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학습조직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organizational members of public organizations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3 no.1, 2018년, pp.13 - 31  

김문준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경영학과,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 내 조직문화가 학습조직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연구자가 2016년 공조직(지자체, 지자체 산하 재단, 공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용역 및 자문을 실시한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350부 중 최종 313부를 SPSS 20.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연구가설 1인 공조직의 조직문화는 학습조직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과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는 학습조직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학습조직을 구축하는데 주요 영향 요인임을 나타낸 것이다. 둘째, 연구가설 2인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결과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는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공조직의 조직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전환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중요성을 의미한다. 셋째, 연구가설 3인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영향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학습조직을 매개로 한 조직성과에도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는 학습조직을 통해 조직성과에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에 따라, 공조직의 특성에 부합된 조직문화 구축 방안과 학습조직 내실화 및 조직성과 향상에 대한 다양한 실행방안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t was targeting for 350 public officials (local governments, foundation under local governments, public corporation) who research work and consulting were implemen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셋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 학습조직이 조직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자의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및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각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통한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Table 7] 과 같이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 내 조직문화 유형이 학습조직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한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가 2016년 공조직(지자체, 지자체 산하 재단, 공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용역 및 자문을 실시한 35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및 학습조직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공조직 313명을 대상으로 Anderson and Gerbing(1988)의 구조모델 2단계를 통해 조직문화, 조직성과, 학습조직 변수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조직에 대한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셋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 학습조직이 조직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임채숙 외(2009)는 지방정부의 조직문화와 조직 성과인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조직문화의 합리문화유형, 개발문화유형, 합의문화유형은 관리자의 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고, 김한준(013)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에서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에 대한 선행연구 자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공조직의 특성에 부합된 상황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포함하여 공조직 조직구성 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공조직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성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공조직에 대한 조직성과에 미치는 변인으로 조직 문화, 학습조직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정과 조직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조직문화의 활성화 방안 및 학습조직의 내실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조직화란 무엇인가? 학습능력이란 공조직의 전략적 자산으로 차별적 경쟁우위를 확보ㆍ유지하기 위한 고도화 전략의 실행방안인 학습조직화라 할 수 있다(이영현 외, 2008; 박용수·유낙근, 2010). 즉, 학습조직화란 공조직 내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개발ㆍ육성ㆍ강화를 기반으로 양질의 조직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조직차원의 새로운 실행 핵심전략이 다(김은영, 2010; 김한준, 2010). 공조직 조직구성원의 전략적 인적자원 개발과 역량향상을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훈련제도 변화는 상시 학습제도 구축을 통한 평생학습체제인 학습조직이다(김효은, 2009).
본 연구에서 공조직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한 것은? 본 연구는 공조직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셋째, 공조직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 학습조직이 조직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자의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조직성과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공조직의 조직성과는 국민 삶의 질적 향상과 행복증진을 위한 새로운 제도와 조직구조 및 관리기법 등이 과거의 관행이 아닌 새로운 관점의 조직문화를 요구하고 있으며(조주복, 2009), 이는 공조직의 조직성과인 조직효과성 및 조직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김호정, 2004). 즉,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직ㆍ간접적인 영향를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McDanial, 1995; Morgan, 2006; O'Reilly, Chatman & Caldwell, 1991; Saffold, 1988; Zammuto & O'Connor, 1992; 주효진 외, 2004; 이환범 외, 2005; 박재산, 2005; 안경섭, 2008; 김시태, 2010; 김문준, 2015). 한편, 공조직은 사조직과 달리 상사 및 상급기관의 권한에 의한 통제ㆍ명령ㆍ지시 사항에 신속하고 일사분란하게 반응하여 조직성과를 도출하였으나(배득종, 2007), 최근 공조직의 조직성과는 공조직의 핵심공유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고도화 방안 및 조직구성원의 지식가치를 통한 조직성과를 중요시 하고 있다(박용수, 2011; 김한준,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7)

  1. 곽상만(1996).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 권경득.임정빈(2003). 지방정부 조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15(1), 131-153. 

  3.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제3판). 서울: 데이터솔루션. 

