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A기법을 활용한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ontainer Cargoes in Donghae Port Using IPA Techniqu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3, 2018년, pp.275 - 289  

박영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남태현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마혜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를 둘러싼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 한국 등의 동북아시아 중심의 환동해 경제권은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해를 통한 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북방 교역의 교두보 항만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항 이해 관계자를 대상으로 IPA 방법론(중요도/만족도 조사)를 활용하여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 관련 요인을 도출하고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컨테이너 및 벌크 물량 매력도, 수출/수입 CNTR 물량 비중 적합도, 선박 기항빈도 및 항로 다양성, 복합연계운송의 편의성, 하역장비 경쟁력의 5개 평가요인의 집중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물동량 측면에서 동해항 물동량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지속 연구해야 하고 물동량 자료를 지속 추정/관리해야 한다. 둘째, 수출/수입 CNTR 물량 비중 적합도 개선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선박기항빈도 및 항로 다양성을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운용 보존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 넷째, 복합연계운송기능 강화를 위한 철도 및 육상 도로망 개선을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시설 측면에서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필수 요건으로서 컨테이너 하역장비 설치에 대한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동해항 잠재적 이용자 측면에서 컨테이너 활성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 의미가 있고, 향후 동해항 물동량 통계 자료에 대한 보완이 진행되면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idgehead port for trading with northern countries to promote trade through the East Sea because the East Sea Rim economic bloc around the North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China, Russia, Japan, and North Korea has a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Therefo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 7가지 속성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활성화와 관계된 25개 영향 요인을 동해항 이해 관계자(선사, 하역사, 포워딩, 화주사, 항만기관 등) 대상으로 이용자의 요구 파악을 위해 IPA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IPA 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들의 중요도/만족도 포지션을 확인하고 제 2사분면 중점개선영역에 위치한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하지만, 컨테이너 사업 활성화를 통한 동해항의 북방경제의 주요한 교역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극히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항 이해 당사자 관점에서 동해항 현황을 파악하고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항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영향 요인을 선행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였고, 실제 동해항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IPA 방법론을 통하여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평가, 분석하여 컨테이너 활성화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동해항 잠재적 컨테이너 물동량에 관한 구체적인 통계 자료가 미흡하며, 벌크 터미널의 컨테이너 활성화가 필요한 동해항의 특수성으로 비교 대상 항만 사례 반영이 제약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한 경쟁력 강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 및 동해항 주요 이해 당사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항만 경쟁력에 관한 7개 속성, 25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동해항 실제 이해 당사자 대상 설문을 통한 IPA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동해항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현재 동해항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적 경쟁력을 파악할 수 있었고, 개선이 필요한 평가 속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본 절에서는 동해항의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 요인에 관한 분석을 한다. 이를 통하여 동해항의 단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향후 동해항의 경쟁력 향상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실제 서부두 #42는 컨테이너선 기항 가능 선석으로 서 현재는 컨테이너선 서비스 부재로 선석을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동해항 이해 당사자 입장에서는 컨테이너 하역 장비가 설치된다는 가정하에 컨테이너선 기항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실제 컨테이너선 기항이 현실화되면 컨테이너 접안 스케쥴은 신뢰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있다고 해석 가능하다. 또한, 동해항터미널 하역생산성은 높은 항만 운영 인력의 전문성 및 작업 노하우로 인하여 Full CNTR 36개/Hour, Empty CNTR 50개/Hour(2 Gang 기준, Mobile Crane 작업 기준) 하역 생산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항의 물동량 처리 실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무엇이 있는가? 현재 정체된 동해항 물동량 증가 및 동해항 컨테이너 활성화를 위하여 동해시 차원에서 항비 면제, THC 요율 합리화, 신규화물 유치 장려금과 같은 인센티브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컨테이너 선사 재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컨테이너 선사를 동해항 기항으로 유인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환동해 경제권이란? 동해를 둘러싼 지역에 위치한 동북아시아 국가(한국, 중국 동북부, 극동 러시아, 일본, 북한)의 경제블록을 환동해 경제권으로 지칭한다. 미래 환동해 경제권의 성장이 기대되는 주요 이유는 중국의 자본과 노동력, 한국, 일본의 자본과 기술력, 극동 러시아의 풍부한 자원, 북한의 자원과 노동력이 결합될 수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최대 경제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래 환동해 경제권의 성장이 기대되는 이유는? 동해를 둘러싼 지역에 위치한 동북아시아 국가(한국, 중국 동북부, 극동 러시아, 일본, 북한)의 경제블록을 환동해 경제권으로 지칭한다. 미래 환동해 경제권의 성장이 기대되는 주요 이유는 중국의 자본과 노동력, 한국, 일본의 자본과 기술력, 극동 러시아의 풍부한 자원, 북한의 자원과 노동력이 결합될 수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최대 경제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세계 10대 자원 부국인 몽골은 해양과 떨어져 있는 내륙국의 한계로 인하여 인접 국가인 중국, 러시아에 불리한 조건으로 풍부한 광물 자원을 수출하는 편중된 교역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H. Jo & J. J. Kim. (2010).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container freight volume for donghae port and sokcho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6(1), 83-104. 

