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프로젝트 기반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적용 사례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31 - 41  

최문실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8년 4학년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3월12일부터 6월27일까지이며,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조장의 팀 수행능력이 높은팀이 점수 결과도 높게 나타났으며($3.91{\pm}0.82$), 학생들은 실습은 꼭 필요하다($4.10{\pm}0.88$)하였고, 전공담당교수의 피드백($3.73{\pm}0.86$)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project - bas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for 'Dental Hygiene Practice' i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G city S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30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in 2018.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실무 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치 위생학 실습’ 영역에 대하여 한 학기 동안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실습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추후 보건치과위생사로서의 효과적인 실무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용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팀원과의 협력을 기를 수 있었고, 직접체험 할 수 있는 좋은기회였다고 하였다. 또한 구강보건 대상자의 특성과 내용에 대해 이론수업 후 실습하니 자신이 필요한 자질과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보건소의 업무와 사업에 대해서 폭넓게 알 수 있었으며 경험에 따른 기술향상, 학습의 폭이 넓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라고 하였다.
  •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을 수강한 치위생학과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후 수업평가를 통해 실습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 영역을 한 학기 동안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수업평가를 통해 실습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개선을 위하여 치위생학과와 보건소에서 공통적으로 실습요구도가 높았던 기획과 관련된 현장실습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방법을 통하여 적용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단일군 사후측정 설계에 의한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프로젝트학습 전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습에 대한 자체평가(학습자 분석),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 계획서 조별발표 평가(동료평가), 조장의 팀원평가, 팀원의 조장평가, 교수평가, 실습만족도, 학습 만족도, 성찰일지에 나타난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 탐색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현황 내용과 분량은 적절하였으며 수행해야하는 학습내용과 일치합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과제를 선정하는 방법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은 의미 있는 문제나 과제를 설정하여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능력과 성찰을 경험하는 구성주의적 교수 -학습방법이다[8]. 과제의 선정방법은 교수자가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의 목록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방법과 학생이 자유로이 과제를 선택하는 방법 그리고 교수자가 여러 종류의 과제 목록 표를 제공하여 학생이 그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다. 과제가 선정되면 과제의 개요, 목표, 과제에 필요한 소모품, 수행해야 할 활동의 순서, 과제 진척의 기록, 과제수행에 있어서의 평가 방법 및 평가시기가 포함되어야 하고, 과제를 수행한다.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대두되는 이유는? 공중구강보건 분야에서 치료보다는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사업 위주로 전환되고 있음에 따라 현장에서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1]. 이는 지역사회 현장에서 보건치과위생사의 역량을 발휘해야 하며 역량이 강화되면 궁극적으로는 환자들에게 양질의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직의 성과 달성에도 도움이 된다[2].
지역사회통합건강증 진사업이 무엇인가요? 또한 과거에 수행되었던 보건사업이나 구강보건사업은 수행과 평가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근거중심보건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기획과정이 매우 중요해졌다. 2013년부터 시작된 지역사회통합건강증 진사업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건강생활실천,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비만, 구강보건, 심뇌혈관질환 등의 사업을 통합한 것을 말하는데,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수행 하는 인력은 사업기획, 커뮤니케이션, 교육 및 홍보, 평가 등의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3], 보건치과위생사는 통합건 강증진사업의 인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4]. 실제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을 시행하는 보건치과위생사의 직무역량 교육 요구도[5]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사업을 기획하고 전개해 나가는 것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 Y. Lee et al. (2016). Contents analysi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outcom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6(1), 37-43. 

  2. J. H. Park & Y. H. Lee. (2017). Influence of Dental Hygienists' Core Competencies on Job Performance. Journal dent Sci, 17(2), 142-149.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2013). 2014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presentation. Osong: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4. Y. J. Kim et al. (2015).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1), 137-46. 

  5. S. K. Park. et al. (2015). Education needs of an integrated health and oral health project for community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9(2), 127-133. 

  6. S. H. Lee. (2013). A case study on enhancing the proficiency of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students with project-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2(4), 79-92. 

  7. J. R. Kim et al. (2012). A study on dental hygienist 2nd job analysis. Seoul :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de. 

  8. J. H. Lim et al.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project learning models combined with blended learning approach in K-12 setting. Education engineering research, 20(3), 103-135. 

  9. H. O. Park & W. S. Choi. (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oject method.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7(3), 190-209. 

  10. T. Markham, J. Larmer & J. Ravitz.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2nd ed.). Novato,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11. Stanley. (2011). Project-based learning for gifted students: A handbook for the 21st - century classroom. TX: Prufrock Press. 

  12. N. H. Kim et al. (2014). Development of practice objective in community dental health. Seoul: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13. C. Byeog. (2004). Prof. Cho-byeog Know-How & Know Why. Seoul: Hainam publisher. 

  14. Y. E. Joo & O. S. Geun. (2015).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Methodology for Practical Education: Focused on the Popular Music Learning. Ewha music journal, 19(3), 71-92 

  15. E. K. Yoo. (2016).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A case of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6. S. O. Kim. (2017).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351-363. 

  17. S. J. Han. (2013).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1), 595-602. 

  18. M. J. Park. (2007).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through project-bas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265-288. 

  19. Y. S. Hee. (2000).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ject class 'open education Research'.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lin Education, 8(2), 91-100. 

  20. K. S. Park. (2014). Teaching-learning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eam teaching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11-24. 

  21. Y. K. Suk.(2014). Team project activity and satisfaction in business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7), 217-227. 

  22. S. H. Chung. & S. S. Jung. (2015).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knowledge of constructivism -Exploring the Educational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of Korea, 22(5), 427-447. 

  23. H. Kim. (2016).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las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7(6), 311-325. 

  24. Della Ratta CB. (2015). Flipping the classroom with team-bas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40(3), 71-74. 

  25. S. H. Yoo et al. (2017). Evalu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4), 368-374. 

  26. J. Y. Kim. (2018). A study on ux design process lecture based on modified pbl(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17-131. 

  27. M. S. Kim. (2015). Factors influencing flow state of cooperative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397-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