  4. 김근세.이경호(2005).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9(3), 179-203. 

  5. 김명형(1996). 조직학습능력과 조직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6. 김문준(2015), 경영진의 컨설턴트 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제15권 제1호, 195-210. 

  7. 김문준(2016),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 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제 16권 제1호, 17-34. 

  8. 김문준(2017),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_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효과로, 산업진흥연구, 제2권 제1호, 15-30. 

  9. 김병섭.하태권(1996).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몰입도: 동기이론 및 스트레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8(4), 1279-1299. 

  10. 김시영.김규덕(1996). 지방전부 공공서비스의 성과평가 모형에 관한 소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8(3), 121-147. 

  11. 김시영.도운섭(1999). 지방전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고찰. 새마을지역개발연구, 25(1), 1-20. 

  12. 김시태(2010). 공공기관의 CoP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 한국산업인력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13. 김영기(1991). 공공서비스 성과에 대한 수혜자 평가의 결정요인.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4. 김영규.조우제(2011). 외식기업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관계품질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4(2), 139-157. 

  15. 김영환(2003). 경찰조직에서 학습조직이론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345-368. 

  16. 김은영(2010). 공공조직의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을 매개변인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7. 김재영(1999). 정부출연의 조직문화 특성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화 빌표논문집, 1999(5), 313-334. 

  18. 김한준(2010).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학습조직과 조직성과 관계모형 개발. 평생교육 HRD연구, 6(3), 161-189. 

  19. 김한준(2013).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성과에 미치는 조직문화, 개인 및 조직수준 학습조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 김호정(2002a). 한국행정문화연구와 경쟁가치모형. 한국정책학회보, 11(3), 219-238. 

  21. 김호정(2002b). 행정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36(4), 87-105. 

  22. 김호정(2003).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효과성의 관계: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37(4), 103-123. 

  23. 김호정(2004).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한국행정학보, 38(3), 49-67. 

  24. 김효은(2009). 지방공무원 상사학습제도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5. 나병선(2001). 대기업 집단의 학습조직과 조직문화, 조직학습, 조직유효성의 관계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6. 남종해 외(2004). 의료기관 학습조직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9(2), 1-22. 

  27. 도운섭(1999). 행정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관료행태의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논집, 11(2), 287-302. 

  28. 도운섭(2006).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효과성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문화관광부를 대상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2), 271-290. 

  29.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30. 박광량(1994). 학습조직의 측정과 구축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18(1), 63-91. 

  31. 박노윤(1997). 조직문화와 전략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 연구, 26(2), 303-329. 

  32. 박성원(1999). 학습조직화의 장애요인 규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지역개발연구, 7, 151-179. 

  33. 박순애.오현주(2006).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 한국행정학회, 40(4), 225-252. 

  34. 박용수(2011). 지방정부 학습조직화의 영향요인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35. 박용수.유낙근(2010). 지방정부 학습조직의 수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4(3), 241-267. 

  36. 박윤호.한경석(2007). 지식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비즈니스연구, 8(2), 251-275. 

  37. 박승영(2002), "호텔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박재산(2005).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국립병원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병원경영학회지, 10(1), 1-24. 

  39. 박주호(2008). 학교조직의 학습조직으로 변화의 논거.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1(1), 113-144. 

  40. 박중훈(1999). 행정서비스 종합대책의 구상,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41. 박천오.김상묵.강제상(2000). 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태도 차이에 관한 조사연구: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4(2), 269-287. 

  42. 박천오.박경효(1996). 한국관료제의 이해, 서울: 법문사. 

  43. 배득종(2007). 정부기관들의 학습조직화 정도와 예산절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3), 19-40. 

  44. 배병렬(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45. 배용수(1995). 지방공기업에의 민간참여 확대 방안. 공기업논총, 7(1), 35-61. 

  46. 백완기(1982). 한국의 행정문화,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47. 서인덕(1986). 한국기업의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 특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8. 송영선(2008).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49. 신유근(1987). 조직환경론. 서울: 고도컨설팅. 

  50. 안경섭(2008). 공공부문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103-131. 

