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중심의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Engineering-Centered Convergence Project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1, 2018년, pp.3 - 13  

최지은 (인하대학교 디지털예술공학) ,  진성희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  김학일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an effectively manage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concerns of university education, at the level of course. The pre-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stage is to prepare the operation of the convergence pro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학중심의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에 따른 학생들의 융합프로젝트 수행경험이 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전-사후 검사 모두 평균수준 이상으로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 매년 2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서비스 러닝 센터에서 개설되는 수업에 참석하여 학점을 부여받고 있으며 400명 정도의 학생들이 비학점 지원자로 그들의 시간과 특별한 재능을 사회와 나누고 있다. 또한 학업 성취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하고 전공지식 기반의 지역사회 봉사를 목적으로 한다. JEP(Joint Educational Projects)는 매학기 45-50명의 교수들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사회적 맥락에서 이론들을 적용하고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설계하고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융합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융합교육에 관심이 있다. 다학제 학생들이 함께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현실의 복합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협력하여 교수설계를 해야 한다.
  • 이 연구에서 제안한 공학중심의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학년 연구프로젝트 수강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전검사에서 융합프로젝트 수행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대상자의 약 50%는 융합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최근 대학교육의 관심사 중 하나인 융합교육을 교과목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지난 7학기 동안 대학에서 융합교육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왔고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문제에 부딪혔다.
  • 그 동안 국내 대학에서 시도하여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융합교육프로그램들은 소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수학습모형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학중심의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고 실제로 운영해 봄으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운영상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융합프로젝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융합교수법으로 널리 활용되는 팀티칭 교수법에 대해 살펴보고 교수설계 전, 중, 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참고하였다. 이와 함께 융합프로젝트학습이 주를 이루므로 팀프로젝트 학습방법 및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교육은 무엇인가? 융합이란, 학습자의 융·복합적 사고 능력을 교육하기 위해 교과와 교과 또는 서로 상이한 배경 학문이 융합에서 복합에 이르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마련된 교육을 의미한다(김시정, 김삼형, 2012). 융합교육은 둘 이상의 교과나 지식 체계 등이 만나 전혀 새로운 지식체계나 교과를 형성하는 것이고 복합교육은 둘 이상의 교과나 지식체계 간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교과로 마련되나 본래 결합되었던 학문의 성격을 유지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신동주, 2013). 융합의 의미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성은모 외(2013)의 연구에서는 ‘융합이란 기존의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학문적 지식과 기술이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롭고, 독특한 가치를 창출하는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융합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융합교육의 목적은 사회 및 기술의 발달을 선도할 수 있는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에서 융합인재란 한 분야를 잘 알면서 관련 분야까지 폭넓은 지식을 갖춘 ‘T자형 인재’로, 삼성종합기술원(손욱, 2004)에서는 융합인재를 ‘π자현 인재’로 표현하면서 두 분야 이상의 전문지식을 확보하고, 상호 연결하는 역량을 확보한 인재로 정의하였다.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개설․운영 중인 교과목이 기초설계 또는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공과대학에서는 공학교육인증을 도입하면서 대학에서 무엇을 가르쳤는가라는 관점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관점으로 전환됨에 따라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개설․운영 중인 교과목이 기초설계 또는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이 주를 이루고 있다(임동진, 2006). 왜냐하면 공학교육인증에서 필수적으로 학생들이 졸업하는 시점까지 달성해야 할 학습성과의 상당부분이 캡스톤 디자인을 포함한 설계교과목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21세기 학습역량으로 창의성(Creativity), 협력(Collaboration), 소통(Communication), 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이 강조되고 있다(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 (2015). 글로벌 우수공학교육프로그램 사례 조사, 17-27. 

  2. 강명희.윤성혜.임현진.유영란 (2012). 메타인지, 인지된 상호 작용, 실재감의 웹기반 협력학습 성과 예측력. 평생학습사회, 8(2), 111-130. 

  3. 강민석.박인우(2010).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 교수자 상호 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6, 187-215. 

  4. 김성원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3 

  5. 김세영(2016). 폐쇄형 SNS 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 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 성과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6. 김시정.김삼형(2012).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43, 125-153. 

  7. 김혜경. (2011).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 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경선. (2014). 공학교육에서의 팀티칭기반 융합프로젝트중심 교수학습모형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17(2), 11-24. 

  9. 성은모.오헌석.김윤영(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 543-580. 

  10. 손욱(2004). 기업에 필요한 이공계 인재. 물리학과 첨단기술 11월호. 

  11. 신동주. (2013). 융합교육정책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안재홍.권난주(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93 

  13. 안철수(2010). T자형 인재 뛰어넘는 A자형 인재되라. 월간 신리더 3월호. 

  14. 오헌석.성은모(2013). 융합인재역량 분석 - 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14(4), 201-228. 

  15. 임동진(2006). 외국 대학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 전기의 세계, 55(9), 58-61. 

  16. 임정훈.진성희(2016). 융합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 43-48. 

  17. 장형석.최동원(2002). 팀빌딩 기법으로서 자기주의 이론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고찰. 심리과학연구, 3, 81-93. 

  18. 정인성.이옥화. (2001).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2), 27-50. 

  19. 진성희(2017). 공학도를 위한 융합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2017년 충청지역 공학교육혁신 포럼 발표자료. 2017.06.20. 

  20. 진성희.신수봉(2013). 공과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6(6), 29-37 

  21. 홍병선(2009b). 융합교육 활성화를 통한 대학 교육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총 연구결과보고서.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2. Alavi, S. B., & McCormick, J.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3), 375-393. 

  23. Bauwens, J., & Hourcade, J. J. (1995).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Pro-Ed, 8700 Shoal Creek Blvd., Austin, TX 78757-6897. 

  24. Dietz-Uhler, B., & Lanter, J. R. (2012). Perceptions of Group-Led Online Discussions: The Benefits of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40(4), 381-388. 

  25. Markham, T., Larmer, J., & Ravitz, J. (2003). Project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2nd ed.).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6. Shapline, J. T. & Olds, H. E. (1964). Team Teaching.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27. Wen, H. M. (1998). The effects of task structure on group process and quality of group product in a cooperative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