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The Creation of Ttukseom Pleasure Ground and Its Transformation to a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1, 2018년, pp.127 - 142  

김정은 (환경과조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뚝섬 일대는 조선 시대 국마를 기르던 목장과 내농포가 있던 교외 지역이었다. 일제 식민지기, 이곳에는 유원지가 조성되었고, 광복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뚝섬유원지의 조성부터 공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한다. 1930년대 교외 철도를 운영했던 경성궤도는 승객 유치를 위해 뚝섬에 유원지를 조성한다. 이는 철도 연선에 유원지를 조성했던 일본 사철의 경영 방식을 모범으로 개발된 것이다. 식민지기 뚝섬 일대의 농업 경관은 대중매체를 통해 도시와 대비되는 목가적인 '전원 풍경'으로 묘사되었다. 뚝섬유원지는 경성 서민들의 대표적인 여름 피서지로 떠올랐으며, 경성부에 의해 관리되는 계도의 장이기도 했다. 광복 이후 뚝섬은 서울에 편입되고, 유원지 역시 서울시에서 운영했다. 1960년대부터 뚝섬 일대가 도시화되면서 뚝섬에 공원 혹은 대규모 유원지를 개발하려는 계획이 지속적으로 수립되지만 구현되지 못했다. 광복 이후에도 뚝섬유원지는 식민지기의 운영과 이용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980년대 후반 시민공원으로 재탄생한 뚝섬유원지는 한강변의 모래사장은 사라졌지만, 노천 수영장, 캠핑장, 보트놀이 등 과거의 시설과 주요 활동들이 현재까지도 주요 프로그램으로 이어지고 있다. 뚝섬 일대의 도시화가 일단락되고 전원 이미지를 구성했던 요소가 사라지면서 유원지로서의 매력도 상실한다. 과거 뚝섬유원지에서 제공했던 동적 레크리에이션은 공원에서 일상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뚝섬유원지에서 뚝섬한강공원으로의 변화는 서울의 도시화 과정의 산물인 동시에, 유원지와 공원의 습합 과정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tukseom was once a suburban area that had a government horse ranch for national use and a naenogpo (area of royal farm 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 pleasure ground was built at Ttukseom, and after independence, it has been used as a park through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is 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원지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즉, 유원지란 돌아다니거나 놀이를 위한 정원과 같은 공간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는 “돌아다니며 구경하거나 놀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설비를 갖춘 곳”이다. 사전적 의미로만 본다면 유원지는 공원(公園) 즉, “국가나 지방 공공 단체가 공중의 보건·휴양·놀이 따위를 위하여 마련한 정원, 유원지, 동산 등의 사회 시설”과 유사하며(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유원지를 공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어 사실상 그 구별이 모호하게 다가온다.
'놀이하는 인간' 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인간 분류를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 ‘놀이하는 인간’을 의미하는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는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했던 하위징아(Johan Huizinga)는 놀이는 놀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호모 루덴스는 놀이를 통해 현실에서 벗어나 환상(illusion)의 세계 속으로 들어간다고 했다(Huizinga, 1964: 41-49; Noh, 2011: 58-62). 오리코스트(Isabelle Auricoste)는 일상을 영위하는 곳이 아닌 ‘어딘가 다른 곳’은 낙원을 환기한다고 시사했다.
우리나라에서 유원지란 표현을 처음 사용한 연도는 어떻게 되는가? 고전에서 유원지란 표현을 찾아보면 보통명사로서 ‘유원(지)’란 표현은 찾기 어렵다. 1876년(고종 13년)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뒤 수신사로 처음 일본에 다녀온 김기수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문물을 시찰하고 기록한 책인 『일동기유(日東記游)』에서 ‘유원’이란 표현을 비로소 발견할 수 있다2). 유길준은 서구의 근대 문물을 보고 쓴 『서유견문(西遊見聞)』(1895)에서 지금의 유원지와 유사한 의미로 유정(遊亭), 유보장(遊步場), 유게장(遊憩場), 유연장(遊衍場)과 같은 표현을 쓴다(Kim, 2010: 276-27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be, K. ed.(1935, 1987) A List of Honorable Persons of Joseon (朝鮮功勞者 名鑑). Seoul: Yeogang Press. 

  2. Auricoste, I.(1992) “Leisure Parks in Europe: Entertainment and Escapism” in The Architecture of Western Gardens. Cambridge, Mass: MIT Press. 

  3. Chang, H. S.(1982) A Geographical Study on the Changes (1960~ 70) in Farming Regions of Grapes, Apples and Pea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Gwangjingu (1997) History of Gwangjingu (廣津區誌). Seoul: Gwangjingu. 

  5. Gwangjingu (2016) History of Gwangjingu. Seoul: Gwangjingu. 

  6. Gyeongseong Ilbo (京城日報). 

  7. Hashizume, S.(2000) Amusement Park in Japan (日本の遊園地). Tokyo: Kodansha. 

  8. Hong, K. S.(2006) Changing landscape of the Ttukseom-Jangahnpyong region.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8 (1): 102-134. 

  9. Huizinga, J.(1964)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Boston: Beacon, 1964), Lee, J. I. trans., Goyang: Yeonamseoga, 2010. 

  10. Huh, M. ed.(2006) Map of Ranchs (牧場地圖).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1. Hunt, J. D.(2012) A World of Gardens. London: Reaktion Books. 