  51. 우종필(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52. 유상진.이선영(1999). 학자들의 관점에서 본 학습조직의 주요성공요 인(CSF)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총론, 19(1), 233-256. 

  53. 유영만(1995). 지식경제시대의 학습조직. 서울: 고도컨설팅. 

  54. 이광수(2012). 조직문화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 행정기관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55. 이승규(2003). 지방행정에 있어 학습조직의 도입방안. 사회과학연구, 24(1), 53-67. 

  56. 이영현.유한구(2008).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1(1), 119-141. 

  57. 이상수(2000). 지방공공의료서비스의 조직운영형태별 성과평가. 한국행정학보, 34(3), 243-262. 

  58. 이상철.권영주(2008).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유형 분석: 공익형 공공기관과 기업형 공공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2(3), 143-164. 

  59. 이정주(2005). 지방공기업에서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하철공사의 사례.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60. 이학종(1986). 기업문화와 조직개발, 서울: 법문사. 

  61. 이한검.노남섭(1996). 세계화 시대의 기업문화, 서울: 형설출판사. 

  62. 이환범(2008). 기초자치단체 행정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문화 혁신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1), 19-43. 

  63. 이환범.김태영.이수창(2005). 행정책무성에 대한 조직문화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행정논총, 43(3), 29-52. 

  64. 이환범(2008). 기초자치단체 행정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문화 혁신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1), 19-43. 

  65. 임채숙(2009).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66. 임채숙.최봉기.성영태.곽승호(2009).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2(3), 43-67. 

  67. 장귀희(2009). 교육훈련제도 변경에 따른 지방공무원의 인식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68. 장용선(2010). 조직문화가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금융산업을 대상으로. 경영교육연구, 62(1), 147-180. 

  69. 장은주(1997). 외국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측정 사례: 미국과 영국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0. 전영복(2009). 공공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71. 정규석.김수원(2006). 생산부문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학습영역차원의 성공요인. 지식연, 4(2), 31-59. 

  72. 정무권(2009). 공공성과(public performance) 개념의 다차원적 이해. 2009년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73. 정무권(2010). 공공조직의 다차원적 성과분석을 위한 공공성과의 개념 화: 한국 준정부조직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6(1), 333-376. 

  74. 정무권.배득종.한상일(2005). 공무원 교육의 뉴패러다임화: 정부직의 학습조직화를 위한 평생학습체계 도입 방안.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뉴패러다임센터 연구보고서. 

  75. 정무권.조창현.최무현.한상일(2010).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 특성과 공공성과와의 관계. 정부학연구, 16(1), 377-415. 

  76. 정무권.한상일(2008).한국 중앙정부의 학습조직구조로서 인프라, 시스템, 문화의 상호관계: 구조방정식을 통한 효능감과 만족감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42(1), 97-122. 

  77. 정요안(2007), 소방방재청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관계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5-138. 

  78. 조성한.주영종(2007). 공공부문 조직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4(1), 35-62. 

  79. 조주복(2009). 지방정부 조직문화의 변화 연구 : 2005년과 2009년의 비교. 한국조직학회보, 6(3), 211-234. 

  80. 주상원.이우권(2011). 지방정부의 민원행정 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592), 139-158. 

  81. 조창현.최무현(2010).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가 공공서비스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부학연구, 16(1), 417-442. 

  82. 주효진(2003). 조직구조.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EM 기법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83. 주효진(2004).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업무특성별 기관분류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2(2), 29-53. 

  84. 진규동(2007). 기업의 학습조직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85. 진규동.최은수(2008).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기업 교육연구, 10(1), 1-26. 

  86. 채원호.조경호(2004). 정부 조직문화 쇄신을 위한 정책방안 모색: 중앙부처 대상 AHP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2), 73-95. 

  87. 최정수(2012). 외식조리종사원의 조직풍토 지각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연구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88. 최성욱(2005). 한국행정조직의 문화적 프로필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39(2), 41-62. 

  89. 한진환(2006). 학습조직의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습대회 논문집, 4(1), 103-108. 

