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산원과 병원 분만 산모의 재원일 수, 의료비용, 산후불편감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비교
Length of Stay, Health Care Cost, Postpartum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in Puerperas Giving Birth in Midwifery Clinic and Hospital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24 - 32  

박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이주영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termine traits related to pregnancy and delivery, length of stay, health care cost, postpartum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of puerperas giving birth in midwifery clinic and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들에게 분만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산원과 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재원일 수와 의료비용을 포함한 임신ㆍ출산 과정과 관련된 특성들과 산후불편감 및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산원 분만군과 병원 분만군 간에 평균 월수입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산전진찰 횟수, 산모와 배우자의 출산준비교실 참여 횟수, 아기의 건강문제와 아프가 점수에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조산원과 병원에서 분만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재원일 수와 의료비용을 포함한 임신ㆍ출산 과정 관련 특성과 산후불편감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산원과 병원에서 분만한 여성의 재원일 수, 의료비용, 산후불편감 및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원과 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재원일 수와 의료비용을 포함한 임신·출산 과정과 관련된 특성들과 산후불편감 및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다양한 분만 방식 중 대표적인 조산원과 병원에서의 분만을 비교하여 산모들의 분만 방식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산원과 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조산원과 병원 분만의 차이를 비교ㆍ분석하여 분만을 준비하는 여성들에게 분만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불편감 측정을 위한 도구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산후불편감 측정은 Ku [17]의 연구도구 중 ‘분만 후 산모가 원하는 내용들’과 Park [18]의 연구도구 중 ‘신체 불편감 측정 도구’를 바탕으로 관련 문헌을 참조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신체적 영역의 불편감 14문항, 정서적 영역의 불편감 16문항, 환경적 영역의 불편감 8문항, 사회 ․ 문화적 영역의 불편감 9문항으로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거의 그렇지 않다’ 2점, ‘약간 그렇다’ 3점, ‘상당히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산후불편감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병원에서의 분만의 장점은? 6%에 달하는 등[2] 대부분의 여성들이 병원에서 분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병원에서의 분만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상태를 조기에 사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위험을 미리 확인하여 제왕절개를 실시하는 등 임산부와 신생아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감소시켜왔다[3]. 산모들은 또한 분만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원 부족, 모성사망률이나 이환율 및 주산기 사망률 감소 등의 이유로 병원에서의 분만을 선호하여왔다[4].
조산원에서 분만하는 이유는? 7%로 저조하다[2]. 선행연구에서 여성들은 병원에서 분만하는 것이 싫거나 조산원이 편안하다고 느껴서 조산원에서 분만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주로 친구, 친척에게 소개를 받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조산원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 여성들은 조산원에 대해 홍보가 불충분하고 시설이 부족하다고 하였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YM. The medicalization of childbirth in Korea (1960-2000).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2006;7(1):29-52.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view records of delivery by provider type, Seoul 2012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4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LEE_54&conn_pathI3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fant/Maternal mortality, Seoul 2014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7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9 

  4. Jang SB, Choi YS, Kim HS, Cho YS, Lee HW. Study on the families' participation need for labour women. The Korean Nurse. 1992;31(3):62-75. 

  5. Lee EJ, Park YS. Meaning of "Natural Childbirth" and experiences of women giving birth using midwifery-a feminist approac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 (2):135-148. https://doi.org/10.4069/kjwhn.2012.18.2.135 

  6. Kim JH. Experiences of self-directed birth: the birth of new self. Journal of Nursing Query. 2003;12(1):161-185. 

  7. Hutton EK, Reitsma AH, Kaufman K. Outcomes associated with planned home and planned hospital births in low-risk women attended by midwives in Ontario, Canada, 2003-2006: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irth. 2009;36(3):180-189. https://doi.org/10.1111/j.1523-536X.2009.00322.x 

  8. Davis D, Baddock S, Pairman S, Hunter M, Benn C, Wilson D, et al. Planned place of birth in New Zealand: does it affect mode of birth and intervention rates among low-risk women? Birth. 2011;38(2):111-119. https://doi.org/10.1111/j.1523-536X.2010.00458.x 

  9. Lee KH. Midwife's role for mother and infant wellbeing.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0;3(2):67-80. 

