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yesian state-space 모델을 이용한 말쥐치 자원평가 및 관리효과 분석
Assessing Stock Biomass and Analyzing Management Effects Regarding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42 no.1, 2020년, pp.63 - 76  

최민제 (국립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해양수산경영학과) ,  김도훈 (국립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해양수산경영학과) ,  이해원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서영일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stock status and analyze the management effects with regard to the Black scraper, which is one of the more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The catch amounts of Black scraper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since 1991. In this analysis, a Bayesian state-space mod...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ayesian state-space 모델은 자원평가 함수에서 발생하는 과정오차와 자료에서 발생하는 관측오차를 함께 고려하여 자원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모델로, 남대서양 날개다랑어, 하와이 바다거북, 국내 눈볼대 자원평가 등에 적용되었다(최와 김 2019; Millar and Meyer 2000; Chaloupka and Balazs 2000). 그리고 Bayesian state-space 모델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말쥐치에 대한 자원관리수 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자원관리수단 중 말쥐 치와 같이 어획량이 크게 감소한 북대서양 대구 자원에 대해 시행하여 최근 자원회복 효과를 보고 있는 모라토리움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Rose and Rowe 2015).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적 자원평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가 모델과 분석 자료에서 발생하는 불확실 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Bayesian state-space 모델을 활용하여 말쥐치에 대한 자원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최와 김 2019; Meyer and Millar 1999; Millar and Meyer 2000). Bayesian state-space 모델은 자원평가 함수에서 발생하는 과정오차와 자료에서 발생하는 관측오차를 함께 고려하여 자원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모델로, 남대서양 날개다랑어, 하와이 바다거북, 국내 눈볼대 자원평가 등에 적용되었다(최와 김 2019; Millar and Meyer 2000; Chaloupka and Balazs 2000).
  • 자원관리수단에 따른 말쥐치 자원회복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말쥐치에 대한 전면적 어업금지인 모라토리움 설정에 따른 향후 자원량 변화를 추정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추정에 있어서는 향후 10년, 20년, 30년, 40년, 그리고 계속해서 모라토리움을 유지했을 때의 자원량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자원회복 목표량은 BMSY (365,200 톤)로 설정하였다.
  • 그리고 Bayesian state-space 모델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말쥐치에 대한 자원관리수 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자원관리수단 중 말쥐 치와 같이 어획량이 크게 감소한 북대서양 대구 자원에 대해 시행하여 최근 자원회복 효과를 보고 있는 모라토리움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Rose and Rowe 2015).

가설 설정

  • (q)에는 무정보적 (noninformative) 사전분포를 가정하였다.
  • 구체적으로, 추정에 있어서는 향후 10년, 20년, 30년, 40년, 그리고 계속해서 모라토리움을 유지했을 때의 자원량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자원회복 목표량은 BMSY (365,200 톤)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BMSY 수준 이후부터는 현재의 어획노력량 수준으로 다시 말쥐치 어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모라토리움 하에서 말쥐치 자원량 증가는 식 (5)의 쉐퍼(Schaefer) 성장량 함수식에서와 같이 자원의 본원적성장률(r)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앞의 모라토리움 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Bayesian state-space 모델에서 추정된 r 값의 중앙값을 가정한 것으로, r 값의 확률분포 범위에 따라 향후 모라토리움의 효과가 달리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모라토리움 설정 시 말쥐치 자원의 본원적성장률(r) 변화에 따른 향후 말쥐치 자원량 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wak WS, Lee SG (2009) Developmental changes in digestive organ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Korean J Ichthy 21(3):149-157 

  2.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Enforcement decree of the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cct. http://www.law.go.kr/ Accessed 28 August 2019 

  3. NIFS (2018) Resource status of 2018 and restoration recommendation of fisheries resources in 2019.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Gijang, 167 p 

  4. Nam KM, Yoo JT, Kim JW, Park JH, Baeck GW (2018) Maturation and spawning of femal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 54(1):89-95 

  5. Baeck GW, Park JM, Jeong JM, Ye SJ, An YS (2012) Feeding habits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Korean J Ichthy 24(4):272-277 

  6. Lee SJ, Go YB, Lee YD, Jung JH, Han CH (2000a)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 12(1):71-84 

  7. Lee SJ, Go YB, Choi YC (2000b)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larvae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Korean J Ichthy 12(3):208-214 

  8. Choi MJ, Kim DH (2019) Comparing surplus production models for selecting effective stock assessment model: Analyzing potential yield of East Sea, Republic of Korea. Ocean Polar Res 41(3):183-191 

  9. Choi JH, Kim DH, Choi MJ, Kang HJ, Seo YI, Lee JB (2019)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seaperch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 J Korean Soc Fish Ocean Tech 55(2):95-104 

  10. KOSIS (2019) Fishery production survey. http://kosis.kr/ Accessed 28 August 2019 

  11. Chaloupka M, Balazs G (2007) Using Bayesian state-space modelling to assess the recovery and harvest potential of the Hawaiian green sea turtle stock. Ecol Model 205(1-2):93-109 

  12. Gavaris S (1980) Use of a multiplicative model to estimate catch rate and effort from commercial data. Can J Fish Aquat Sci 37(12):2272-2275 

  13. Hinton MG, Maunder MN (2004) Methods for standardizing CPUE and how to select among them. Col Vol Sci Pap ICCAT 56(1):169-177 

  14. Kim AR, Bae HJ, Kim HG, Oh CW (2016) Age and growth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Gunther, 1877) off the Jeju Island of Korea. Ocean Sci J 51(3):355-362 

  15. Le MH, Lim HK, Min BH, Kim SY, Chang YJ (2007) Milt properties and spermatozoa structure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Develop Rep 11(3):227-233 

  16. Meyer R, Millar RB (1999) BUGS in Bayesian stock assessments. Can J Fish Aquat Sci 56(6):1078-1087 

  17. Millar RB, Meyer R (2000) Non-linear state space modelling of fisheries biomass dynamics by using Metropolis-Hastings within-Gibbs sampling. J Roy Stat Soc C-App 49(3):327-342 

  18. Nishida T, Bigelow K, Mohri M, Marsac F (2003) Comparative study on Japanese tuna longline CPUE standardizatio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in the Indian Ocean based on two methods: General linear model (GLM) and habitat-based model (HBM)/GLM combined. In: IOTC Proceedings, pp 48-69 

  19. Ntzoufras I (2011) Bayesian modeling using WinBUGS. John Wiley & Sons, New Jersey, 520 p 

  20. Polacheck T, Hilborn R, Punt AE (1993) Fitting surplus production models: Comparing methods and measuring uncertainty. Can J Fish Aquat Sci 50(12):2597-2607 

  21. Rose G, Rowe S (2015) Northern cod comeback. Can J Fish Aquat Sci 72(12):1789-1798 

  22. Schaefer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American Trop Tuna Comm Bull 1(2):23-56 

  23. Shono H (2008) Application of the Tweedie distribution to zero-catch data in CPUE analysis. Fish Res 93(1-2):154-162 

  24. Spiegelhalter D, Thomas A, Best N, Lunn D (2003) WinBUGS user manual. https://www.mrc-bsu.cam.ac.uk/wp-content/uploads/manual14.pdf Accessed 28 August 2019 

  25. Yamada U, Tokimura M, Horikawa H, Nakabo T (2007) Fishes and fisheries of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Tokai University Press, Kanagawa, 1182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