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모델학교 분석: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Focusing on High School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9 no.3, 2018년, pp.95 - 108  

김미주 (서울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석환 (서영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operational problems of Health Promotion Model School' in high school. Method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2014 results report and staffs' responses of five high schools among 85 'Health Promotion Model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교육부 주도로 수행된 '건강증진모델학교' 중 고등학교 5개교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2014년 결과보고서 및 담당 부장교사의 답변을 내용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의 ‘건강증진모델학교’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운영방향을 제시하고자 2차 자료 및 담당자 답변을 내용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모델학교’ 중 고등학교에서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09년 이후 2018년 현재까지 교육부 주도의 한국형 건강증진학교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중학교에 비해 실적과 성과가 낮은 고등학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그간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의 건강증진학교 경험을 분석 점검하여 교육부의 건강증진학교 모형이 실제로 고등학교에서 잘 구현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갈 바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학교 운영에 있어 고등학교가 초등학교에 비해 부족한 요소 세가지는 어떤 것이 있는가? 0%였다. 즉, 고등학교에서는 학교교육과정과 연계, 지역사회와 연계,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의 세가지 요소 모두에서 부족한 점이 확인된 것이다.
2012년 중고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몇%인가? 스트레스 수준 역시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여 성적 및 입시로 인한 고교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월등히 높은 편이며, 특성화 고교보다는 일반계 고교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3). 2012년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 실태 조사 결과, 학생들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30.5%, 자살 관련 행동 중 자살 생각률이 18.3%, 자살 생각을 한 학생 중 자살을 계획한 사람의 비율은 6.
2009년 청소년 사망원인 1순위는 무엇인가?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청소년 자살률은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자살이 학생들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다. 2009년 전체 청소년 사망원인 중에서 자살이 1순위가 됐다. 2008년 이전까지만 해도 10대 사망원인 1순위는 교통사고였으나 그 자리를 자살이 차지하게 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HJ, Kim DS. Study on the Students' Life Reflected in Social Indices and Its Implications for National Curriculum Design Focusing on School Health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4; 27(3):159-168. 

  2. Inchley J, Muldoon J, Currie C. Becoming a health promoting school: Evaluating the proces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in Scot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7;22(1):65-71. 

  3. Kim BN. Effects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on their depression :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 styles[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4. Kim MJ. Problems and Solution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3;39(1):65-75. 

  5. Kim MJ. A Systematic Re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Health Promoting School.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4;27(3):169-180. 

  6. Kim MJ.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Focusing on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67-78. 

  7. Kim MJ.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Focusing on Large-sized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7;30(3):306-316. 

  8. Kim MJ. Progress and Future Tasks of Korean Health Promoting School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8;44(4):111-120. 

  9. Kim YI. A Study of the index development and measurement for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98;11(2):189-201. 

  10. Lee A, Cheng FF, Fung Y, St Leger L.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contribute to the better health and wellbeing of young people? The Hong Kong experienc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6;60(6):530-536. 

  11. Lee EY, Choi BY, Shin YJ, Kim SH, Sohn AR, Ahn DH.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ng school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a; 26(2):87-101. 

  12. Lee EY, Choi BY, Sohn AR, Ahn DH.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s by schoo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b;26(3):85-96. 

  13. Mitchell J, Palmer S, Booth M, Davies GP. A randomized trial of and intervention to develop health promoting schools in Australia: The south western Sidney stud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000;24(3):242-246. 

  14. Mukoma W., Flisher A. J.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review of nine stud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4;19(3):357-368. 

  15. OECD Family Database. OECD - Social Policy Division - Directorate of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from http://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2015. 

  16. Park, YJ.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Health Promoting School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pp1-9, 63-64. 

  17. Park, YJ. Effects of Health Promoting School on School Clim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47-55. 

  18. Sohn AR, Kim BR, Kim SH, Shim YJ, Ahn DH, Choi BY. Evaluating health promoting schools based on WHO standards in Yangpyung-gu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8;9(1):1-15. 

  19. WHO. Local action: creating health promoting school, WHO's information series on school health. WHO, UNESCO, EDC. 2000. 

  20. Wong, M. C., Lee, A., Sun, J., Stewart, D., Cheng, F. F., Kan, W., et al. Comparative study on resilience level between WHO health promoting schools and other schools among a Chinese popul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9;24(2):149-55. 

  21. Xin-Wei Z., Li-Qun L., Xue-Hai Z., Jun-Xiang G., Xue-Dong P., Aldinger C., et al. Health-promoting school development in Zhejiang Province, Chin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8;23(3):220-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