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타이밍에 따른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의 차이
Differences in Motor Fun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6 no.2, 2018년, pp.15 - 25  

이수민 (도담통합발달센터)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타이밍에 따른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며, ADHD 진단을 받은 만 6~12세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타이밍 기능 평가를 위해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운동기능 평가를 위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를 사용하였고, 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와 아동 색 선로 검사를 사용하였다. 타이밍에 따른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ADHD 아동의 타이밍에 따른 운동기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BOT-2의 영역 중 미세한 손의 조절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 영역의 하위 항목에서는 미세운동 정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ADHD 아동의 타이밍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와 아동 색 선로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결론 : ADHD 아동의 결함들 중에서 타이밍 기능에 따른 운동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에 진행될 ADHD 아동의 타이밍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motor fun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The subjects were 32 children with ADHD aged between 6 and 12 living Busan. To ass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IM을 중재도구로서 사용한 연구들은 많으나, ADHD 아동의 타이밍 기능의 기초자료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기능적 결함 중에서 타이밍 기능에 중점을 두어 타이밍 기능에 따라 운동 및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최근 IM의 타당도 연구에서 일반아동과 ADHD 아동의 타이밍 점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Kim, Heo, Kim, & 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IM을 사용하여 ADHD 아동의 타이밍 기능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결함들 중에서 타이밍에 따른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타이밍기능에 따라 운동기능에서 미세한 손의 조절과 미세운동통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타이밍기능에 따라 실행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타이밍 기능에 따른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ADHD 진단을 받은 6~12세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의 원인중에서 뇌의 결함은 어떤 형태를 보이는가? 그 중 뇌 영역 및 기능 이상에 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Carmona et al, 2005; Castellanos &Proal, 2012; Noreika, Falter, & Rubia, 2013). ADHD 아동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을 때, 소뇌와 바닥핵의 크기가 일반 아동보다 작고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였다(Teicher et al., 2000). 또한 기타 연구결과에서 전두엽 피질, 소뇌 및 바닥핵의 손상이 보고되었다(Berquinet al., 199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함이나 산만함 또는 과잉행동과 충동성을 보이며, 아동·청소년기에서 성인까지 지속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APA, 2013). ADHD 아동은 학교와 집등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과제, 놀이 및 학습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보인다.
ADHD 아동에게 나타나는 결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DHD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기능적 결함들에는 주요 증상인 주의산만, 과잉행동 및 충동성이 있다. 이 외에도 운동기능과 실행 기능의 결함이 있으며, 운동을 계획하는 능력,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D. H., & Kim, B. N. (2014).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G. E. Hong (Eds.),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pp. 180-201). Seoul: HakJisa.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Tes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rkley, R. A., & Cox, D. (2007). A review of driving risks and impairments associate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on driving performanc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8(1), 113-128. 

  4. Berquin, P. C., Giedd, J. N., Jacobsen, L. K., Hamburger, S. D., Krain, A. L., Rapoport, J. L., et al. (1998). Cerebellum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morphometric MRI study. Neurology, 50(4), 1087-1093. 

  5.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2). Bru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Manual. Minnesota: Pearson. 

  6. Carmona, S., Vilarroya, O., Bielsa, A., Tremols, V., Soliva, J. C., Rovira, M., et al. (2005). Global and regional gray matter reductions in ADHD: A voxel-based morphometric study. Neuroscience Letters, 389(2), 88-93. 

  7. Cassily, J. F., & Jacokes, L. E. (2001). The Interactive Metronome: A new computer-based technology to measure and improve timing, rhythmicity, motor planning, sequencing and cognitive capabilities. Paper presented at The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raining Course, Advanced Clinical Seminar, Arlington, Virginia. 

  8. Castellanos, F. X., & Proal, E. (2012). Large-scale brain systems in ADHD: Beyond the prefrontal- striatal model.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6(1), 17-26. http://dx.doi.org/10.1016/j.tics.2011.11.007 

  9. Diamond, A. (2000). Close interrelation of motor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of the cerebellum and prefrontal cortex. Child development, 71(1), 44-56. 

  10. DuPaul, G. J. (1991).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20(3), 245-253. 

  11. Fortin, C., Champagne, J., & Poirier, M. (2007). Temporal order in memory and interval timing: An interference analysis. Acta Psychologica, 126(1), 18-33. 

