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655 - 661  

구희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협동과정) ,  이기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을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로 지방산 성분 분석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을 측정하였다. 호박씨 오일, 동백씨 오일, 땅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열처리 후에도 고추씨 오일을 제외하고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PPH에서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87.84%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5.20%, 74.16%, 43.18%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76.72%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 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6.25%, 73.34%, 41.2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올리브 오일과 비교하여 DPPH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 그리고 땅콩 오일이 대조군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능력은 근소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오일은 화장품 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capacity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plant resources as a cosmetics material. Four type of oil were extracted from pumpkin seed, camellia seed, red pepper seed, peanut. The extracted seed oils were analyz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인 호박씨, 동백씨, 고추씨 및 땅콩을 압착 추출 한 오일의 지방산 분석을 실시하고,항산화 능력을 평가하며 유사 화장품 제조공정인 열처리실험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도를 평가했다. 총 지방산 함량은 호박씨 오일 > 동백씨 오일 > 고추씨 오일> 땅콩 오일 순서로 나타났다.
  • 따라서 화장품 원료의 대부분을 국외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 금전적·비금전적 비용증가가 예상되며,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확보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입 의존 식물성 유지 대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대량 가능한 소재 국내 견과류, 종자류 13종 (고추씨. 목화씨, 인삼씨, 녹차씨, 땅콩, 들깨, 잣, 호박씨, 홍화씨, 참깨, 호두, 산초열매, 유자씨)에서[4], 이들 중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호박씨(Cucurbita moschata Duchesne seed), 고추씨(Capsicum annuum L seed), 땅콩(Arachis hypogaea L.)과 국내 남해안 지역에서 재배되며, 전통적으로 미용제품에 활용되고 있는 동백씨(Camellia japonica L.)를 선정하여, 지방산을 분석하고 항산화 실험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성 오일은 주로 어디서 추출되는가? 식물성 오일은 일반적으로 씨앗, 과일 또는 묘목 같은 식물의 다양한 부분에서 추출되며, 지방산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피부에 직접적인 유익한 영향이 있어 화장품 성분에서 중요한 성분으로 사용되는데, 피부를 통한 수분손실을 막고 피부표피에 보호층을 만들며 각질층을 부드럽게 하고 피부의 염증을 감소시키며 피부통증의 감각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식물성 오일은 피부에 어떤 기능을 하는가? 식물성 오일은 일반적으로 씨앗, 과일 또는 묘목 같은 식물의 다양한 부분에서 추출되며, 지방산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피부에 직접적인 유익한 영향이 있어 화장품 성분에서 중요한 성분으로 사용되는데, 피부를 통한 수분손실을 막고 피부표피에 보호층을 만들며 각질층을 부드럽게 하고 피부의 염증을 감소시키며 피부통증의 감각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얼굴과 신체의 일상적인 관리가 목적인 화장품의 배합에 점점 더 보편적인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1].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한 활용한 화장품 소재 확보가 시급한 이유는? 유전자원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의 보호는 인류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미래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3]. 따라서 화장품 원료의 대부분을 국외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 금전적·비금전적 비용증가가 예상되며,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확보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입 의존 식물성 유지 대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대량 가능한 소재 국내 견과류, 종자류 13종 (고추씨.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eksandra ZIELINSKA, Izabela NOWAK, Fatty acids in vegetable oils and their importance incosmetic industry, Chemik, vol. 68, no. 2, pp. 103-110, 2014. 

  2. J. H. Park, [Market Analysis]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smetic raw materials market, futurekorea, 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ml?idxno34136, 2016, 2017. 

  3. Y. S. Oh, The study on the adoption of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and benefit sharing and analysis on prospection of the Protocol, The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vol. 6, no. 3, pp. 205-237, 2011. 

  4. Hanbit Flavor & Fragrance Co. LTD, Development of alternative import-dependent vegetable oil substitute material, 9-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5. D. M. Jung, The contents of beneficiary components and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seed oil obtained from roasted perilla seed with supercritical $CO_2$ , press, and solvent extraction, Ph.D. dissertation, Woosuk university, 15, 2012. 

  6. E. S. Kwon, The effect of clove essential oil on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Ph.D.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16, 2016. 

  7. Rubalya Valantina, S., Neelamegam, P., Selective abts and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roxide from vegetable oils,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vol. 22, no. 1, pp. 289-294, 2015. 

  8. D. Y. Park, K. Y. Lee, Evaluation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3, pp. 513-517, 2017. DOI: http://doi.org/10.5762/KAIS.2017.18.3.513 

  9. McArther, J.A., Marsho, T.V. and Newman, D.W. Transformations in plastids of bean leaves and pepper fruit, Plant physiology, vol. 39, no. 4, pp. 551-554. 1964. DOI: https://doi.org/10.1104/pp.39.4.551 

  10. S. M. Mo, Research on the fatty acids of various seed oil of Korea,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vol. 7, no. 2, pp. 19-28, 1975. 

  11. Procida G, Stancher, Cateni F, Zacchigna M,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pumpkin seed oil,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93, pp. 1035-1041, 2012. DOI: https://doi.org/10.1002/jsfa.5843 

  12. S. S. Park, The oxidation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mellia oil,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pp. 12-16, 2006. 

  13. Y. J. Choi, Y. S. Ko,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red pepper seed oil,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28, no. 2, pp. 31-36, 1990. 

  14. J. H. Choi,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anut, walnut and perilla seed oils roas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3, 2015. 

  15. M. J. Kim, S. P. Lee, J. H. Choi, S. H. Kwon, H. D. Kim, M. H. Bang, S. A. Yang,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 pp. 350-355, 2013. DOI: https://doi.org/10.9721/KJFST.2013.45.3.350 

  16. Bonde V, Brand-Williams W and Berset C.,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 pp. 609-615, 1997. 

  17. Publio Viola, Marzia Viola, Virgin olive oil as a fundamental nutritional component and skin protector, Clinic in dermatology, vol. 27, no. 2, pp. 159-165, 2009. DOI: https://doi.org/10.1016/j.clindermatol.2008.01.008 

  18. C. Samaniego Sanchez, A.M. Troncoso Gonzalez, M.C. Garcia-Parrilla, J.J. Quesada Granados, H. Lopez Garcia de la Serrana, M.C. Lopez Martinez, Different radical scavenging tests in virgin olive oil and their relation to the total phenol content, Analytica chimica acta, 593, 103-107, 2007. DOI: https://doi.org/10.1016/j.aca.2007.04.037 

  19. Y. J. Kim, S. H. Lee, Cosmetology, 67-69, Chungku publishing co. lTd, 2014. 

  20. Rita Stiens, The truth about cosmetics, 463, Firforest publishing co.,seoul, 2009. 

  21. Wan Heo, S. Y. Lee, S. Y. Lim, J. H. Pan, H. M. Kim, Y. J. Kim, The functionalities and active constituents of olive oil,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4, no. 5, pp. 526-531, 2012. 

  22. B. G. Lee, J. H. Kim, S. G. Ham, C. E. Le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ol. 7, no. 1, pp. 029-034, 2014. DOI: http://dx.doi.org/10.7732/kjpr.2014.27.1.029 

  23. J. C. Yang,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Journal of korea oil Chemists Society, vol. 29, no. 2, pp. 231-23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