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종 모형을 이용한 건강 불평등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Health Inequalities using Hybrid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520 - 534  

이하나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 불평등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분석 방법은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 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14명의 대상자와 건강 불평등과 관련된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건강 불평등은 3개의 차원과 9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으며, 3개의 차원은 대상영역, 선행영역, 결과영역 이었다. 대상 영역은 건강 불평등의 대상이 되는 영역, 선행 영역은 건강 불평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영역, 결과 영역은 건강 불평등의 결과가 되는 영역을 말한다. 즉, 건강 불평등의 정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 또는 사회적, 경제적,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인구집단이 (i) 병원에서의 홀대받음, (ii) 떼우는 끼니, (iii)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 (iv) 질병관리의 의료비 부담, (v) 지역 간 의료의 질적 차이, (ⅵ) 질병의 지식부족, (ⅶ) 묶여있는 시간으로 인한 부적절한 건강 관리와 같은 건강 불평등으로 인하여 병을 얻게 되거나 병을 키우게 되며, 생존률과 삶의 질이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간의 기본권이 침해되는 것을 의미 한다. 본 연구는 건강 불평등의 개념을 정립함으로 인해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inequality.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14 participants as well as from available literature regarding health inequality using the hybrid model introduced by Schwartz-Barcott and K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정의한 건강 불평등은 무엇인가? 대상 영역은 건강 불평등의 대상이 되는 영역, 선행 영역은 건강 불평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영역, 결과 영역은 건강 불평등의 결과가 되는 영역을 말한다. 즉, 건강 불평등의 정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 또는 사회적, 경제적,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인구집단이 (i) 병원에서의 홀대받음, (ii) 떼우는 끼니, (iii)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 (iv) 질병관리의 의료비 부담, (v) 지역 간 의료의 질적 차이, (ⅵ) 질병의 지식부족, (ⅶ) 묶여있는 시간으로 인한 부적절한 건강 관리와 같은 건강 불평등으로 인하여 병을 얻게 되거나 병을 키우게 되며, 생존률과 삶의 질이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간의 기본권이 침해되는 것을 의미 한다. 본 연구는 건강 불평등의 개념을 정립함으로 인해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에 실제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혼종 모형은 무엇인가? Schwartz-Barcott와 Kim[13]의 혼종 모형(Hybrid model)은 문헌고찰을 통해 개념의 임시적 정의와 속성을 설정하고 현장 연구(질적 연구)를 통해 그것을 확인 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의 분석방법이다[14]. 특히, 혼종 모형(Hybrid model)은 이론적 단계와 현장 연구 단계를 병합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단계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념의 정의와 속성, 선행요인과 결과들을 규명할 수 있고 현장 연구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로 직접 그 현상을 규명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개념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적절하다[13].
건강 불평등의 대상이 개인, 가족, 인구집단, 지역사회 전체인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구이며 기본적인 권리이자 모든 국민들에게 균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헌법은 명시한다[1]. 즉,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보장받아야 하며, 같은 맥락에서 건강 불평등은 국민 개인에게 적용 되고 개인의 건강 불평등은 가족에게도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과 가족 모두가 건강 불평등을 받는 대상이 된 다. 또한 건강 불평등은 사회 경제적, 교육적 수준, 직업 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25] 분류에 따른 인구집단이 건강 불평등의 대상이 되며, 지리적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므로 지역사회 또한 건강 불평등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건강 불평등을 받게 되는 대상을 개인, 가족, 인구집단, 지역사회 전체로 나누어 설명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K. Kim, "Equity in Health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7, no. 2, pp. 65-87, 2012. 

  2. Y. J. Lee, S. Y. Kim, "A equity in the co-payment and utiliz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by income class", Social Welfare Policy, vol. 24, pp. 173-199, 2006. 

  3. P, Braveman, S. Gruskin, "Defining equity in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 57, no. 4, pp. 254-258, 2003. DOI: http://dx.doi.org/10.1136/jech.57.4.254 

  4. M. Norbury, SW. Mercer, J. Gillies, J. Furler, GC. Watt, "Time to care: Tackling health inequalities through primary care", Family Practice, vol. 28, no. 1, pp. 1-3, 2011. DOI: http://dx.doi.org/10.1093/fampra/cmq118 

  5. D. Rainham, "Do differences in health make a difference? A review for health policymakers", Health Policy, vol. 84, no. 2, pp. 123-13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healthpol.2007.05.003 

  6. C. Y. Kim, "Public Health Policy and Health Equity", Journal of Korean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vol. 26, no. 4, pp. 256-264, 2011.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4.256 

  7. H. Y. Kim, "Community inequalities in health: The contextual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4, no. 2, pp. 59-92, 2010. 

