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브랜드 PPL의 속성이 브랜드 인지도,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PL Attributes on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Brand Credibili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3 no.6, 2018년, pp.543 - 549  

최은주 (외식조리학부, 외식산업경영전공우송대학교) ,  최진경 (외식조리학부, 외식산업경영전공우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duct replacement (PPL) is used widely in marketing and plays crucial roles but the effects of the PPL attributes on a restaurant brand are not well know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PL attributes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credibili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among br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모든 종류의 브랜드의 PPL과 관련된 연구이며 외식브랜드에 한정된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브랜드 PPL의 속성과 브랜드 인지도 및 신뢰도와의 관계, 그리고 이러한 브랜드 인지도 및 신뢰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본 연구에서는 PPL 광고의 속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또한 대부분의 외식브랜드 PPL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PPL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PPL의 속성을 이용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PPL 속성이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외식브랜드 PPL 속성의 브랜드 인지도 및 신뢰도에 대한 영향 분석을 토대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외식브랜드 기업이 PPL 속성과 브랜드 인지도 및 신뢰도의 영향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증가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연구의 한계점을 이야기하고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가설 4, 5, 6에 대한 분석결과 연구에서 제시한 PPL의 속성 중 불편성이 기각되었다.

가설 설정

  • H1: 외식브랜드 PPL의 정보성은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외식브랜드 PPL의 오락성은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외식브랜드 PPL의 불편성은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외식브랜드 PPL의 정보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외식브랜드 PPL의 오락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외식브랜드 PPL의 불편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부(-)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외식 브랜드의 인지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외식 브랜드의 신뢰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7의 ‘외식 브랜드의 인지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8의 ‘외식 브랜드의 신뢰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4의 ‘외식브랜드 PPL의 정보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또한, 연구가설 5의 ‘외식브랜드 PPL의 오락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하지만, 연구 가설 6의 ‘외식브랜드 PPL의 불편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도와 충성도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브랜드 신뢰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에서는 신뢰도와 충성도는 상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을 하게 만드는 촉진제로서의 역할과 함께 타 브랜드를 찾을 동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브랜드 신뢰도와 충성도의 관계는 복잡한 관계성을 지니고 브랜드 충성도는 장기적으로 브랜드 자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라고 하였다(Morgan & Hunt 1994). 즉, 기업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는 믿음이라는 요소를 기저로 하여 상호교환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며 나아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정서적 애착과 충성도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여겨진다(Moon & Song 2014).
브랜드 신뢰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2006). 따라서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정직하면서도 잦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Kim et al. 2002).
브랜드 인지도란 무엇인가? 브랜드 인지도는 소비자가 어떠한 범주에 속사는 특정 브랜드를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인지(recognition)하거나 회상(recall) 해내는 능력으로써 다음과 같은 4가지 역할로 구분되어지고 있다: 1) 제품과 이미지를 연결해주는 연상의 촉매제로서의 역할 2) 제품에 대해 친근감과 긍정적인 감정을 제고하는 역할 3) 제품과 브랜드에 대해 신뢰를 부여하는 역할 4) 구매 시 소비자가 고려하는 대상 브랜드에 특정 브랜드를 포함시키는 역할을 한다(An & Lee 2017). 또한 브랜드 인지도는 PPL 속성과 연계성이 존재하며, Lee et al(2015)는 PPL의 반복적 노출이 브랜드의 친숙성을 상승시키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ker, D. A., Bruzzone, D. E. 1985. Causes of irritation in advertising. The Journal of Marketing. 49(2), 47-57 

  2. An D, Kim S. 2012.. Attitudes toward SNS Advertising: A Comparison of Blog,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3), 53-84 

  3. An JM, Lee SB, 2017. The influence of the attributes of restaurant industry PPL on PPL accommodation attritude, brand image and brand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Seoul, Korea, pp 263-279 

  4. Bagozzi, Richard P. and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e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0-83 

  5. Bauer, R. A., & Greyser, S. A. 1968. Advertising in america, the consumer view. 

  6. Ducoffe, R. H.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5), 21-21 

  7. Choi NH, Lee CW. 2006, The roles of Brand Image on the Brand-Value-Up,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9(3), 67-89 

  8. Choi SY, Hong WS. 2015. The Effects of Video Advertisements' Value Dimensions for Restaurant Brands on Consumer's Brand Trust and Loyalty.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8(5), 7-34 

  9. Erdem, T., J. Swait, and A. Valenzuela. 2006. Brands as Signals: Across-country Validation. Journal of Marketing, 70(1), 34-49 

  10. Gao, Y., Koufaris, M. 2006. Perceptual antecedents of user attitude in electronic commerce. Acm Sigmis Database, 37(2-3), 42-50 

  11. Han SH, Yeo JS. 2007. Articles: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roduct Placement (PPL) in TV Programs on Consumers' Attitud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8(1), 1-20 

  12. Kim JH, Han MY, Kim HJ. 2002. The Effects of Evaluations of Web Service on th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3(1), 33-51 

  13. Kim S. 2007. The Effect of the Product Placement (PPL)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in Food service Industry. Doctoral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pp 7-8 

  14. Lee EY, Kang SA, Lee SB. 2015. The Influence of the Attributes of PPL on PPL Attitude and Brand Image: Focused on Coffee shop PPL,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2), 47-59 

  15. Lee HS, Kim JH, Lee SB, 2006. Effect of Restaurant Business Product Placement (PPL)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5(4), 73-88 

  16. Lee JR, Lee C, Park JH, 2005.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Country and Brand Image of Foreign Firms' Products on Brand Royalty and Performance. Korea trade review, 30(6), 103-124 

  17. Lee JS, 2009. The Effects of Service Justice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Purchase Intention and Switching Intention in Restaurant.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1(3), 87-108 

  18. Lee JW, Oh TH. 2009. A Study on the Impact of Advertising Attribution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Cognitive Brand and Attitude toward Brand.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3(4), 361-384 

  19. Mitchell, A. A., Olson, J. C. 1981.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Advertising & Society Review, 1 (1), 2000. 

  20. Shimp, T. A. 1981.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consumer brand choice. Journal of Advertising, 30 (3), 1-13 

  21. Moon SJ, Song JS. 2014.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ice Fairness, Brand Imag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of Franchise Coffee Shop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ment, 29(3), 231-254 

  22. Morgan, R. M. and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23. Okazaki, S. 2004. How do japanese consumers perceive wireless ads? A multivariat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3(4), 429-454 

  24. Pae SI. 2012. Research Articles: A Study on Influence of Marketing Using Restaurant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on Relationship Quality and Performanc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5(5), 119-138 

  25. Park MJ, Lee SE,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sual Merchandising and Brand Recognition on Perceived Risk,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826-840 

  26. Park SH, 2012. A study on advertising effects of TV advertising attributes in food service brands.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0(1), 143-158 

  27. Reynolds, T. J., Gengler C. E., Howard D. J. 1995. A means-end analysis of brand persuasion through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2(3), 257-66 

  28. Tsang, M. M., Ho, S., Liang, T. 2004.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65-78 

  29. Wilson, R. T., Till, B. D. 2011.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and on Broadway A fiel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0(3), 373-398 

  30. Yoo, C., MacInnis, D. 2005. The brand attitude formation process of emotional and informational a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 (10), 1397-14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