  12. Houghton, S., Durkin, K., Ang, R., Taylor, M. F., & Brandtman, M. (2011). Measuring temporal self-regulat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7(2), 88-94. 

  13. Kang, J. W. (2017).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increasing attention and impulsivity control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6(1), 45-54. 

  14. Kim, K. M., Heo, S. Y., Kim, M, S., & Lee, S. M. (2015). Validity of long form assessment in Interactive $Metronome^{(R)}$ as a measure of children's prax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1), 13-22. 

  15. Koommar, J., Burpee, J. D., DeJean, V., Frick, S., Kawar, M. J., & Fischer, D. M. (2001). Theoret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on the Interactive Metronome: A view from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2), 163-166. 

  16. Kwon, Y. H., Ko, M. H., Ahn, S. H., Kim, Y. H., Song, J. C., Lee, C. H., et al., (2008). Primary motor cortex activation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the human brain. Neuroscience letters, 435(1), 56-59. 

  17. Larue, J. (2005). Initial learning of timing in combined serial movements and a no-movement situation.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2(3), 509-530. 

  18. Lee, H. S., & Son, Y. H. (2003). The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19(4), 243-263. 

  19. Lee, H. Y. (2008).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WSCT levels of children with ADHD. Master's degr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 Leisman, G., & Melillo, R. (2010). Effects of motor sequence training on attentional performance in ADH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n Disability and Human Development, 9(4), 275-282. 

  21. Mauk, M. D., & Buonomano, D. V. (2004). The neural basis of temporal processing. Neuroscience, 27, 307-340. 

  22. Namgung, Y., Son, D. I., & Kim, K. M. (2015).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timing, attention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63-73. http://dx.doi.org/10.18064/JKASI.2015.13.2.063 

  23. Nanda, N. J., Rommelse, N. N., Oosterlaan, J., Buitelaar, J., Faraone, S. V., & Sergeant, J. A. (2007). Time reproduc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nonaffected sibling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6(5), 582-590. 

  2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statistical analysis. Retrieved May 8, 2015,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3958 

  25. Noreika, V., Falter, C. M., & Rubia, K. (2013). Timing deficit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Evidence from neurocognitive and neuroimaging studies. Neuropsychologia, 51(2), 235-66. http://dx.doi.org/10.1016/j.neuropsychologia. 2012.09.036. 

  26. Park, E. J., Park, S. H., & Park, S. H. (2018). A systematic review of Interactive Metronome intervention: Based on OTPF-III.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9(3), 265-276. 

  27. Park, M. K., & Kim, H. (2018).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and hand writ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6(1), 14-24. 

  28. Rubia, K., Smith, A. (2004). The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time management: A review. Acta Neurobiologiae Experimentalis, 64(3), 329-340. 

  29. Seo, J. M., Kim, H. W., Yeo, J. Y., Byun, E. H., & Chung, S. H. (2012).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elationship of comprehensive attention, STROOP color-world, children's color trails,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1, 59-69. 

  30. Shin, M. S., & Gu, H. J. (2007). Children's Color Trails Test. Seoul: HakJisa. 

  31. Shin, M. S., & Park, M. J. (2007). STROOP Color And Word Test. Seoul: HakJisa. 

  32. Smith, A., Taylor, E., Warner Rogers, J, Newman, S., & Rubia, K. (2002). Evidence for a pure time perception deficit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4), 529-542. 

  33. Teicher, M. H., Anderson, D. M., Polcari, A., Glod, C. A., Mass, L. C., & Renshaw, P. F. (2000). Functional deficits in basal ganglia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how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ponse Imaging relaxometry. National Medicine, 6(4), 470-473. 

  34. Tseng, M. H., Henderson, A., Chow, S. M., & Yao, G. (2004). Relationship between motor proficiency, attention, impulse, and activity in children with ADHD. Develpo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6(6), 381-388. 

  35. Van Hulst, B. M., De Zeeuw, P., & Durston, S. (2015). Distinct neuropsychological profiles within ADHD: A latent class analysis of cognitive control, reward sensitivity and timing. Psychological medicine, 45(4), 735-745. 

  36. Wicks-Nelson, R., & Israel, A. C. (2000).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4th ed). New Jersey: Prantice-Hall. 

  37. Wiener, M., Turkeltaub, P., & Coslett, H. B. (2010). The image of time: A Voxel-wise metaanalysis. Neuroimage, 49(2), 1728-1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