  8. C. G. Lee, Tracking,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Seoul: Mim, 2007.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3rd Health Plan (2011-2020). Seoul: Author, 2011. 

  10. H. H. Lee, "A study on structures of the koreans' Health Inequal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vol. 30, no. 1, pp. 85-110, 2016. 

  11. J. O. Kwon, E. N. Lee, S. H. Bae, "Concept Analysis of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1, pp. 20-31,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20 

  12. L. O. Walker, K. C. Avant,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5. 

  13. D. Schwartz-Barcott, H. S. Kim,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2000. 

  14. D. S. Lee, E. O. Lee, "Concept Analysis of Health Insensitivity using Hybri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0, no. 3, pp. 145-170, 2003. 

  15. K. C. Cho, "Concept development of client advocacy using Hybrid model",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96. 

  16. M. H. Choe, H. N. Lee, "Concept Analysis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pp. 376-38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376 

  17. E. G. Guba,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18.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3, pp. 27-37, 1986. DOI: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1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ternet]. Seoul; Naver linguistic dictionary; 2017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8524&cid40942&categoryId32824 (accessed Aug, 10, 2017) 

  20. Wikipedia [Internet]. Seoul; 2017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D%8F%89%EB%93%B1 (accessed Aug, 10, 2017) 

  21.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Internet]. Seoul; c; 2017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list.nhn?cid42140&categoryId42140 (accessed Aug, 10, 2017) 

  22. Korea's Constitution [Internet]. Seoul; 2017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61603&efYd19880225#0000 (accessed Aug, 10, 2017) 

  23.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ternet]. Seoul; Wikipedia; 2017 [cited 2017 August 18].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A%B3%8 4_%EC%9D%B8%EA%B6%8C_%EC%84%A0%EC%9 6%B8 (accessed Aug, 10, 2017) 

  24. M. S. Lee,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39, no. 6, pp. 183-209, 2005. 

  25. W. C. Cockerham, Medical Sociology.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8. 

  26. Y. H. Khang, S. I. Snag, M. S. Lee, M. W. Jo,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 14, no. 4, pp. 1-20, 2004. DOI : https://doi.org/10.4332/KJHPA.2004.14.4.001 

  27.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Closing the gap: Increasing access and equity, 2011. 

  28. P. Massey, D. Durrheim,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status: a nursing issu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5, no. 2, pp. 84, 2007. 

  29. K. O. Lee, H. S. yoon,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ies in Health and Inequalities in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2, no. 3, pp. 609-619, 2001. 

  30. T. H. Yoon, J. H. Kim, "Health Inequalitie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outh Korea",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ol. 1, no. 1, pp. 11-20, 2006. 

  31. C. A. Rozendo, A. S. Salas, B. Cameron, "A critical review of social and health inequalities in the nursing curriculum", Nurse education today, vol. 50, pp. 62-71, 2017.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6.12.006 

  32. C. Y. Kim, M. H. Kim, T. J. Lee, J. I. Sohn, Inequality in Health: a korean Perspectiv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5 

  33. M. Y. Song, W. Y. Lim, Woo, J. I. Kim, "Gender Based Health Inequality and Impacting Facto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21, no. 2, pp. 150-159, 2015.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150 

  34. D. Black, Inequalities in Health: Report of a Research Working Group. London: Deparment of health and Social Security, 1980. 

  35. M. D. Hayward, A. M. Pienta, D. K. McLaughlin. "Inequality in Men's Mortality: The SES Gradient and Geographic Cont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39, pp. 313-330, 1997. DOI: https://doi.org/10.2307/2955428 

  36. W. J. William,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7. J. G. Grzywacz, D. M. Almeida, S. D. Neupert, S. L. Ettner,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 micro-level analysis of exposure and vulnerability to daily stressor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45, pp. 1-16, 2004. DOI: https://doi.org/10.1177/00221465040450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