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빵의 텍스처 및 저장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ddition of GABA rice bran and its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14 - 620  

오수진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권영회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신해헌 (백석문화대학 외식산업학부) ,  김현수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최희돈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연구센터) ,  임승택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처리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킨 미강 및 이의 열수 추출물을 밀가루 중량의 20%까지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저장 중 텍스처의 변화 및 잔유 GABA 함량를 분석하였다. 부피와 비용적율은 대조구에 비해 GABA 미강 첨가구는 감소한 반면, 미강추출물 첨가구는 약간 증가하거나 유지되었으며, 무게는 대조구와 첨가구에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대조구 대비 GABA 미강과 미강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하고, a와 b값은 증가하여 색이 진해지는 현상을 나타냈었다. 저장 중 빵 시료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되어 수분함량의 변화는 2%이하로 아주 미미하였으나,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수분감소를 다소 줄일 수 있었다. 경도(hardness)씹힘성(chewiness) 등의 텍스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 되었으나,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의 증가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미강추출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낮은 경도를 보였다. 탄력성(springiness)은 대조구와 첨가구에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 후에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빵의 GABA 함량은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대조구 대비 40배 가량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GABA 일부가 열에 의해 손실되었으나 상당량 잔유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GABA 미강을 직접 첨가하는 것보다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제빵하는 것이 적절하며, 미강추출물을 5-20% 첨가하여 빵의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GABA 첨가 효과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빵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ice bran physically treated to increase the residual gamma amino butyric acid (GABA) content (200 mg/100 g) or its hot-water extract (200 mg/100 g) was added into a white pan bread, and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color, and volume and texture change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처리를 통하여 GABA 함량이 증가된 미강 및 이를 열수 추출한 미강추출액을 빵에 첨가하여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키고, 물리적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친환경 천연/자연 첨가제로서 미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건강기능성 성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요인은? 식생활의 간편화 및 서구화에 인해 제빵류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관련된 제빵 산업계에서는 신제품 개발 및 품질 향상 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의 불규칙한 생활 및 부적절한 식사 습관과 함께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건강기능성 성분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강에 함유된 건강기능성 성분 중 GABA의 알려진 이점은? 미강에 함유된 건강기능성 성분 중 GABA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으로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혈압 감소(Inoue 등, 2003; Kalueff과 Nutt, 1996), 간기능 개 선(Oh 등, 2003), 암세포의 세포사멸(Oh와 Oh, 2004), 기억력 개선(Kalueff와 Nutt, 1996), 스트레스 저감 효과(Vaiva 등, 2004) 등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식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GABA는 그 함량이 매우 적고, 식품가공 중 열에 의해 쉽게 손실되어 자연의 GABA만으로는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Lim과 Kim, 2009).
미강에 함유된 건강기능성 성분 중 GABA를 자연적으로 얻기 어려운 이유는? 미강에 함유된 건강기능성 성분 중 GABA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으로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혈압 감소(Inoue 등, 2003; Kalueff과 Nutt, 1996), 간기능 개 선(Oh 등, 2003), 암세포의 세포사멸(Oh와 Oh, 2004), 기억력 개선(Kalueff와 Nutt, 1996), 스트레스 저감 효과(Vaiva 등, 2004) 등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식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GABA는 그 함량이 매우 적고, 식품가공 중 열에 의해 쉽게 손실되어 자연의 GABA만으로는 생리활성 증진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Lim과 Kim, 2009). 최근 미강내GABA함량 증진 방법의 하나로 잔류하는 GABA 합성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물리적 스트레스 처리 방법(Kim 등, 2015)과 GABA의 전구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Oh 등, 2019)이 소개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dul-Hamid A, Luan YS. Functional properties of dietary fibre prepared from defatted rice bran. Food Chem. 68: 15-19 (2000) 

  2. Arab F, Alemzadeh I, Maghsoudi V.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of rice bran extract. Sci. Iran. 18: 1402-1406 (2011) 

  3. Axford D, Colwell K, Cornford S, Elton, G. Effect of loaf specific volume on the rate and extent of staling in bread. J. Sci. Food Agric. 19: 95-101 (1968) 

  4. Bechtel W, Meisner D, Bradley W. The effect of the crust on the staling of bread. Cereal Chem. 30:, 160-168 (1953) 

  5. Bhat FM, Riar CS. Extraction,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antioxidative compounds of bran extracts of traditional rice cultivars: An analytical approach. Food Chem. 237: 264-274 (2017) 

