지자원의 수요를 함께 증가시키게 된다(Gossling et al., 2002; Martin-Cejas and Sanchez, 2010).
제주도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제주도는 급격한 인구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공항 인프라와 함께 도로, 항만과 같은 대형 공공 인프라를 확충하고 주변 지역개발 사업 등과 함께 신화역사공원과 같은 대형 사업을 유치하고 있다(Choi and Ko, 2007). 제주도는 내륙지역과 다르게 섬이라는 지리적인 특성 으로 인해 주변지역으로의 확장이 어렵기 때문에 미래에 활용 가능한 토지면적이 극히 제한적이고, 거주하는 상주인구 이외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휴양섬(Resort Island) 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토지활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는 지속적인 성장과 개발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토지자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지속가능한 활용에 대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Suh et al.
행정적으로 제한된 토지자원을 확대하거나 변경한 구체적인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내륙지역의 경우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주변 지역과 행정구역이 통합되거나 광역시에 편입되는 등 행정적으로 제한된 토지자원을 확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실례로 경상남도 울산시와 울주군이 자원 배분과 소비의 효율을 고려하여 통합된 바 있으며, 마산시, 창원시, 진해군이 경제성장과 산업연계를 위해 통합된 것과 같이 지역의 성장에 필요한 잠재적 토지자 원의 확보가 추가로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제주도와 같은 섬 지역의 경우에는 주변 지역으로의 확장이 어렵고, 제주도는 실질적으로 절대⋅상대보전지역(2만 ha)과유네스코에서 선정한 생물권보전지역(8만 ha)을 포함한 개발제한구역이 전체 면적의 56%를 차지하고 있어 제주도 내에서 이용 및 개발을 할 수 있는 토지자원이 더욱 한정되어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i, B. and B. Ko, 2007. 2025 Jeju Metropolitan City Planni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2. Choi, J., Chung, J. and G. Hong, 2011.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apacity Assess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Ecological Footprint. Seoul Institute (SI). 

  3. Ding, Y., and J. Peng, 2018. Impacts of Urbanization of Mountainous Areas on Resources and Environment: Based on Ecological Footprint Model. Journal of Sustainability, 10(3): 765. DOI: 10.3390/su10030765. 

  4. Galli, A., Iha, K., Bilali, H., Grunewald, N., Eaton, D., Capone. R., Debs, P., and F. Bottalico, 2017. Mediterranean countries' food consumption and sourcing patterns: An Ecological Footprint Viewpoint. Journal of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78(1): 383-391. DOI: 10.1016/j.scitotenv.2016.10.191. 

  5. Global Footprint Network (GFN), 2010. Ecological Footprint Atlas 2010. Global Footprint Network (GFN). 

  6. Gondran, N., 2012. The Ecological Footprint as a Follow-up tool for an Administration: Application for the Vanoise National Park. Journal of Ecological Indicators, 16: 157-166. DOI: 10.1016/j.ecolind.2011.09.036. 

  7. Gossling, S., Hansson, C., Horstmeier, O. and S. Saggel, 2002. Ecological Footprint Analysis as a Tool to Assess Tourism Sustainability. Journal of Ecological Economics. 43: 199-211. 

  8. Hopton, M. and D. White. 2012. A Simplified Ecological Footprint at A Regional Scal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11: 279-286. DOI: 10.1016/jenvman.2011.07.005. 

  9. Hwang, K., Hwang, I., Lee, S., Jo, S., and K. Oh, 2006. Environmental Capacity Assessment of Busa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5(1): 79-92. (in Korean). 

  10. Im, J. and J. Lee, 2002. A study on the Environment al Carrying Capacity Assessment of Chongju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1(1): 25-36. (In Korean) 

  11.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2008. Prevention of Air Pollution from Ships: ANNEX VI. Available at: https://www.imo.org 

  1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JTA), 2006. Status of Tourist in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JTA). 

  13.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JTA), 2016. Status of Tourist in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JTA). 

