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제 및 발효 가공에 따른 오미자와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항염증 및 숙취해소 효과
Anti-inflammation and hangover relief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ater extracts depending on drug processing and fermentatio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6 no.4, 2018년, pp.295 - 306  

김하림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김상준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김솔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김홍준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승일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유강열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김선영 ((재)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ere widely distributed in Asia and the fru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for medicinal herbs. The processing method was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Aspergillus oryzae for 48 h after stir-frying treatment at $220^{\circ}C$ for 12 min.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구기자의 원물 열수 추출물과 포제 가공 추출물 및 포제 후 발효 처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고, 가공 조건에 따른 오미자, 구기자 혼합 추출물의 동물모델에서의 숙취 해소 효과를 비교 관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는 무엇인가? 오미자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식물인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주성분은 lignan으로 gomisin, schisandrin, wuweizichun A 등이 함유 되어있다9,10). 주로 생약재 및 식품 원료로 이용되며, 진정, 진통, 간장보호,알콜해독, 항당뇨 작용의 효능으로 알려져 있다11).
구기자의 성분이 무엇이며 어떤 효능을 갖는 가? 구기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주성분은 betaine, zeaxanthin 등으로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C, 칼슘, 인 등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 및 노화방지 등에 좋으며 강장, 간질환, 두통, 당뇨, 어지럼증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14). 구기자에 관한 연구로는 대부분 이화학적 특성, 항균효과15) 및 항산화16)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숙취해소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오미자는 어떤 효능을 갖는 가? 오미자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식물인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주성분은 lignan으로 gomisin, schisandrin, wuweizichun A 등이 함유 되어있다9,10). 주로 생약재 및 식품 원료로 이용되며, 진정, 진통, 간장보호,알콜해독, 항당뇨 작용의 효능으로 알려져 있다11).Schizandrin, gomisin 등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추출 조건 및 건조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가 보고 되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SUKAMOTO S, MUTO T, NAGOYA T, SHIMAMURA M, SAITO M, TAINAKA H. Determinations of ethanol, acetaldehyde and acetate in blood and urine during alcohol oxidation in man. Alcohol and Alcoholism. 1989;24:101-08. 

  2. Tsukamoto S, Kanegae T, Uchigasaki S, Kitazawa M, Fujioka T, Fujioka S, Imamura Y, Nagoya T, Shimamura M, Mieda Y. Changes in free and bound alcohol metabolites in the urine during ethanol oxidation. Arukoru Kenkyu to Yakubutsu Izon 1993;28:441-52. 

  3. Xu BJ, Xu BJ, Zheng YN, Xu BJ, Zheng YN, Sung CK, Sung CK. Natural medicines for alcoholism treatment:a review. Drug Alcohol Abuse Rev. 2005;24:525-36. 

  4. Lieber CS. Medical disorders of alcoholism. N. Engl. J. Med. 1995;333:1058-65. 

  5. Lieber CS, Garro A, Leo MA, Mak KM, Worner T. Alcohol and cancer. Hepatology 1986; 6:1005-19. 

  6. Forsander OA, Raiha NC. Metabolites produced in the liver during alcohol oxidation. J Biol Chem. 1960;235:34-36. 

  7. Mezey E. Alcoholic liver disease: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1980; 33:2709-18. 

  8. Lieber C-S, DeCarli L-M. Hepatic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in vitro characteristics and adaptive properties in vivo. J. Biol. Chem. 1970;245:2505-12. 

  9. Ju Y-S. Ungok Herbology. Jeonju:Woosuk Press 2013;819:826-8. 

  10. Kim M-J, Park E-J.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Korean J Crop Sci 2010;39:487-93. 

  11. Kim K, Park C, Ryu S, Bang J, Lee BJ. Schizandrin, oil compounds, and their extraction yield in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2000;45:158-62. 

  12. Koo D-C, Suh W-S, Baek S-Y, Shim S-H.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ignans from Schizandra chinensis by HPLC. Korean J. org. Agric 2011. 

  13. Lee S, Moon H-K, Lee S-W, Moon J-N, Kim J-K.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on). Korean J Food Preserv 2014;21:341-49. 

  14. Lee B-Y, Kim E-J, Choi H-D, Kim Y-S, Kim I-H, Kim S-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xthorn (Lycii fructus) hot water extracts by roas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27: 768-72. 

  15. Park U-Y, Chang D-S,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1992;21:91-96. 

  16. Lim D-K, Choi U, Shin D-H.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28:83-89. 

  17. Cho E-H, Roh S-S, Seo Y-B, Jeong G-HJTKJoH. The Comparative Study of Quality by Processing Methods of Liriope platyphylla. Kor. J. Herbology 2010;25:95-102. 

  18. Oh J-H, Sin J-S, Ahn E-S, Lee S-J, Lee J-c, Lim J-h, Hong S-k, Hong J-k, Lee Y-JJJoPI. A Literature Survey of the Modern Techniques Used for the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s. J. Kor. Pharm. Sci 2009;39:275-297. 

  19. Nam H-H, Kim H-J, Choi N-J, Roh S-S, Choo B-K. A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Schisandra chinensis Water Extracts depending on Stir-frying and Stir-frying with Liquids Process. Korean J. org. Agric 2015;23:987-997. 

  20. Lee, S-I, Lee, Y-K, Kim, S-D, Yang, S-H, Suh, J-W. Sensory quality, antioxidant,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XO and AO of Smilax china leaf tea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Preserv 2014;21:129-139. 

  21. Kang, Y-H, Kim, K-K, Kim, T-W, Yang, C-S, Choe, M. Evaluation of the anti-obesity 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nd Curcuma longa roo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5; 47:111-118. 

  22. Sung, H, Lee, Y-H, Jun, W. In Vitro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by Aspergillus oryzae against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812-818. 

  23. Engwall E, Perlmann PJJI. Enzyme-linked immunossorbent assay, ELISA. 3. Quantitation of specific antibodies by enzyme-labelled anti-immunglobulin in antigen-coated tubes. J Immunol 1972;109:129-35. 

  24. Tezuka Y, Irikawa S, Kaneko T, Banskota AH, Nagaoka T, Xiong Q, Hase K, Kadota S. Screening of Chinese herbal drug extracts for inhibitory activity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ctive compound of Zanthoxylum bungeanum. J Ethnopharmacol 2001;77:209-17. 

  25. Delgado AV, McManus AT, Chambers JPJN.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 Neuropeptides 2003; 37:355-61. 

  26. Casey LC, Balk RA, Bone RC. Plasma cytokine and endotoxin levels correlate with survival in patients with the sepsis syndrome. Ann Intern Med 1993;119:771-8. 

  27. Shumate R, Crowther R, Zarafshan MJJofm. A study of the metabolism rates of alcohol in the human body. J. Forensic Med 1967;14:83. 

  28. Lieber CSJNEJoM. Liver adaptation and injury in alcoholism. N. Engl. J. Med 1973;288:3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