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교육을 위한 중년기 소비자의 성별, 비만도별 외식 행동,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및 건강한 식생활역량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comparisons of eating-out, dietary life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1, 2018년, pp.60 - 72  

박종옥 (충북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생 중 중년기에 해당되는 연령 40 ~ 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성별, 비만도별 일반적 특성, 외식, 음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건강한 식생활역량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2016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체중조절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남녀 모두 비만도가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실제 식사량 조절 경험 역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남성은 비만수준이 높을수록 식사량 조절경험이 많은 반면, 여성은 과체중군이 가장 많았고 오히려 비만군이 가장 낮았다. 둘째, 외식, 음주와 비만과의 관계는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식빈도, 월평균 지출비용, 1회 지출비용 수준은 남성이 여성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중 월평균 지출비용, 1회 지출비용은 남성의 경우에만 비만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음주빈도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에만 비만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역시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남성의 경우 외식유형 중 저녁을 포장마차 등 길거리음식으로 이용하는 횟수가 여성보다 더 높으며 비만군이 정상군 보다 더 높다는 결과 역시 남성의 외식 및 음주 특성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사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비만도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남성의 경우, 건강 및 고급추구와 가격추구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등 2개 요인이며, 여성의 경우는 고급추구와 안전 추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등 2개 요인이다. 그리고 남녀 모두 정상군이 비만군보다 해당 라이프스타일의 성향을 더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한 식생활 역량' 수준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지식, 실천 수준 모두 높았으며,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여성 중 정상군은 비만군에 비해 건강한 식생활 역량의 지식, 실천 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실천부분이 비만도와의 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ating-out, dietary life 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Be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식품소비행태조사에 참여한 40 ~ 50대 중년 소비자의 외식과 음주 빈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건강한 식생활역량 등에 있어서 성별, 비만도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성인기에서 40대와 50대는 일반적으로 중년기라 일컫는다. 중년기는 사회에서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다른 연령층보다 외식과 음주를 자주 하는 시기이다. 1 또한 호르몬의 변화와 기초대사량의 감소 등으로 체중이 증가하고 허리둘레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중년기의 비만 예방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로 점차 증가하는 성향을 보였다. 3 중년기의 비만은 대사증후군, 당뇨병, 고혈압,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중년기에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중년기는 사회에서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다른 연령층보다 외식과 음주를 자주 하는 시기이다. 1 또한 호르몬의 변화와 기초대사량의 감소 등으로 체중이 증가하고 허리둘레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2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25 이상인 비만율이 남성은 40대에서 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EA. The relationships of the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s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Korean J Hum Ecol 2006; 9(1): 25-42. 

  2. Lee YS, Lim HS, Ahn HS, Chang NS.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3rd edition. Paju: Kyomoonsa; 201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17 Oct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4. Sohn SM, Lim HS, Kim JH, Lee JH, Seo JS, Sohn CM. Clinical nutrition. 2nd edition. Paju: Kyomoonsa; 2011.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National common dietary principles (Press release 2016.04.0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 NU_ID04&MENU_ID0403&CONT_SEQ330959&page1. 

  6.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2; 45(2): 140-149. 

  7. Asghari G, Mirmiran P, Yuzbashian E, Azizi F. A systematic review of diet quality indices in relation to obesity. Br J Nutr 2017; 117(8): 1055-1065. 

  8. Yoon HJ. Men who enjoy eating-out are likely to be obesity [Internet]. Seoul: Brain Media; 2014 [cited 2017 Oct 10]. Available from: http://kr.brainworld.com/BrainHealth/14007. 

  9. Lee JH.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ning-out activities, eating habits, and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and obesity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Busan area. Korean J Culinary Res 2009; 15(3): 225-235. 

  10. Lee JH, Lee BS, Park YH. A Study on obesity eating-out behaviors, and eating habits among the housewive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ulinary Res 2011; 17(3): 151-161. 

  11. Shon CW. Real conditions of obesity and plan for improving obesity for Seoul citizen. Seoul Inst Policy Rep 2017; 223: 1-18. 

  12. Kim JH, Jeon MS, Park DS, Kim SM, Paik JK, Hong WS.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focused on Japanese and Chines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3; 29(5): 617-624. 

  13. Ko SH. Research on the consumer's delive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food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types of food-related life-style. J Korea Contents Assoc 2014; 14(8): 406-415. 

  14. Lee JH. A study on obesity index and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s: focusing on Pusan University. Korean J Culinary Res 2012; 18(4): 47-58. 

  15. Park KH. Differences in diet-related attitudes and demographics by type of food-lifestyle: focused o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Fam Environ Res 2015; 53(6): 655-665. 

  16. Shon IN, Kim YS. Research on the dining-out behavior of Cheong-ju undergraduates by food-related lifestyle. J Korea Contents Assoc 2008; 8(11): 347-355. 

  17. O'Brien G, Davies M. Nutrition knowledge and body mass index. Health Educ Res 2007; 22(4): 571-575. 

  1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ood survey [Internet].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cited 2017 May 16]. Available from: http://foodsurvey.krei.re.kr. 

  19. Lee HS, Lim JH. SPSS 18.0 manual. Seoul: Jiphyeonjae;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