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학습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dividual traits on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1, 2017년, pp.249 - 256  

이성주 (동신대학교) ,  김경희 (동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실천에 관심을 두고,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별, 전공별)에 따라 학습활동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습활동 유형을 교수주도형, 교수개입형, 또래리더형, 학생상호형으로 구분하여 학습자 특성별 학습활동 참여 유형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활동 참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교차분석 결과, 학습자 개인특성별로 학습활동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다. 성별로는 여학생, 학년별로는 1학년, 전공별로는 보건복지계열의 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concerning convergence education practice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based on college students' individual traits such as gender, grade and majo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y were divided into teacher-directed ty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대학의 교수학습지원기관에서 운영 중인 학습지원 프로그램들은 학습방법, 학습전략, 학습정보 등의 제공․습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학습활동 자체를 지원 하는 프로그램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3,4].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고, 대학생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의 학습지원 프로그램들의 학습활동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유형에 참여한 학생들의 성별, 학년, 전공 등 개인별 특성에 따른 학습활동 참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교육 실천에 관심을 두고 학습자 개인 특성에 따라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유형을 교수주도형, 교수개입형, 또래리더형, 학생상호형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운영 중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어떤 유형으로 분류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에 기반 하여 국내 대학에서 운영 중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교수주도형, 교수 개입형, 또래리더형, 학생상호형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교수주도형은 교수자 중심의 학습활동으로 교수의 설명과 안내가 주가 되는 학습활동 유형이다. 둘째, 교수개입형은 교수자의 설명과 학생 간 협동학습이 함께 이루어지는 학습활동 유형이다. 셋째, 또래리더형은 학습 내용에 대한 지식이 보다 많은 동료학생이 또래리더가 되어 진행되는 학습활동 유형이다. 넷째, 학생 상호형은 동료학생들 간 협동·협력학습으로 진행되는 학습활동 유형이다.
국내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의 역할은? 또한 최근 대학의 융복합 교육이 강조되면서 융복합적 역량 함양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강조되고 있다[6]. 이러한 주장들과 부합되는 방향으로 국내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는 다양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능력 신장, 긍정적인 상호작용 및 공유 기회 등을 제공하고 있다[3,7].
Chickening Gamson이 제시한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학습경험의 구성요소는? Chickening Gamson(1987)은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학습경험의 구성요소로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들 간의 상호협력, 능동적 학습,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에 투입된 시간, 학업성취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대, 다양한 학습방식 존중의 7가지로 제시 한다 [18].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학습활동은 교수-학생 간,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동의 학습목표를 선정하고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효과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19,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S. Kim. "Learning consultation at a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Vol. 26, No. 4, pp. 837-851, 2012. 

  2. S. Y. Lee, "Needs Analysis on the Function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Namseoul University, Vol. 10, No. 1, 2004. 

  3. H. J. Joe, M. R. Kim, & M. R. Eum. "An Investigation on Comparing Programs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9, No. 2, pp. 269-293, 2009. 

  4. H. J. Hong, B. J. Jung, S. B. Kim, M. K. Jun, & J. K. Lee, "Thematic analysis of the teaching support center learning support program in Korea"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Institute, Vol. 2015, No. 1, pp. 124-124, 2015. 

  5. W. Y. Baek. "Three essays on the effect of convergenc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employ ability for utilizing graduates education-career matched data.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6. 

  6. G. D. Kuh. "How to help student achiev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Vol .53, No. 41, pp. 12-13, 2007. 

  7. M. H. Yeom & M. J. Kim. "Understanding and Promoting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in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 46, No. 3, 2008. 

  8. B. S. Shin, "The Programmes of Teaching-Learning Center in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25, No. 1, pp. 21-42, 2004. 

  9. E. T. Pascarella, & P, T. Terenzini,."How college affects students: Findings insights from twenty years of research" Sanfrancisco: Jossey-Bass, 1991. 

  10. W. Thieke, "A Model of Developmental change in Freshman Student: Confirming Chickening's Theory of Student Development"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Syracuse, New York, 1994. 

