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형 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속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Open Innovation on Export Performance: Moderation of Innovation Spee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207 - 215  

노태우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박광민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서정은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김균환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김화영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강민아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제성장 동력에서 가장 중요한 중소기업이 혁신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점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다르게 성장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특성상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성장을 위해서는 수출을 끊임없이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를 위해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수출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그 핵심역할로 혁신속도를 강조하였다. 외부지식탐색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된 이후로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관련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지만 주로 기업성과에 중점을 둔 것에 착안하여 한국 중소기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수출에 초점을 맞추고 혁신속도가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은 기존 연구에서 강조한 개방형 혁신의 두 방식인 외부지식탐색의 깊이와 폭을 제시한 뒤 수출성과에 대한 혁신속도를 조절효과로 제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로버스트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1,357개의 유효한 중소기업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검증은 각 모델간 F값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그림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도표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조절효과도 검증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that the most important SMEs in the economic growth engine of Korea are prepared to grow through innov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pen innovation of SMEs has been continued since the external knowledge search beca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기존 연구와 달리 최근 경영환경을 반영하여 수출성과에 더해 혁신속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와의 관계를 혁신속도의 조절효과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폭과 개방형 혁신의 깊이를 기업의 수출성과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 변수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로 개방형 혁신의 폭은 외부지식을 얻기 위해 얼마나 외부지식 원천들과 다양하고 폭넓은 관계를 맺었는가로 정의된다.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이론적,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의 관계에 있어 혁신속도가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의 ‘폭’과 ‘깊이’의 개념에 집중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급변하는 기업환경 속에서 제품이나 공정에서의 빠른 혁신속도는 기업에 경쟁력을 부여하여 상업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속도를 제품이나 기술의 개발과 시장에서 상용화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 내부 R&D가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R&D 집중도를 통제하였으며 내부 R&D 지출을 회사 전체 매출액 대비 R&D 지출액으로 측정하였다. 사용자의 빈번한 혁신성과는 클라이언트 기반 외부지식 효과가 있으므로 통제하였다. 회사가 클라이언트 기반 지식을 사용하면 1,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측정하였다.
  • 오늘날 중소기업을 포함한 많은 기업은 기술혁신의 복잡성, 자원의 한계, 불확실성으로 유발되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외부지식의 적극적인 탐색을 실시하고 이를 통한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실증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외부지식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이를 깊이 있게 활용하는 것이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의 상관관계,그리고 둘의 관계에 있어 혁신속도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려 한다.

가설 설정

  • H1a 중소기업은 개방형 혁신의 깊이가 깊을수록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1b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깊이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혁신속도에 의해 조절된다.
  • H2a 중소기업은 개방형 혁신의 폭이 넓을수록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2b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폭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혁신속도에 의해 조절된다.
  • 셋째, 본 연구는 제조 기업만을 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적용시켜 보았을 경우 다른 산업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을 거라 예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방형 혁신이란?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내부 및 외부로의 지식의 흐름을 활용하여 내부에서는 혁신을 가속화, 외부에서는 혁신의 활용을 확대하는 것이다[3].
기업이 더 효과적으로 혁신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이유는? 혁신속도의 촉진은 중요한 연구분야로 부상해왔다. 최근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경쟁 심화,기술 발전 등 경영환경이 급변하여 제품 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기업은 더 효과적으로 혁신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기업은 새로운 제품을 더 빨리 시장에 출시하게 되면 몇 가지 전략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개방형 혁신으로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는 이유는? 개방형 혁신의 폭은 얼마나 많은 기업과 교류를 하는지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많은 기업과 교류를 하는 것은 각 조직에 산재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들을 흡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여러 기업과 소통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관계 속에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해 혁신을 꾀하는 것은 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BIZ. (2017). SME Statistics 2017. Seoul: KBIZ. 

  2. H. Chesbrough & A. K. Crowther. (2006). Beyond High Tech: Early Adopters of Open Innovation in Other Industries. R&D Management, 36(3), 229-236. 

  3. H. Chesbrough. (2003). Open Innova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 S. B. Choi & J. C. Park. (2012). The Effect of Inter-Firm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on Firm Competitiveness of SMEs: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3(5), 65-89. 

  5. E. H. Kessler, M. A. Allocca & N. Rahman. (2007). External Knowledge Accession and Innovation Speed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Sme). Small Enterprise Research, 15(1), 1-21. 

  6. K. Laursen & A. Salter.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2), 131-150. 

  7. R. Katila & G. Ahuja. (2002). Something Old, Something New: A Longitudinal Study of Search Behavior and New Product Introdu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83-1194. 

  8. J. Chen, Y. Chen & W. Vanhaverbeke. (2011). The Influence of Scope, Depth, and Orientation of External Technology Sources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Chinese Firms. Technovation, 31(8), 362-373. 

  9. H. M. Kim & J. Zhang. (2012). The Impact of Innovation Types and Activities on Export Performance : Focused on Korean Firms. Korea Trade Review, 37(4), 115-137. 

  10. W. M. Cohen & D. A. Levinthal. (200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in Strategic Learning in a Knowledge Economy, ed. Oxford, UK: Butterworth-Heinemann, 39-67. 

  11. S. M. Kang. (2012). The Impact of Firm Innovation on Export: Focused on the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42, 21-33. 

  12. STEPI. (2014). 2014 Korea Innovation Survey: Manufactur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3. Y. K. Kwon. (2010). Does Open Innovation Contribute to Innovation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s from Korean Smes.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32(2), 145-168. 

  14. S. I. Kim. (2007). Collaboration among SMEs : Status and Policy. KOSBI. 

  15. H. Chae, Y. Y. Choi & E. J. Heo. (2014). Open Innovation in Venture Firms: The Impact of External Search Strategy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9(1),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