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 목적에 따른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 연구
A Study on Chatbot Profile Ima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118 - 129  

강민정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신저 창에서 제공되는 AI 챗봇의 경우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과 소통하는 첫 단계가 된다. SNS에서 인상관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프로필 이미지는 챗봇의 경우에도 서비스에 대한 인상을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목적과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와 표현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대화 자체가 중요시 되는 심심할 때와 심리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인기 챗봇들의 사례를 분석 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추출한 결과 사람, 로봇, 동물, 추상적 이미지로 유형이 구분되었다. 이 기준에 따라 텍스트 버전과 이미지 버전으로 선택지를 만들어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 텍스트 버전에서는 남녀 모두 사람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이미지 선택지를 보고 고른 경우 남성은 여성과 로봇 이미지, 여성은 귀여운 의인화된 만화 캐릭터와 로봇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심리상담의 경우 남녀 모두 텍스트 버전에서는 사람을, 이미지 버전에서는 여성과 동물의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다. 종합해보면 심심할 때는 남녀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 반면 심리상담의 경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차이점은 사람 이미지를 제외하고 재미에서는 로봇, 심리 상담에서는 동물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남녀 모두 실사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여성의 경우 2D 그래픽으로 단순화된 이미지와 추상화된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제공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I chatbot service via a messenger, a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is the first thing that users see to communicate with the chatbot. This profile image not only manages an impression about the profile owner in SNS on followers, but also makes an important impression about chatbot services on use...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SNS 프로필 이미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프로필 이미지를 자기표현과 인상 관리 수단으로 바라보았고, 기업은 이러한 소비자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필 이미지를 연구해 왔다[1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반대로 챗봇 프로필 이미지를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호감과 공감을 불러일으킴으로서 친구 맺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 도구로 바라보았다. 즉,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는 기업을 대표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이미지 생성의 주체가 기업이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된다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 우리가 매일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고 사람을 만나듯이 계절변화에 따른 이벤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가는 인공지능을 이미지에 반영한다면 그에 따른 적절한 표현 방식을 찾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이미지 표현 방식에 대해서 제안 할 것이다.
  • 대화자체가 목적이 되는 경우 단순 테스크를 수행하는 챗봇에 비하여 사용자들이 챗봇을 좀 더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챗봇 프로필 이미지에 대한 기대감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화중심 챗봇으로 범위를 정하고 대화의 목적을 주제가 있는 심리상담과 재미를 위한 대화로 구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은 심리상담할 때와 심심할 때 각각 다른 것으로 [8]에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격에 따른 챗봇 프로필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차이를 밝혀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이 SNS에서 프로필 이미지는 상대방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첫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프로필 이미지 관리를 통해 의미 있는 인상을 전달하고자 한다. 챗봇 서비스의 경우에도 대화창에서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의 성격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인상을 좌우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화중심 챗봇으로 범위를 정하고 대화의 목적을 주제가 있는 심리상담과 재미를 위한 대화로 구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은 심리상담할 때와 심심할 때 각각 다른 것으로 [8]에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격에 따른 챗봇 프로필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차이를 밝혀보고자 한다.
  • DISC 성격모델은 관찰이 어려운 인간의 내면적 성격보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의 측면에서 성격을 구분하였기 때문에 실제 인간이 아닌 로봇(챗봇)의 행동을 정의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프로필 이미지는 챗봇을 대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가지고 대화를 할 때 현존감을 느끼도록 도와주는 이미지로 정의하고자 한다. 현존감이란 실제로 거기에 존재하지 않아도, 그 곳에 존재하고 사람들과 함께 상호작용 하는듯한 느낌을 말한다[9].
  • 즉,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는 기업을 대표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이미지 생성의 주체가 기업이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된다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프로필 이미지를 가상 인격체의 스토리를 담을 수 있는 매체로 바라보고자 한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삶을 프로필 이미지에 반영하여 업데이트 하고 관리하는 것처럼 기업에서 제공하는 챗봇 이미지도 변화하고 진화하면서 사용자의 평생의 동반자로서 관심을 유지시켜 주는데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사례연구에는 친구 역할 또는 상담 목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챗봇들의 성격과 프로필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 유형과 표현 방식을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맞춰 설문을 작성하고 조사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이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챗봇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호되는 프로필 이미지와 표현 방법에 대해서 밝혀보았다.