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Effect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 on Clinical stres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1, 2018년, pp.539 - 547  

조미경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현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간호학과 학생 211명으로, 통계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여학생, 학교만족도,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가 낮을수록, 수간호사와의 관계를 어렵게 느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점수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의사소통 능력과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주 영향 요인은 실습 만족도, 의사소통 능력과 성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중재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실습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관련변수 파악과 다각적인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 on clinical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nvergence society. The participants were 211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nd th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학적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4학년 학생, 여학생의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간호학과 학생들의 공감 점수가 높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어떤 관계에 있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이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기초차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융복합 사회에서 일 간호대학생들의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임상 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 스트레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 능력 및 일반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준을 낮춤으로써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수행능력의 주요 요인인 의사소통 능력은 어떠한 역량으로 간주되고 있는가? 간호사는 대상자와 함께 최적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긴밀하고 조력적인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을 발휘하여 대상자와의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16]. 의사소통 능력은 임상에서 의료인뿐 아니라 환자, 보호자 등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으로,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사의 임상 핵심역량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17]. 하지만 간호대학생은 의사소통 능력 부족으로 인해 임상실습 시 환자 및 보호자를 만나는데 어려움을 느끼며[9], 임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9,18,19].
공감이란 무엇인가? 공감은 ‘감정을 불어넣다’ 라는 의미로, 신뢰, 이타심, 협동, 사랑, 관용과 같은 모든 사회적 가치의 근원이 되며, 다른 사람의 감정에 제대로 공감하지 못하거나 오해하면 의사소통과 관계 유지를 비롯한 많은 일 처리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10]. Rogers[11]는 공감의 개념을 ‘타인의 감정 및 정서,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함께 느끼고 의사소통하는 과정이 통합된 복합적인 행동’으로 보았다.
간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간호학은 실무중심의 학문으로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간호이론을 임상실습 현장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잠재력, 창의력, 응용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1]. 최근 한국간호교육평가원[2]은 학습성과 기반 교육 및 현장실무역량을 강조함에 따라 간호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W. Park & N. S. Ha. (2003).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1), 27-35. 

  2. S. Yang. (2017). Standards for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ame of Web Site. http://kabone.or.kr 

  3. M. W. Kim. (2003). Development of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D. Chan. (2002).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2), 69-75. 

  5. J. S. Kim, J. J. Sun & H. S. Kim. (2009).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0(1), 63-76. 

  6. J. S. Won, K. S. Kim, K. H. Kim, W. O. Kim, J. H. Yu, H. S. Jo & I. S. Jeong. (2000). The Effect of Foot Massage on Stress in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7(2), 192-207. 

  7. M. Y. Park & S. Y. Kim. (2000).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23-35. 

  8. S. J. Wha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2), 05-13. 

  9. M. A. Kang & S. K. Lee. (2016).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452-461. DOI: 10.5977/jkasne.2016.22.4.452 

  10. B .D. Perry & M. Szalabitz. (2015). Bone for Love(J. H. Hwang, translation). Seoul: Minumin. 

  11. C. R. Rogers. (1975). Empathic: An unappreciated of being. The Counseling Pychologist, 5(2), 2-10. 

  12.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13. H. S. Jeong & K. R. Lee. (2012).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044-6052. DOI: 10.5762/KAIS.2015.16.9.6044 

  14. J. A. Kim. (2017).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Stress Coping and Empathy on Clinic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eagu. 

  15. E. J. Ji. (2014).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3), 1685-1697. 

  16. M. S. Yoo, Y. S. Kim, Y. S. Kim, M. S. Hwang & J. A. Ahn. (2012). Analysi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7(1), 18-27. 

  17. T. W. Reader, R. Flin & B. H. Cuthbertson. (2007). Communication skills and error in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13(6), 732-736. DOI: 10.1097/MCC.0b013e3282f1bb0e 

  18. E Y. Yoem. (2017).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 Society, 17(4), 320-30. DOI: 10.5392/JKCA.2017.17.04.320 

  19. S. Y. Yang. (2016).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9), 286-96. DOI: 10.5392/JKCA.2016.16.09.286 

  20. H. M. Hwang. (2017). Relationship among Empathic abilit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12(1), 1-10. DOI: 10.5392/JKCA.2017.17.04.320 

  21. S. H. Park.(1994). Empathy, Empathic understanding, Seoul: Wonmisa. 

  22. R. B. Rubin, E. E. Graham & J. T. Mignerey. (1990).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Education, 39(1), 1-14. 

  23. K.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24. D. L. Beck & E. Srivastava. (1991).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3), 127-133. 

  25. S. L. Kim & J. E. Le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26. H. J. Kim & M. S. Yi. (2015). Factors Influencing Empathy in Nursing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37-245. DOI: 10.5977/jkasne.2015.21.2.237 

  27. C. Ouzouni & K. Nakakis.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student nurses' empathy. Health Science Journal, 6(3), 534-552. 

  28. Y. R. Park. (2009).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4), 449-458. 

  29. I. K. Lee. (2014). To Seek 'Homo empathicus' : A Study on the Empathy Discourse - based Charact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1), 311-342. 

  30. B. Duriez. (2004). Are religious people nicer people? Taking a closer look at the religion-empathy relationship.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7(3), 249-54. 

  31. O. S. Lee & M. O. Gu.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749-59. DOI: 10.5762/KAIS.2013.14.6.2749 

  32. E. Y. Hong. (2017). Convergence Study of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85-93. DOI: 10.15207/JKCS.2017.8.10.085 

  33. H. K. Hyoung, Y. S. Ju & S. I. Im. (2014). A Concept Mapping Study on Clinical Stress for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4), 394-404. DOI: 10.11111/jkana.2014.20.4.394 

  34. S. H. Han. (2017).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0), 217-27. DOI: 10.14257/AJMAHS.2016.10.51 

  35. I. Y. Cho. (2015).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Related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593-601. DOI: 10.5762/KAIS.2015.16.4.2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