  10. O'Brien B, Chalmers B, Fell D, Heaman M, Darling EK, Herbert P.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birth with midwives: results from the Canadian maternity experiences survey. Birth. 2011;38(3):207-215. https://doi.org/10.1111/j.1523-536X.2011.00482.x 

  11. Janssen PA, Ryan EM, Etches DJ, Klein MC, Reime B. Outcomes of planned hospital birth attended by midwives compared with physicians in British Columbia. Birth. 2007;34(2): 140-147. https://doi.org/10.1111/j.1523-536X.2007.00160.x 

  12. Lee SH, Lee MO. Characteristics, motivation of choice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who selected delivery at midwifery clinic.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3;16(1):1-10. 

  13. Kang MJ. A study on the childbirth experience at maternity clinic. Journal Issue. 1995;19:7-20. 

  14. Kang ML, Kim SK, Bang JM, Ahn JE, Youn Y, Lee SH, et al.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to women who had a hospital delivery and those who a maternity hospital delivery.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5;(39):119-141. 

  15. Kim JH, Park EC, Kim TH, Lee KS, Kim YH, Lee SG. The impact of hospital specialization on length of stay per case and hospital charge per cas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6;26(2):107-114. https://doi.org/10.4332/KJHPA.2016.26.2.107 

  16. Cha SK, Kim SS. The determinant of the length of stay in hospital for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data from the in-depth injury patient surveillance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4):351-359. 

  17. Ku JS. A study on the wholistic nursing needs of early postpartum mother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2008. 

  18. Park MK. Effects of postpartum care program for primiparous women and care-givers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postpartum care and postpartum recovery in primiparous women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19. Rubin HR, Ware JE Jr, Nelson EC, Meterko M. The patient judgments of hospital quality (PJHQ) questionnaire. Medical Care. 1990;28(9):S17-S18. 

  20. Kim MN. A survey study to find 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medical service of Busan Veterans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Dona-A University; 2001. 

  21. Kim KH, Hwang RI, Yoon JW, Kim JS. Prenatal 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among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009;19(4):53-65. https://doi.org/10.4332/KJHPA.2009.19.4.053 

  22. Oh JH, Lee HJ, Kim YK, Min J, Park KO. The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and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Delivery-Recovery room on primiparas' anxiety, labor pain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145-156. 

  23. Seong MH, Ju MS, Ju GS. Effects of a prepared childbir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delivery participation levels of the spouses of primipar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3):213-223. 

  24. Philpott LF, Leahy-Warren P, FitzGerald S, Savage E. Stress in fathers in the perinatal period: A systematic review. Midwifery. 2017;55:113-127. https://doi.org/10.1016/j.midw.2017.09.016 

  25. Laws PJ, Tracy SK, Sullivan EA. Perinatal outcomes of women intending to give birth in birth centers in Australia. Birth. 2010;37(1):28-36. https://doi.org/10.1111/j.1523-536X.2009.00375.x 

  26. Janssen PA, Saxell L, Page LA, Klein MC, Liston RM, Lee SK. Outcomes of planned home birth with registered midwife versus planned hospital birth with midwife or physicia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9;181(6-7):377-383. https://doi.org/10.1503/cmaj.081869 

  27. Bonder-Adler B, Kimberger O, Griebaum J, Husslein P, Bodner K. A ten-year study of midwife-led care at an Austrian tertiary care center: A retrospective analysis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perineal trauma. BMC Pregnancy Childbirth. 2017; 17(1):357-363. https://doi.org/10.1186/s12884-017-1544-9 

  28.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esarean section indicators by type, 2012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4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TX_354_2009_H1012&conn_pathI2 

  29. Kim JH, Park MK, Park MH. Effects of a postpartum 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on postpartum activity and postpartum discomfort in primiparous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1):36-43. 

  30. Lee SH. Women's experiences on spontaneous delivery with midwiv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 (1):1-13. https://doi.org/10.4069/kjwhn.2014.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