  14. Jeju Spe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2016. Jeju Statistic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15. Jeju Spe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2017. Jeju Statistic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16. Jeju Tourism Organization (JTO), 2016. Jeju Visitor Survey. Jeju Tourism Organization (JTO). 

  17. Jung, C., 2018. Emergy Analysis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of Resort Island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8. Kerr, S., 2005. What is Small Island Sustainable Development About?. Journal of Ocean&Coastal Management. 48: 503-524. DOI: 10.1016/j.ocecoaman.2005.03.010. 

  19. Kim, B., Kim, W., Baek, H., Lee, B., Heo, T., and J. Oh, 2015.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Jeju Airport Infrastructure. Ministryc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 Kim, B., Lee, K., and S. Lee, 2005. Estimation for Environmental Capacity and Urban Development Capacity in Jeollabuk-do.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JBDI). 

  21. Kim, S., Song, K., Kim, K., and H. Kim, 2015.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Increase and Stabilize Capacity of Power Grid Connection in Jeju. Research Center for Electric Energy of Jeju University. 

  22. Kim, S., 2016. The Fall of Growth and Structural Reform in Korea. Journal of Korean Economic, 55(1): 3-27. (in Korean). 

  23. Korea Statistics, 2006.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24. Korea Statistics, 2016.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25. Kratena, K., 2008. From Ecological Footprint to Ecological Rent: An Economic Indicator for Resource Constraints. Journal of Ecological Economics, 64(3): 507-516. DOI: 10.1016/j.ecolecon.2007.09.019. 

  26. Lee, B., 2017. Characteristics of Energy Supply and Demand by Domestic Metropolitan Cit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In Korean) 

  27. Lee, C., Moon, T., Hong, M. and H. Suh, 2000. A Study on the Environment Capacity Assessment of Seoul II.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28. Lee, S. and C. Ha, 2014. Analysis on Migration and Regional Structural Change in Jeju Reg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2): 41-53. (in Korean). DOI :10.17208/jkpa.2014.04.49.2.41. 

  29. Lee, S., 2001.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apacity Assessment of Ulsan by using Ecological Footprint Model. Ulsan Development Institute (UDI). 

  30. Martin-Cejas, R. and P. Sachez, 2010. Ecological Foot print Analysis of Road Transport related to Tourism Activity: The Case for Lanzarote Island.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31: 98-103. DOI: 10.1016/j.tourman.2009.01.007. 

  31. Mclntyre, S. and P. Emmi, 2007. The Ecological Footprint of Utah. Utah Vital Signs (UVS).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Statistics. 

  33. Nakajima, E. and E. Ortega, 2016. Carrying Capacity using Emergy and a New Calculation of the Ecological Footprint. Journal of Ecological Indicators, 60: 1200-1207. DOI: 10.1016/j.ecolind.2015.08.054. 

  34. Oh, Y. and G. Lee, 2016. The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Jeju International Free City-Focusing on Analysis of Jeju Citizens' Awareness-. Jeju Research Institute (JRI). 

  35. Park, S., Kang, M. and Y. Jo, 2017. 202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ity Basic Pla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36. Suh, K., Kim, S., Jung, C., Kim, C. and P. Shin, 2017. A Stud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for Sustainable Jeju. Jeju Green Environment Center. (In Korean) 

  37. Wackernagel, M. and W. Rees, 1996. Our Ecological Footprint: Reducing Human Impact on the Earth. 

  38. Wackernagel, M. and W. Rees, 1997. Perceptual and Structural Barriers to Investing in Natural Capital: Economics from an Ecological Footprint Perspective. Journal of Ecological Economics, 20(1): 3-24. DOI: 10.1016/S0921-8009(96)00077-8. 

  39. Yuan C., Liu, S. and Z. Fang, 2016. Comparison of China's Primary Energy Consumption Forecasting by using ARIMA (the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and GM(1,1) Model. Journal of Energy, 100: 384-390. DOI: 10.1016/j.energy.2016.0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