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 전문성 활동에 따른 임상경력관리체계 수정모형
Revised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Based on Nurses' Clinic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Activities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3, 2018년, pp.324 - 335  

조명숙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권인각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조용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vised Clinical Ladder System(CLS) Model for nurses based on the evaluation of clinic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activities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0 and October 30, 2017. Partici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ho 등[3]에 의해 개발된 종합병원에서의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을 종합병원 간호사에게 실제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임상경력관리체계 수정모형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Cho 등[3]이 제시한 종합병원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에 따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자격요건, 전문직 활동 현황을 파악하여 보다 적합한 수정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역량과 임상등급별 자격요건, 전문성 활동 등 실태를 조사하여 종합병원에보다 적합한 임상경력관리체계를 위한 수정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경력관리제도란 무엇인가? 간호사를 비롯한 양질의 보건인력의 부족은 효과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데 우리나라도 2000년대 이후 심각한 간호사 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도달하였다[1]. 임상경력관리제도는 간호사의 역할을 규명하고 발휘된 역량에 따라 임상등급을 구분하여 인정하고 경제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전문직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숙련된 간호사의 보유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로서 간호사 인력부족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2,3].미국에서는 이미 1960년대부터 임상경력관리제도가 도입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나[4] 국내에서 2000년대 초기부터 일부 병원에서 제도를 도입, 적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 및 자율성[4]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파워먼트가 증가된 것이 보고되었다[5].
병원 내에서 우수한 간호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이 있는가? 간호인력 보유를 위한 방법으로써 간호업무환경을 개선하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과 함께 간호사의 이직 요인 완화를 위해 임금수준 향상이 필요하다[17,18]. 따라서 간호사의 임상등급에 따라 적절한 역할을 부여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하는 임상경력관리체계의 적용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의욕을 높이고 우수인력을 보유하기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경력관리제도가 국내에 도입되며 변화된 보건 환경은 무엇인가? 임상경력관리제도는 간호사의 역할을 규명하고 발휘된 역량에 따라 임상등급을 구분하여 인정하고 경제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전문직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숙련된 간호사의 보유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로서 간호사 인력부족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2,3].미국에서는 이미 1960년대부터 임상경력관리제도가 도입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나[4] 국내에서 2000년대 초기부터 일부 병원에서 제도를 도입, 적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 및 자율성[4]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파워먼트가 증가된 것이 보고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T, Kang KH, Ko YK, Cho SH, Kim E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e workforce policy: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106-116.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106 

  2. Cho MS, Cho YA, Kim KH, Kwon IG, Kim MS, Lee JL.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For tertiary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277-292. 

  3. Cho MS, Kwon IG, Kim KH, Kim MS, Cho YA.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3):281-292. 

  4. Kwon IG, Sung YH, Park KO, Yu OS, Kim MA. A study on the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7-23. 

  5. Park KO, Lee YY. Career ladder system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314-325. 

  6. Min A, Kim IS.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clinical ladder system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owerment based on nurses' clinical career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254-264.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254 

  7. Jung SW.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RNs about the adoption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The Korean Nurse. 2005;44(6):69-82. 

  8. Park KO,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gram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581-59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581 

  9. Park MR, Kim NC.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57-27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57 

  10. Park JE, Kim SS.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501-512.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01 

  11. Jang KS.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p. 1-201. 

  12. Youk SY. Nursing competency and indicator development by emergency nurse's clinical lad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3):481-494. 

  13. Kim HY, Jang KS. Development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7(3):301-314. 

  14. Hospital nurses distribution status 2015-2017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7 [cited 2018.10.01].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15. Kim MA, Park KO, You SJ, Kim MJ, Kim ES.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49-165. 

  16.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7. Ahn MS, Lee YJ. The predictive factors on leave planning of nurses working at medium-sized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1):323-334. 

  18. Han YH. Development of clinical ladder system of nurses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dissertation]. Suwon: Ajou University; 2015. p. 1-143. 

  19. Kim M. The influence of career ladder system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13. p. 1-115. 

  20. Buchan J. Evaluating the benefits of a clinical ladder for nursing staff: An internation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9;36(2):137-144. 

  21.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2;82(3):402-407. 

  22.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Regulation terminology (version 1) [Internet]. Geneva: ICN; 2005 [cited 2014 August 24]. Available from: http://www.icn.ch/images/stories/documents/pillars/regulation/Regulation_Terminology.pdf. 

  23. Cohen J.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155-159. 

  24. Krugman M, Smith K, Goode CJ. A clinical advancement program: Evaluating 10 years of progressive chang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0;30(5):215-225. 

  25. Pierson MA, Liggett C, Moore KS. Twenty years of experience with a clinical ladder: A tool for professional growth, evidence-based practice, recruitment and retention.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0;41(1):33-40. https://doi.org/10.3928/00220124-2009122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