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는 서비스에 대한 첫인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계의 첫 시작인 친구추가로 연결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는 서비스에 대한 첫인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계의 첫 시작인 친구추가로 연결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챗봇의 사용 목적을 심심할 때와 심리상담 목적으로 한정 지었다. 각각의 목적에 따라 실제 사례에서 챗봇의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유형을 구분하였고 그것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구와 대화하듯 관계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챗봇과 심리상담과 정신적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챗봇으로 구분하여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의 목적은 상용되고 있는 챗봇들에서 프로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자 한다.
  • 사례 분석에서 도출한 이미지 유형을 참고하여 챗봇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밝혀보고자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대상자들은 20-70대 남자(66명), 여자(92명) 총 158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구와 대화하듯 관계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챗봇과 심리상담과 정신적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챗봇으로 구분하여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의 목적은 상용되고 있는 챗봇들에서 프로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자 한다. 사례의 선정기준은 각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고 매체에서 가장 많이 소개되는 국외 챗봇으로 선정하였다.
  • 이 장에서는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를 얼굴로 표현할 때 적절한 방식을 파악하고자 언캐니밸리 이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의 로보티스트 모리 마사히로가 밝힌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이론에 따르면 [그림 2]와 같이 로봇이 사람의 모습과 흡사해질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도달하면 강한 거부감으로 바뀌고 다시 인간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흡사하면 다시 호감도가 증가하여 인간에게 느끼는 감정과 동일하게 느끼는 수준까지 도달한다고 한다[17].
  • 감정을 기록하고 다스리며 개인화되고 앞서 행동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한다. 이 챗봇은 감정에 반응해주고 기분이 좋아질 수 있게 사용자들을 도울 수 있는 작은 행동들을 제안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상황을 잘 파악하고 앞서서 돕는다[24].
  • 챗봇의 성격 연구에 따르면 심심할 때 활발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온화하고 다정한 성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그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웃고 있는 얼굴을 기본으로 남녀, 사람 동물 사물을 섞고자 하였다. [표 3]을 보면 첫 번째 로봇 이미지는 웃고 있는 귀여운 이미지이고 두 번째 여자 이미지는 귀엽고 적극적인 이미지이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반대로 챗봇 프로필 이미지를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호감과 공감을 불러일으킴으로서 친구 맺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 도구로 바라보았다. 즉,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는 기업을 대표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이미지 생성의 주체가 기업이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된다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프로필 이미지를 가상 인격체의 스토리를 담을 수 있는 매체로 바라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는 프로필 이미지를 사용자들이 자아를 표현 측면에서 접근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챗봇의 프로필 사진을 바라보는 사용자 입장에서 챗봇 서비스의 성격에 따른 선호 이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 이미지 샘플을 통한 프로필 이미지 선호도 차이를 밝혀 보기 위해 5가지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챗봇의 성격 연구에 따르면 심심할 때 활발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온화하고 다정한 성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그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웃고 있는 얼굴을 기본으로 남녀, 사람 동물 사물을 섞고자 하였다.
  • 현존감이란 실제로 거기에 존재하지 않아도, 그 곳에 존재하고 사람들과 함께 상호작용 하는듯한 느낌을 말한다[9]. 표현 방식은 사실성 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사실적 표현이 사용자에게 챗봇의 이미지로서 적합하다고 느껴지는지 대해서 밝혀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에서 프로필 이미지는 왜 중요한가? 통계에 따르면 대화창에서의 프로필 이미지는 1억 7천만건의 페이지 뷰가 일어나며 하루 동안 수십 번씩 프로필 이미지를 바꾸는 사용자도 있다[5]. 이와 같이 SNS에서 프로필 이미지는 상대방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첫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프로필 이미지 관리를 통해 의미 있는 인상을 전달하고자 한다. 챗봇 서비스의 경우에도 대화창에서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의 성격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인상을 좌우할 수 있다.
챗봇 서비스에 따라 적절한 성격과 이미지를 선정하는 디자인 가이드가 왜 필요한가? 7억 달러 수준까지 확대될 전망이다[2].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고 챗봇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챗봇을 좀 더 사람같이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챗봇을 사람으로 인식하여 챗봇에게 개인적인 정보를 물어보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3]. 또한 TV에 잘 알려진 드라마 캐릭터들을 반영한 챗봇을 사용자에게 선택하여 대화하도록 실험 하였을 때 50% 이상 챗봇을 실제 인간으로 믿은 것으로 나타났다[4]. 이처럼 챗봇에 특정 성격을 부여하는 기술 구현이 가능해지면서 챗봇 서비스에 따라 적절한 성격과 그에 부합되는 이미지를 선정하는 디자인 가이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챗봇의 시장 성장 전망은 어떠한가? 챗봇은 점차로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단순한 인공지능에서 나를 이해하고 감성적 교감이 이루어지는 감성지능으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1]. 이러한 챗봇의 시장은 2017년에 15만개에서 2022년 2,430만개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2016년 이후 연평균 35.2%씩 성장해 2021년에는 31.7억 달러 수준까지 확대될 전망이다[2].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고 챗봇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챗봇을 좀 더 사람같이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www.etnews.com/20171225000006 