  12.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ttp://db.itkc.or.kr) 

  13. Ishikawa, M.(2001) City and Green Space (Tokyo: Iwanamishoten, 2001), Lee, Y. T. trans., Seoul: Hyunjingihoeg, 2004. 

  14. Joseon Railway Association (1936) Guide to Gyeongseonggwedo (京城軌道沿線案內). Journal of the Joseon Railway Association (朝鮮鐵道協會會誌) 15 (10): 60-62. 

  15. Joseonchongdokbu (1933) Survey Materials Chapter 38 Lifestyle Survey (5): Villages of Joseon (Part 1)(調査資料 第38輯 生活狀態調査(其5): 朝鮮の聚落(前篇)). Gyeongseong: Joseonchongdokbu. 

  16. Joseonchongdokbu (1937a) Joseon Civil Engineering Records (朝鮮土木事業誌). Joseon Civil Engineering Association. 

  17. Joseonchongdokbu (1937b) Statement of Reasons for Gyeongseong City Plan (京城市街地計劃(區域, 街路網, 土地區劃整理地區)決定理由書). Gyeongseong: Joseonchongdokbu Home Office. 

  18. Joseonchongdokbu Forestry Experiment Station (1938) Forest of Joseon (朝鮮の林藪). Gyeongseong: Joseonchongdokbu Forestry Experiment Station. 

  19. 10.9783/9780812207323.217 Kane, J.(2013) “Edwardian Amusement Parks: The Pleasure Garden Reborn?,” in The Pleasure Garden: from Vauxhall to Coney Island. Jonathan C. ed.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 Kang, B. S.(1980) Amusement park development pla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ituation: Focused on around Seoul city. Urban Problem 15 (8): 66-78. 

  21. Kang, D. H.(1971) Process and types of urbanization at the urban fringe area of eastern part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6 (1): 25-49. 

  22. Kim, B. Y.(2009) Domination and Space: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Imperial Japan. Seoul: Moonji Publishing. 

  23. 10.22345/kjuh.2017.4.17.67 Kim, B. Y.(2017) Gangnam development and olympic effect: Focusing on the Jamsil Olympic Town Project in the 1970s and 1980s.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 17: 67-101. 10.22345/kjuh.2017.4.17.67 

  24. Kim, H. C.(2010) Korean Vocabulary Research. Masan: Kyungnam University Press. 

  25. Kiyoji, S.(1996) Encyclopedia of Chinese Characters (漢字百科大事典). Tokyo: Meiji Shoin. 

  26. Korean Film (www.koreafilm.or.kr) 

  27. Lash, S. and J. Urry (1994) Economies of Signs and Space. (London: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1994). Park, H. J. and K. D. Kwon trans, Seoul: Hyundai-Meehak Publishing Co., 1998. 

  28. Lee, H. G.(2009) Walk Seoul with an Old Map. Seoul: Chungaram Media. 

  29. Lee, S. M.(2012) The category recognition for the humor (Myungrang) novel, A point of contact ‘Entertainment’ and ‘(American) Civilization’.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9: 55-93. 

  30. Lee, Y. S., B. H. Jung, H. Todoroki, B. K. Lim, D. H. Yoon, E. S. Bae, S. J. Choi, and J. M. Kim (2011)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Railway I. Seoul: Book Gallery. 

  31. Maeil Shinbo (每日申(新)報). Memory in Seoul (http://www.sfac.or.kr/memoryinseoul/html/main/ main.asp) 

  32. Nam, Y. W. ed.(1996) Guhanmal-Hanbando Topographical Maps. Seoul: Sungjomunwhasa. 

  33. Noh, M. W.(2011) Homo Ludens. Paju: Sakyejul. 

  34. Ogawa, I.(1998) “History of amusement park construction by private railway companies in Japan”,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15: 28-34. 

  35. Ono, R.(2003) The Birth of a Park (公園の誕生). Tokyo: Yoshikawakobunkan. 

  36. Park, I. J.(2002) A Study of the History of Parks System Transformation of Seoul, Korea. Ph.D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37. Park, N. S. and H. Ieda (2005) Transit-oriented new area development by Japanese railway companies in early 20th cent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2: 151-160. 

  38. Pearson, L. F.(2008) Piers and Other Seaside Architecture. Shire Publications. 

  39. Samcheonri (三千里). 

  40. Schivelbusch, W.(1977) Geschichte der Eisenbahnreise. (Munchen : Hanser, 1977), Park, J. H. trans., Seoul: Kungre, 1999. 

  41.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1985) History of Han River.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42.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1990) 600 years of Seoul's History: folklore. Seoul: Seoul. 

  43.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2012) Gyeongseongbusa (Korean translations) 3.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44.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2013) Gyeongseongbusa (Korean translations) 2.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45. Seoul Museum of History (2006) The Maps of 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46. Seoul Museum of History (2013) Build! Seoul of Mayor Kim Hyun Ok II: 1968-1970. Seoul Museum of History. 

  47. 600 years of Seoul's History (seoul600.seoul.go.kr). 

  48. Shin, S. O.(1958) The Flower in Hell. Korean Film. 

  49.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www.archives.go.kr) 

  50.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www.korean.go.kr) 

  51. The Chosun Ilbo (朝鮮日報). 

  52. The Dong-A Ilbo (東亞日報). 

  53. Yang, W. H.(1985) A Study on Planning of Park in Ttukseom Land Us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54. Yooshin and Isan (2008) Desig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Design of Han River Ttukseom Area Specialized Project. Hangang Project Headquarters. 

  55. Yum, B. K.(2013) Colonial urban plan and formation of ‘Suburbs’: Through an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Don-am district in colonial Seoul, during the 1930's~40's. Journal of History and Culture 46: 35-64. 

  56. 2015 Topographic Map. 

  57. 2016 Topographic Ma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