  2. E. K. Yeol & K. C. Ho. (2004). A Development strategy for port of dong-hae as hub-port of the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former socialist countries. Korea Trade Research Association, 10(4), 341-360. 

  3. M. K. Seo & T. H. Min. (2010). A study on the harbor logistics strategy of gangwon province for enter the East-sea economic bloc.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11(2), 223-239. 

  4. C. H. Cho. (2003). An optimization plan for developing port of Donghae as a Base for Korea-Russia Shipping Route, The korea shipping logistics association, 38(1), 187-207. 

  5. K. S. Ki. (2003). Measures for establishment of customs-Free Zone into Donghae Port. The korea shipping logistics association, 10(6), 43-62. 

  6. H. G. Lee (2012).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rt 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Journal of Maritime Business, 13(22), 89-109, 

  7. T. H. Lee, G. S. Jo & H. J. Jung, (2013). Kyoungin Port's Customers needs analysi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Korea Marine Logistics Research, 79(2), 741-763, 

  8. J. H. Yang. (2014).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arcel Service Quality Factors based using IPA., Korean Journal of Logistics, 22(1), 65-88, 

  9. J. S. Kim & S. H. Song, (2012). Perceptional Difference of Logistics Service Contract between Shiper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4(3), 281-305. 

  10. K. J. Roh & S. H. Song. (2016). A Study of the Priority of the Local-Logistics Policy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32(1), 59-77. 

  11. K. H. Bae, J. M. Gong & G. T. Yeo. (2017). Study on Ways to Improve Military Logistics Systems Based on IPA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139-146. 

  12. S. H. Park, T. H. Nam, Y. D. Cha, S. H. Lee & G. T. Yeo. (2017).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on-line Shopping Mall handing fresh logist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103-114, 

  13. R. K. Park. (2010).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and empirical application for predicting the efficiency and optimum size of investment in Domestic seaport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6(3), 18-41, 

  14. R. K. Park. (2001).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oncentration of Korean Ports : Application of Rimmer, Hoyle and Hirshmann-Herfindahl Models", The korea shipping logistics association, 13(1), 49-79, 

  15. R. K. Park. (2009). A measurement way of operation risk evaluation of Korean seaports using negative DEA.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5(2), 57-72, 

  16. J. R. Huh & J. H. Jho. (2017), IPA analysi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beauty care shop and intention factors of revisit inquiry.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255-263. 

  17. D. H. Hong & K. J. Kim. (2017), Optimization of equipment dispatch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ntainer port operation.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19-28. 

  18. K. Y. Mun. Northeast Asia Mega economic zone concept. Korea Export-Import Bank Northeast Asian Research Center Research Report, 16(3), 8-31. 

  19. H. H. Jang & J. K. Lee. (2008),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Gwangyang Port According to Port Determinants of Ship and Shippers. Korean Logistics Association, 18(3), 87-109. 

  20. H. G. Lee. (2003),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Competitiveness of Asian Major Ports Fusing FCM and AHP.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s, 27(2), 185-191. 

  21. S. H. Cho & K. B. Lee. (2006), A Comparative Study on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and Shanghai Port. Industrial Economics Research, 19(5), 1817-1837. 

  22. G. T. Yeo, H. K. Lee & S. Y. Oh. (2004),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ort Selection Factors for the Increase of the Ship Incarnation of Small and Medium Ports. Marine Logistics Research, 43, 33-53. 

  23. Cheon, S. H., Dowall, D. L. & Song, D. W. (2010). Evaluating impacts of institutional reformson port efficiency changes: Ownership, corporate structur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sof world container por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46(4), 546-561. 

  24. H. Y. Lee. (2012), Factors affecting port competitiveness. Korean Administrative Directory, 24(1), 1-25. 

  25. Tongzon, J. L. & Heng, W. (2005), Port privatization,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Someempirical evidence from container ports (terminal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and Practice, 39(5), 405-424. 

  26. Y. H. Paek. (2010). Analyzes of export / import model points (O / D) of enterprises in Kyunggi area and activation plan of Pyeongtaek port.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17(1), 13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