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 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The Network Analysis of the Diffusion on the Disaster Issue Via SNS based on Types of Information, Issue Contractiveness and Diffu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3, 2018년, pp.138 - 147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재난과 같은 위기가 발생했을 때 소셜 미디어가 위기 정보의 확산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튜브를 통해 포항 지진 관련해서 어떤 이슈가 확산되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재난 정보의 종류를 공식적인 정보와 비공식적인 정보, 의견으로 구분하고 이슈의 집중도와 확산성을 기준으로 재난 관련 행위자의 역할을 알아봤다. SNS에서 재난 이슈의 이슈 집중도와 확산성이 클 경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고 비공식적인 정보의 이슈 집중도와 확산성이 클 것으로 보았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유튜브는 언론사의 뉴스가 확산되는 공식적인 채널의 역할과 지진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 지진 관련 루머, 잘못된 정보 등이 공유되면서 확산되는 비공식적 채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련 동영상은 집중도는 높지만 확산성이 낮아 '한정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고, 언론사는 이슈의 집중도, 확산성이 높아 '주도적 핵심 역할'을 했다. 개인은 집중도는 낮지만 확산성이 높아 '핵심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유튜브는 언론사의 뉴스가 재확산 되는 공식 채널과 비공식 채널의 역할을 모두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정부는 SNS를 통해서 정부의 메시지가 적극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twork analysis is done to explore what kind if issues are diffused about earthquake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The types of disaster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formal and informal. The role of actor is classified based on the concentrativeness and the diffusion of issue. Youttube is 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 2]를 보면, 재난 이슈의 확산 과정을 이슈의 집중도와 이슈의 확산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포항지진과 관련된 각 행위자의 메시지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알아봤다.
  • 다음으로 이 연구는 위기 커뮤니케이션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메시지가 유튜브를 통해 어떻게 확산되는지 규명하기 위해 행위자의 메시지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는지 집중도에 주목했다.
  • 이 연구는 SNS를 통해서 재난 이슈와 관련된 공식적인 정보가 확산되는지 아니면 오보나 루머와 같은 비공식적인 정보가 확산되는지 규명함으로써 백채널로서 유튜브를 판단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SNS에서 누구의 메시지가 영향력이 있는지 밝히기 위해 네트워크 접근을 하려고 한다.
  • 이 연구는 경주 지진에 비해 긍정적인 대응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 포항 지진에 대해 관련자들의 어떤 메시지가 확산되는지 알아봄으로써 정부의 재난 대응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재난 발생 시 재난 해결의 주체인 정부와 언론의 의견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확산되는지 이슈의 집중도와 확산성을 분석함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했다.
  •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역할을 알아보고, 의견 확산 공간으로서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재난이 발생했을 때 소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지만, 이 연구는 실제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누구의 메시지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옳은 정보가 확산되는지 또는 오보나 루머가 확산되는지 네트워크 접근을 통해 규명하려고 한다.
  • 정부는 재난과 관련된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언론이 이를 보도하는 것이 공식적인 위기 대응 커뮤니 케이션이지만 최근 SNS를 통해 비공식적인 정보와 오보, 루머 등이 확산되기에 실제로 어떤 메시지가 주목을 받고 확산되는지 정보를 구분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포항지진 관련 유튜브 동영상의 카테고리 분석을 통해 어떤 분야에서 많이 확산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둘째, 재난 이슈와 관련해 누구의 메시지가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가?
  • 이를 위해 재난 발생 시 이슈의 집중도와 확산성이 클 경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R. Veil, T. Buehner, and M. J. Palenchar, "A AWork-In-Process Literature Review: Incorporating Social Media in Risk and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Vol.19, No.2, 2011. 

  2. J. Hirano and T. Nakatsuji, Influence of Daily SNS Usage on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and inhabitants' Behavior during Flood, 2014. http://www.eng.hokudai.ac.jp/e3/alumni/files/ab stract/m187.pdf 

  3. C. Wendling, J. Radisch, and S. Jacobzone, The Use of Social Media in Risk and Crisis Communication. OECD, Working Papers on Public Governance, No.25, OECD http://dx.doi.org /10.1787/5k3v01fskp9s-en 

  4. Y. Jin and B. Liu, Examining the Role of Scocial Media in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e Effects of Crisis Origin, Information Form, and Source on Public's Crisis Responses, Communication Research, XX(X) 1-21, 2012. 

  5. Zogby Interactive, Poll: Online news sources top all others, 2009. http://pww.org/article/view/16025 

  6. 홍주현, 윤해진,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한미 FTA 관련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의견 확산 추이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6권, 제2호, pp.59-86, 2014. 

  7. G. Christodoulou, C. Georgiou, and G. Pallis, The Role of Twitter in YouTube Videos Diffusion. https://www.cs.ucy.ac.cy/-gpallis/publications/ Conferences/wise2012.pdf 

  8. S. Paterson, Chapter 11: Social Media and Emergency Management, https://cmci.colorado. edu/-palen/palen_papers/Critical-Issues-in-Disa ster-Science-and-Management_CH11.pdf 

  9. J. N. Sutton, L. Palen, and I. Shklovski, Backchannels on the Front Lines: Emergent Use of Social Media in the 2007 Southern Caliornia Fires. In Proceedings of the Information Systems for Crisis Response and Management Conference (ISCRAM 2008). Washington D.C. 2008. http://www.itu.dk/people /irsh/pubs/iscram08.pdf 

  10. K. J. Tierney, Social Inequality, Hazards and Disasters, In Daniels, R.J., D.F. Kettl, & H. Kunreuther Eds. On Risk and Disaster: Learning from Hurricane Katrin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 http://cis.uchicago. edu/oldsite/outreach/summerinstitute/2013/docu ments/sti2013_tierney_inequality-hazards-disast ers.pdf 

  11. M. Grandjean,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witter: Mapping the digital humanities community," Cogent Arts & Humanities, Vol.3, No.1, 2016. http://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33 11983.2016.1171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