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간호학실습경험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3 no.2, 2018년, pp.25 - 41  

진영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송연이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미 (한국남부발전(주)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건강관리실 보건관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ing i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was explored on order to develop a more effective practice teaching method.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held with 11 nursing students in junior or senior y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면담을 이용하여 지역사회간호학실습에서의 학습자가 스스로 인식한 학습경험에 대한 내용을 그들의 언어로 경험을 확인하여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실습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실습교육에 대한 구조적인 현황만을 조사하고, 실습내용을 학습자 입장에서 분석한 연구가 전무하였으므로, 본연구는 실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경험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의 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의 경험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은 어디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것은 모두 교수자나 간호학생의 방문을 받은 대상자의 입장에서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수업을 분석한 연구이며,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의 관점에서 실습현장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해 종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전무하다.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학교보건실, 산업장 보건실, 산업의학센터, 산업간호협회, 복지관 및 보건센터, 요양시설, 병원가정간호사업소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5].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일차보건간호현장 실습환경을 요구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사회간호실습은 접근성이 높은 보건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실천중심 학문인 간호학에서 어떠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가? 실천중심 학문인 간호학은 실습을 통해 대상자의 실제적, 잠재적 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다루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1,2].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간호학생에게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이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3].
지역사회간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지역사회간호는 국민의 건강수준을 향상하고 보건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의료기관 중심의 급성기 질환 치료보다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만성질환관리를 강화해야 하는[5]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개별 환자의 간호 이외에도 보다 더 폭넓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관점으로 접근하고, 급성기 질환을 다루는 환경에서보다 더 많은 다양한 기술을 요구하며[6], Seib의 연구[7]에서는 이것이 급성기 질환을 다루는 실습현장에서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간호의 연속성에 대한 최대의 경험을 제공하므로, 학부학생이 교육과 정동안 다양한 일차보건간호의 현장에 노출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 October, 2008, Available From: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BaccEssentials08.pdf. (accessed September, 23, 2015) 

  2. 송지호, 김미원. 간호학 임상실습교육 실태조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 19(2), 251-26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51. 

  3. 2015년도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간호학 학사학위과정. 서울,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5. 

  4. 이은희. 성과기반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평가 루브릭 개발. [박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2015. p.125 

  5. 이정렬, 이향련, 김광숙, 강경아. 4년제 간호대학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6; 17(1), 26-37. 

  6. Wade GH, Hayes 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preceptored community health clinical experiences. Public Health Nursing. 2010; 27, 459-467. https://doi.org/10.1111/j.1525-1446.2010.00879.x 

  7. Seib C. Teaching undergraduate students community nursing: Using action research to increase engagement and learn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1; 50(9), 536-539. https://doi.org/10.3928/01484834-20110531-03. 

  8. Mckenna L, Parry A, Kirby C, Gilbert K, and Griffiths R. Learning in primary health care setting: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2014;. 4(12), 1-8. https://doi.org/10.5430/jnep.v4n12p1 

  9. 정영숙.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대한간호. 1982; 21(5), 56-64. 

  10. 조유향 외 8(20174),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현황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8(3), 347-356. 

  11. 하이경. 간호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시뮬레이션교육프로그램의 지역사회간호학 교과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16(4), 2329-2337. http://dx.doi.org/10.5762/KAIS.2015.16.4.2329 

  12. 민소영, 박숙경, 박정모, 이숙정. 재가 노인환자의 방문간호경험-보건소 실습학생 방문대상자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5; 16(4), 437-445. 

  13.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서울:현문사;2000. 174p 

  14. Patton MQ.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987. 176p 

  15. 정명실, 박정숙, 류은정, 신계영, 전화연, 김복자.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 교수 효율성과 임상실습 적절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 21(4), 550-560.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4.550. 

  16. D'Souza MS, Venkatesaperumal R, Radhakrishnan J, and Balachandran S. Engagement 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mong nursing students: Role of nurse educators. Open Journal of Nursing. 2013; 3, 25-32. http://dx.doi.org/10.4236/ojn.2013.31004. 

  17. Callen B, Block D, Joyce B, Lutz J, Schott NB, Smith CM. Essentials of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for entry level community/public health nursing[Internet]. Associatio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Educators. 2009[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www.achne.org/files/EssentialsOfBaccalaureate_Fall_2009.pdf. 

  18. Community Health Nurses. Canadian Community Health Nursing. Professional practice model & standard of practice. Community Health Nurses. 2011[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s://www.chnc.ca/en/publications-resources. 

  19. Community Health Nurses. Home health nursing competencies. Community Health Nurses. 2010[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s://www.chnc.ca/en/publications-resources. 

  20. The CASN Sub-Committee on Public Health, Guidelines for Quality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f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Canadian Association of Schools of Nursing. 2010[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casn.ca/wp-content/uploads/2014/12/CPGuidelinesFinalMarch.pdf. 

  21. World Health Organization-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A framework for community health nursing educ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Regional Office for South-East Asia. 2010[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www.searo.who.int/entity/nursing_midwifery/documents/SEA-NUR-467/en/. 

  22. Pijl-Zieber EM, Kalischuky RG,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1; 8(1), 1-13. 

  23. 안민정, 황윤영, 주민선. 간호대학생의 알코올 중독 환자간호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 20(3), 362-371. 

  24. 진영란, 송연이, 김영미.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교과목 이수 경험. 인문사회21. 2017; 8(6), 1027-1044. http://dx.doi.org/10.22143/HSS21.8.6.69 

  25. Kim HS, 이원희, 강경아, 김달숙, 장성옥. 간호학에서 이론적사고의 본질. 3rd ed. 서울:현문사; 2011. 

  26. 윤진, 김금자, 최미숙. 임상실습 전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OSCE 프로그램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 19(2), 273-28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73. 

  27. 허혜경, 박소미, 신윤희, 임영미, 김기연, 김기경, 최향옥, 최지혜.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 19(2), 228-240.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28. 

  28. 임승주, 박은영.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3; 19(2), 151-162.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