  90. 홍세희(2011).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양한 모형. 서울: 에스앤엠 리서치그룹. 

  91. 황상재(1999). 방송3사의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3, 389-419. 

  92. 황창연(2002).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93. 황창연(2003a).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의 관계. 한국정책학회보, 12(2), 283-320. 

  94. 황창연(2003b). 행정조직에서 조직문화와 하위문화의 비교. 한국행 정학보, 37(1), 37-58. 

  95. Anand, N., & Daft, R. L. (2007). What is Right Organization Design. Organizational dynamics, 36(4), 329-344. 

  96. Argyris, C., & Schon, D. A., (1997). Organizational learning: A theory in action perspective. Centro De Investigaciones Sociologicas, (77-78), 345-350. 

  97. Bennet, J. K., & O'Brien, M. J. (1994). The building block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Training, June, 41-49. 

  98. Brewer, G. A., & Selden, S. C. (2000).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rch and Theory, 10(4), 685-712. 

  99. Cameron, K, S. (1984). The Effectiveness of ineffectiveness. In Staw, B. M. & Cummings, L. L.(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35-285. Greenwich: JAI Press. 

  100. Cameron, K, S. & Quinn, R. E. (1999).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New York. NY, Addison Wesley. 

  101. Chaston, I., Badger, B., & Sadler-Smith, E. (1999). Organizational learning style and transactionally orientated small UK manufacturing firm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4(5-6), 625-642. 

  102. Daft, R. L. (2001).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7th ED). Cincinnati, CT :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103. Davis, D. (2005).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its dimensions as key factors in firm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104. Deal, T. E., & Kennedy, A. A. (1982). Corporate Culture: The Rites and Rital of Corporate Life. Mass: Addison-Wesley. 

  105. Dobson, P. C., & Tosh, M. (1998). Creating learning organiza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British Steel's universal beam mill. Total Quality Management, 9(4-5), 66-70. 

  106. Fiol, C. M., & Lyles M. A. (1985). Organizational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4), 803-813. 

  107. Garvin, A. (1993).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July-August, 78-91. 

  108. Gilley, J. W., & Hoekstra, E. (2003). Creating a climate for learning transfer. In: Hol-ton III, E. F., & Baldwin, T. T.(Hrsg.),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Jossey-Bass, San Fraisco, CA; S. pp. 271-303. 

  109. Goh, S. C. (1998). Toward a Learning Organization: The strategic building blocks. Advanced Management Journal, 63(2), 15-20. 

  110. Gordon, G, G. (1991). Industry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2), 396-401. 

  111. Handy. C. (1978). Gods of management. London: Souvenir Press. 

  112. Harrison, M. I. & Shirom, Arie. (1999).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Assessment: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Publica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113. Hofstede, G, H.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14. Holmberg, S., Rothstein, B., & Nasiritousi, N. (2009). Quality of Govement : What You Get. Annual Reviw of Political Science. 12(1), 135-162. 

  115. Hughes, J. D. (2000). The learning organization part I. The learning organization : What is it? Does it constitute a useful set of ideas for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 CLMS Working Paper 29. 

  116. Jones, G. R. (1984). Multi-Objective Assessment of Effectiveness of Strategic Plann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2), 347-372. 

  117. Light, D., Keller, S., & Calhoun, C. (1997). Socialogy. New York, NY: McGraw-Hill. 

  118. Marquardt, M. J. (1994). 글로벌 학습조직. 송경근 역 (1994), 서울:한국언론자료간행회. 

  119. Martin, J (1992). Culture in Organizations: Three Perspective. NY: Oxford University Press. 

  120. Martin, J (2002). Organizational Culture: Mapping the Terrai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21. McDanial C. (1995). Organization culture and ethics work satisfac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5(11), 15-21. 

  122. Morgan, G. (2006). Images of organization. CA: sage. 

  123. Nachmias, C.. & Guerrero, A. (2005). Social statistics for a diverse society(4th ed.), Thousand Oaks, CA: Sage. 

  124. Nevis, E. C., DiBella, A. J., & Gould, J. M.(1995). Understanding organizations as learning system. Sloan Management Review, 36(2), 73-85. 