  11. E. K. Kim,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on College Student Outcomes and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Vol. 19, No. 4, pp. 877-895, 2005. 

  12. K. Y. Ji, & J. Y. Han, "A Study on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 Four-year Collegi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Level: The case of C University in Kwangwon-do",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 pp. 33-41, 2016. 

  13. J. W. Choi, & B. S. Lee, "Examining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Effects of Colleg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Vol. 27, No. 1, pp. 199-222. 

  14. M. H. Yeom & S. H. Park, "Understanding and Promoting a Learning Community in Universities: The Case of 'Aha! Learning Communit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6, No. 2, pp. 127-156, 2008. 

  15. H. J. OH,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learning community and its realizing principl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1, pp. 23-41, 2005. 

  16. C. G. Yoon, "A stud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guments about 'learning commu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17. S. W. Choi, "A study for active learning community programs in the Korean colleg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7, No. 2. pp. 71-91, 2004. 

  18. A. W. Chickening, & Z. F. Gamson,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AHE Bulletin, Vol. 39, No. 7, pp.3-7, 1987. 

  19. S. H. Park. "The impa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bilit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Vol. 11, No. 4, pp. 115-136. 

  20. Y. J. Lim, & S. I. Na,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Middle School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Vol. 11, No. 1, pp. 104-127, 2011. 

  21. G. T. Seo, "Effectiveness of Tutoring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ility of Tutors and Tute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Vol. 4, No. 1, pp. 49-62, 2008. 

  22. S. H. Lee & M. S. Choi,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Tutor's Role Performance by Tutor/Tutee Role, Grade, and Group Composition in Peer Tutor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Vol. 25, No. 4, pp. 683-705, 2013. 

  23. S. H. Bae & J. I. Hong,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Active, Collaborative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Between-Institution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 53, No. 4, pp. 160-192, 2015. 

  24. Yu, H. S., Lim, H. N., Seo, Y. I., Ko, J. W., Shin, H. S., Choi, J. Y.,& Heo, 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for Korean Universities (III)"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2. 

  25. M. E. Kim & K. Lim, "Analysis of Factors for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in Online Graduate University Setting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33-42, 2016. 

  26. J. D. Finn, & D. Cox, "Participation and withdrawal among fourth-grade pupi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29, pp. 141-162, 1992. 

  27. Y. Kim, & L. Sax,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research universities: Differences by student gender, race, social class, and first status." Rea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50, No. 5, pp. 437-459, 2009. 

  28. H. M. Marks,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1), 153-184, 2000. 

  29. S. R. Porter,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student engagement.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47, No. 5, pp. 521-595, 2006. 

  30. M. H. Yeom & S. H. Park. "Understanding and Promoting a Learning Community: The Case of 'Aha! Learning Communit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 46, No. 2, 2008. 

  31. H. Y. Jung, "The Study on Essential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Major: Focusing on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19-32, 2015. 

  32. S. H. Bae & H. J. Kim,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cademic Challenge of University Students: Mutual Impact of Learning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21, No. 4, pp. 201-225, 2013. 

  33. Yu, H. S., J. M. Lee., J. Y. Choi., M. H. Kim., H. J. Byun., & B. G. Choi. "The research on the quality management strategy undergraduate teachinglearning",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3. 

  34. H. L. Roh & M. N. Choi, "A study the convergent effects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metacognition affecting a continuous participation in university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69-78, 2016. 

  35. G. D. Kuh, & S. Hu, "The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1990s".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Vol. 24, No. 3, pp. 309-332, 2001. 

  36. S. H. Kim & J. W. Go.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 54, No. 4, pp. 263-293. 

  37. S. H. Park,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29-37, 2015. 

  38. J. Y. Choi & H. S. Shin, "The Nature and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on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in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Effect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7, No . 2, pp. 11-154, 2010. 

  39. J. I. Hong & B. S. Hoon, "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of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3, No, 3, pp. 351-379, 2015. 

  40. S. R. Kwak. "A panel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17, No. 1, pp. 1-20, 2009. 

  41. S. J. Lee, S. H. Kim, & H. K. Kim,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Vol. 5, No. 2, pp. 143-16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