  6. Campbell AM, Penfield MP, Griswold RM. The Experimental Study of Food, Houghton Mifflin Co,. Boston, MA, USA (1979) 

  7. Chevallier S, Colonna P, Della Valle G, Lourdin D. Contribution of major ingredients during baking of biscuit dough systems. J. Cereal Sci. 31: 241-252 (2000) 

  8. Choi Y, Jeong HS, Lee J.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2007) 

  9. Chun S, Park J, Cho Y, Kim M, Kim R, Kim K. Effect of onion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Food Nutr. 14: 346-354 (2001) 

  10. Chung HJ, Cho A, Lim ST. Utilization of germinated and heat-moisture treated brown rices in sugar-snap cookies. LWT-Food Sci. Technol. 57: 260-266 (2014) 

  11. Collar C, Mascars AF, Barber CB. Amino acid metabolism by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bread dough fermentation. J. Food Sci. 57: 1423-1427 (1992) 

  12. De Barber C. B., Prieto J, Collar C.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of changes in free amino acids during wheat bread dough fermentation. Cereal Chem. 66: 283-288 (1989) 

  13. Faergestad E, Molteberg E, Magnus E. Interrelationships of protein composition, protein level, baking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arth bread and pan bread. J. Cereal Sci. 31: 309-320 (2000) 

  14. Furst P, Pollack L, Graser T, Godel H, Stehle P. Appraisal of four pre-column derivatization methods for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in biological materials. J. Chromatogr. A 499: 557-569 (1990) 

  15. He H, Hoseney R. Changes in bread firmness and moisture during long-term storage. Cereal Chem. 67: 603-605 (1990) 

  16. Inoue K, Shirai T, Ochiai H, Kasao M, Hayakawa K, Kimura M, Sansawa H. Blood-pressure-lowering effect of a novel fermented milk containing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in mild hypertensives. Eur. J. Clin. Nutr. 57: 490-495 (2003) 

  17. Kalueff A, Nutt D. Role of GABA in memory and anxiety. Depress. Anxiety 4: 100-110 (1996) 

  18. Kim SR, Ahn JY, Lee HY. Ha TY.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004) 

  19. Kim BR, Choi YS, Lee SY.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41-247 (2000) 

  20. Kim HS, Lee EJ, Lim ST, Han JA. Self-enhancement of GABA in rice bran using various stress treatments. Food Chem. 172: 657-662 (2015) 

  21. Lamberts L, Joye IJ, Belin T, Delcour JA. Dynamics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 wheat flour bread making. Food Chem. 130: 896-901 (2012) 

  22. Lee YH, Moon TW.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88-294 (1994) 

  23. Lim SD, Kim KS.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J. Milk Sci. Biotechnol. 27:45-51 (2009) 

  24. Lima I, Guraya H, Champagne E. The functional effectiveness of reprocessed rice bran as an ingredient in bakery products. Nahrung 46: 112-117 (2002) 

  25. Oh SJ, Kim HS, Lim ST, Reddy CK. Enhanced accumul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in rice bran using anaerobic incubation with various additives. Food Chem. 271: 187-192 (2019) 

  26. Oh CH, Oh SH.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J. Med. Food 7: 19-23 (2004) 

  27. Oh SH, Soh JR, Cha YS.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shows a nutraceutical effect in the recovery of chronic alcohol-related symptoms. J. Med. Food 6: 115-121 (2003) 

  28. Ragaee S, Guzar I, Dhull N, Seetharaman K. Effects of fiber addition on antioxidant capacity and nutritional quality of wheat bread. LWT-Food Sci. Technol. 44: 2147-2153 (2011) 

  29. Sairam S, Gopala Krishna AG, Urooj 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efatted rice bran and its utilization in a bakery product. J. Food Sci. Technol. 48: 478-483 (2011) 

  30. Sharif MK, Butt MS, Anjum FM, Khan SH. Rice bran: a novel functional ingredient. Crit. Rev. Food Sci. Nutr. 54: 807-816 (2014) 

  31. Skurray GR, Wooldridge DA, Nguyen M. Rice bran as a source of dietary fibre in bread. International J. Food Sci. Technol. 21: 727-730 (1986) 

  32. Vaiva G, Thomas P, Ducrocq F, Fontaine M, Boss V, Devos P, Rascle C, Cottencin O, Brunet A, Laffargue P. Low posttrauma GABA plasma levels as a predictiv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cut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iol. Psychiat. 55: 250-25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