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지 우주물체 궤도 정보 획득을 위한 스트릭 추정 방법 검토
Streak Estimation Method for Obtaining Orbital Information of Unknown Space Object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2 no.11, 2018년, pp.1448 - 1454  

현철 (M&S R&D Team, LIG Nex1) ,  이상욱 (M&S R&D Team, LIG Nex1) ,  이호진 (M&S R&D Team, LIG Nex1) ,  이종민 (IIR Seeker R&S Lab, LIG Nex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학관측 시스템에서, 미지의 우주물체의 궤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궤도 결정 방법에는, 균등한 시간 간격의 세쌍의 관측 값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스트릭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세 쌍의 관측 값을 획득하기 위한 스트릭 추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주 물체의 궤도에 따른 특성을 확인하고, 추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ST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9가지 경우에 대한 위성 궤적 모의 관측 자료를 생성하였다. 하나의 스트릭 영상 정보로부터 수 초 후의 다음 스트릭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세 가지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추정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선형 가정을 기본으로 하는 선형 벡터 방법과 Kalman Filter 방법은 비선형성이 커지는 부분에서 추정 오차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소자승 기법을 기반으로 한 다항식 커브 피팅을 통한 추정 방법은, 앞선 방법들 보다 오차 값이 작고 균일한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 optical observing system, three pairs of observations at equal time intervals are required for the orbit determination method to obtain orbital information of an unknown space ob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estimating a streak for acquiring three pairs of observations using one...

Keyword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이 전체 궤적이고, 굵은 부분으로 표현된 부분이 스트릭 촬영을 하는 구간이다. 그림 6의 모의 관측 자료에서는 노출시간을 1초, 각 스트릭 사이의 간격을 15초로 가정하였다.
  • 영상처리를 통하여, 그림 7에서 원으로 표시된, 각선 분의 중심점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 데이터를 다음 스트릭 위치 추정에 활용하였다. 분석의 용이함을 위해서, 영상처리 오차나 잡음 등의 세부적인 사항은 중심점 정보에 오차를 섞어주는 형태로 대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물체를 탐지, 식별, 추적하고 위치를 예보하는 감시체계 중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주물체의 추적 및 감시 시스템으로는 레이다 시스템, 레이저 시스템, 광학 시스템이 있다. 레이다 시스템은 주로 저궤도 위성의 추적 및 감시에 사용되고, 레이저 시스템은 거리 정보 획득을 통하여 높은 정밀도의 추적이 가능하다[1].
궤도 결정 방법에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가? 광학관측 시스템에서, 미지의 우주물체의 궤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궤도 결정 방법에는, 균등한 시간 간격의 세쌍의 관측 값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스트릭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세 쌍의 관측 값을 획득하기 위한 스트릭 추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주물체를 탐지, 식별, 추적하고 위치를 예보하는 감시체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주공간에는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선, 발사체 등의 다양한 인공 우주물체 수 만개가 존재하고 있다. 우주물체 간의 충돌로 인한 파편의 지상 낙하 또는 적성국의 정찰 위성에 의한 국내 정찰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우주물체를 탐지, 식별, 추적하고 위치를 예보하는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이미 우주 선진국들은 우주통제를 목적으로 우주감시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W. Lee et al, "Orbit determination of GPS and KOREASAT 2 satellite using angle-only data and requirements for optical tracking system,"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21, no. 3, pp. 221-232, Sep. 2004. 

  2. AMOS, AMOS User's Manual, U.S. Air Force Research Lab., 2001. 

  3. J. Choi et al, "Orbit determination using angle-only data for MEO & GEO satellite and obsolete,"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26, no. 1, pp. 111-126, Mar. 2009. 

  4. O. Hwang, J. H. Jo, "Trends of initial orbit determination accuracy for time interval change between three pairs of measurement datas,"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26, no. 4, pp. 529-546, Dec. 2009. 

  5. GEODSS, A GEODSS Sourcebook, U.S. Air Force, 2008. 

  6. M. R. Ackermann, R. R. Kiziah, J. D. Beason, P. C. Zimmer, J. T. McGraw, "Exploration of Wide-Field Optical System Technologies for Sky Survey and Space Surveillance," Proceeding of the 30th Space Symposium, Technical Track, Colorado Springs, Colorado, pp. 1-28, May. 2014. 

  7. H. Lee, S. Lee, "Detection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elescope considering pointing angle command err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1, no. 1, pp. 237-243, Jan. 2017. 

  8. B. Nadella, "Eyes detection and tracking and eye gaze estimation,"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vol. 1, no. 2, pp. 25-41, Jun. 2015. 

  9. D. A. Vallado,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4th ed. Hawthorne, CA: Microcosm Press, 2013. 

  10. S. Park et al, "Development of a data reduction algorithm for optical wide field patrol,"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30, no. 3, pp. 193-206, Sep. 2013. 

  11. S. Park et al, "Development of a data reduction algorithm for optical wide field patrol(OWL) II: improving measurement of lengths of detected streaks,"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 33, no. 3, pp. 221-227, Sep. 201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