  125. O'Reilly, C. A. III., Chatman, J., & Caldwell. D. F.(1991).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3), 487-516. 

  126. Osborne, S., Brown, K., & Osborne, S. (2005). Managing change and innovation in public service rganizations. London: Routledge 

  127. Ouchi, W. G. (1980). Markets, Bureaucracies and clan, International Library of Critical Writings in Economics, 106(3), 346-358. 

  128. Pedler, M., Burgoyne, J., and Boydell, T. (1991). The learning company: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ew York, NY: McGraw-Hill. 

  129. Price, J. L. (1968).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inventory of propositions. Homewood, IL: Irwin. 

  130. Quinn, R. E.(1988). Beyond rational management: Mastering the paradoxes and comepeting demands of high performan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31. Quinn, R. E. & Kimberly, J. R.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Kimberly, J. R., & Quinn, R. E. (Eds.),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Homewood, IL: Irwin. 

  132. Quinn, R. E. & McGrath, M. R.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pp 315-334. Beverly Hills, CA: Sage. 

  133. Rainey, H. G., & Steinbauer. P. (1999). Galloping elephants: developing elements of a theory of effective government organization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9(1), 1-32. 

  134. Redding, J. C. (1997). Hardwir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61-67. 

  135. Robbins, S. P. (1990), organization theory &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s(3ed),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136. Rogers, S. (1990). Performance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London: Longman. 

  137. Romzek, Barbara S. (2000). Dynamics of Public Sector Accountability in an Era of Reform.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 66, 21-44. 

  138. Rothstein, B., & Teorell, J. (2008). What is quality of government? A theory of impartial government institutions. Governance. 21(2), 165-190. 

  139. Saffold, G. S. III. (1988). Culture traits, strength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Moving beyond strong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4). 546-558. 

  140. Sathe, V. (1985). Culture and Related Corporate Realities: Text, Cases, and Readings on Organizational Entry, Establishment and Change Homewood. IL: Irwin. 

  141. Schein, E. H. (2004).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3rd). Jossey Bass. 

  142. Schein, E. H. (1996). Culture: The, Missing Concept in Organization Studi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1(2), 229-240. 

  143. Selden, S. C., & Sowa, J. E. (2004).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ospects and problem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4(3), 395-416. 

  144. Senge, P. M. (1990). The fifth diescipline :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NY: Double-day/ Currency. 

  145. Sujan, H., Weitz, B. A., & Kumar. n. (1994). Learning orientation. working smart and effective selling. Journal of Marketing, 58(3), 39-52. 

  146. Swanson, R. A. & Hoiton, E. F., III (2001). Found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147. Tannenbaum, S. I. (1997). Enhancing continuous learning: Diagnostic findings from multiple companies. Human resource management, 36(4). 437-452. 

  148. Tippins, M. j., & Sohi, R. S. (2003). IT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Is organizational learning a missing Link?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8), 175-218. 

  149. Tobin, D. R. (1993). Re-educating the corporation: Foundations for the learning organization. Essex Junction: Wiley. 

  150. Watkins, K. E., & Marsick, V. J. (1993). Sculp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Lesson in threat and science of systemic chang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51. Watkins, K. E. (1996). Of course organization learn! In R. W Rowden(ed.). Workplace learning. Debating five critical questions of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52. Watkins, K. E., & Marsick, V. J. (1999). Facilitating Learning Organizations: Making Learning Count. Aldershot, England: Gower. 

  153. Wiener, Y. (1988). Forms of value system: A focu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ltural change and mainten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4), 534-545. 

  154. Wonacott, M. E. (2000). The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Myths and Realities, 12(1), 3-4. 

  155. Yang, B., Watkins, K. E. & Marsick, V. J. (2004). The construct of Learning organization: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1), 31-55. 

  156. Yeung, A. K., David, O. U., Stephen, W. N., & Mary, V. G. (1999).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New York:NY: Oxford University Press. 

  157. Zammuto, R. F., & O'Connor. E. J. (1992). Gaini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benefits: The roles of organization design and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7(4), 701-7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