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6, 2018년, pp.711 - 721  

홍명희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이순영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hift to a software-driven society are raising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on how to access, understand, use, create and share new open content in a variety of sustainable open content. At this point in time, this paper def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체적인 정의와 요소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학습 요소를 선정, 구조화하며 이를 교육활동에 구현하기 위한 전략 수립으로 교수 학습 모델을 마련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필수적인 대상 콘텐츠는 웹 환경에서활용 가능한 오픈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한다.
  • 또한 인공지능의 활용시대를 맞이하여 데이터 기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한 인공지능의 발전에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추출에 대한논의와 오픈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 이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으로 정의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교육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데이터, 소프트웨어 도구, 컴퓨팅 장치, 네트워크, 윤리와 같은 5가지 학습 요소와 비인지적 요소에 대한 접근, 이해, 사용, 창조, 공유와 같은 학습 활동에 대한 포괄적인 제시를 하였다.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에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것을 ○, ◐, ●로 표시하여 학습내용에 대한 위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과 교육 방법 마련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을 포함하는 교과 교육 형태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실과’교과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시도 교육지원청과 단위학교 중심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민 보통 교육으로 일관되고 표준화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 여부 및 질을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또한 실과 교과목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육은 6학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절대적인 시수의 부족으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9].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가능하게 된 가장 큰 계기는 무엇인가? 인공지능의 기술은 과거에는 지식 기반의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형태로 시작되어 발전하였으며 현재에는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도약을 이루고 있다[11]. 최근 들어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가능하게 가장 큰 계기는 데이터 기반이 가능한 빅데이터의 구성과 활용이 가능한 컴퓨팅 환경에 있다[15]. 웹이 개발된 이래로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가 “Web as Platform”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개방, 공유, 참여성을 가진 Web 2.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리터러시 개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A. 2013. Digital Literacy, Libraries, and Public Policy: Report of the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s Digital Literacy Task Force.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guMeX0 

  2. CSTA (2017).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PP1OUJ 

  3. Heeok Heo, Euisung Kang (2010). Research trend of Web 2.0 use i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2), 59-70. 

  4. Heo Won (2012). Effective Blended Class Using Open Source Software, Open Contents, and Open Service - Focused on Digital Circuit Class. Information science journal, 30(5), 42-27. 

  5. ISTE (2018). ISTE STANDARDS FOR STUDENTS.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YTmOju 

  6. Jingin Kwon, Jaehyoun Kim (2017). A Study of Digital Literacy on Digital Culture Society. Journal of Korea Computer Education Summer Research Presentation, 21(2), 245-246. 

  7. JISC (2015). Develop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2D4Bbj 

  8. John, B., Thavavel, V., Jayaraj, J., Muthukumar, A., Jeevanandam, P. K. (2016), Design of Open Content Social Learning That Increases Learning Efficiency and Engagement Based on Open Pedagogy.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20-32. 

  9. Kapsu Kim (2016). An Implications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from the U.S., U.K. and Germany Computer Curriculu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4), 421-432. 

  10. Kim Eunhae (2015).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s of Software Education using Open Contents. Master Degree Pap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Kim, Seung Rae (2018). Legal Tasks and Prosp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I Era. Law Review, 18(2), 21-57. 

  12. Kim Soo Hwan et al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Literacy Curriculu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R 2017-4. 

  13. Kim Young Moon etc 18 (2002). Open Source Software Research Report - Focused on legal issues and foreign policy trends. Korea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Policy Studies 02-10. 

  14. Lee Manjae, Hong Myunghui and Park Hyunje (1999). Multimedia Introduction, Korean Broadcasting University Press. 

  15. Marie Kim, Nae Soo Kim, Cheol Sig Pyo (2018). 4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AI Service Platfor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3(10), 1763-1769. 

  16. MediaSmarts (2018). Digital Literacy Fundamentals. Retrieved December 11, 2018, https://is.gd/DToDhc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Vol 2015-80. 

  18.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revised national information curriculum 2015 for Secondary Schools. Vol 2015-74.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revised national Practical Arts curriculum 2015 for Primary Schools. Vol 2015-74. 

  20. Sook Young Choi (2018).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 Computer Education, 21(5), 25-35. 

  21. Top Tools for Learning 2018 (2018). Results of the 12th Annual Digital Learning Tools survey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3SZ9dp 

  22. UBS (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pdf.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dlumx4 

  23. Wikipedia (2018). Open Contents. Retrieved December 8, 2018, https://is.gd/p6eJR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