  2. 이경일, 챗봇(chatbot):제3의 물결, 흥국증권, 2017 

  3. Z. Yu, Z. Xu, A. W. Black, and A. Rudnicky, "Strategy and policy learning for non-task-oriented conversational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17th Annual Meeting of the Special Interest Group on Discourse and Dialogue, pp.404-412, 2016. 

  4. H. Nguyen, D. Morales, and T. Chin, A Neural Chatbot with Personality, Stanford University working paper, 2017. 

  5. www.roaconsulting.co.kr 

  6. 이종윤, 홍장선, 윤주현,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유형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6권, 제4호, pp.181-204, 2013. 

  7. Q. Qian, M. Huang, and X. Zhu, "Assigning personality/identity to a chatting machine for coherent conversation generation," arXiv preprint arXiv:1706.02861, 2017. 

  8. 강민정,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19-329, 2018. 

  9. 고미숙,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를 통한 인격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도덕윤리과교육연구, 제36권, pp.85-113, 2012. 

  10. 김희경, SNS 프로필 이미지와 소비자 광고태도의 상관성,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김보섭, 이미지로 생각한다는 것 : 인터뷰로 본 디자이너의 사고 과정, 베란다, 2017. 

  12. J. Ferguson and C. Fletcher, "An investigation of some cognitive factors involved in person-perception during selection interviews," Psychological Reports, Vol.64, No.3, pp.735-745, 1989. 

  13. 강민지, SNS미디어에 표현된 자아유형의 인상 관리 정도에 따른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수용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4. M. L. Antheunis, P. M. Valkenburg, and J. Peter, "Getting acquainted through social network sites: Testing a model of online uncertainty reduction and social attra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1, pp.100-109, 2010. 

  15. T. Greitemeyer and I. Kunz, "Name-val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in Facebook: Their compensatory effects on friendship accepta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3, No.3, pp.257-260, 2013. 

  16. 강영안, E. Levinas,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17. M. B. Mathur and D. B. Reichling, "Navigating a social world with robot partners: A quantitative cartography of the Uncanny Valley," Cognition, Vol.146, pp.22-32, 2016. 

  18. C. Misselhorn, "Empathy with inanimate objects and the uncanny valley," Minds and Machines, Vol.19, No.3, p.345, 2009. 

  19. 정희진, 엄기서, "가상공간에 나타난 아바타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7권, 제1호, pp.319-331, 2001. 

  20. 김남훈, 디지털 캐릭터의 UV(Uncanny Valley) 현상에 관한 연구 : 리얼리즘 기반의 CG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http://www.itworld.co.kr/tags/71722/AR%EC %9D%B4%EB%AA%A8%EC%A7%80/108478 

  22. http://uk.businessinsider.com/therapy-chatbot -depression-app-what-its-like-woebot-2018-1 /#alison-darcy-a-clinical-psychologist-at-stanf ord-university-created-woebot-based-on-cogn itive-behavioral-therapy-which-encourages-pe ople-to-examine-how-they-react-to-challengi ng-situations-2 

  23.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2018/apr /25/meet-tess-the-mental-health-chatbot-that -thinks-like-a-therapist 

  24. https://www.techinasia.com/ai-chatbot-wysatouchkin- penguin 

  25. https://www.theguardian.com/sustainable-business/2015/sep/17/ellie-machine-that-can-detect-depression 

  26.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3936/three-weeks-with-a-chatbot-and-ive-made-a-new-friend/ 

  27. https://venturebeat.com/2017/07/11/expressive-ai-launches-emotionally-responsive-avatars/ 

  28. https://futurism.com/ai-chatbot-meaningfulconversation/ 

  29. http://uk.businessinsider.com/best-ai-chatbots-online-robot-chat-2017-10 

  30. 은희, 주은선, "내담자 변인과 상담형태에 따른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감 연구,"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51-7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