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사회관계가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Assessing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Relationships o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57 - 268  

원지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 또래, 교사와의 사회관계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모 또는 또래와의 지지적 관계는 고등학생 시기 진로정체감 수준과 이후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 고등학생 시기 교사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한 청소년의 경우 대학 진학 후 진로 결정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의 진로발달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형성,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융합적 접근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purposed to assess how the career development before and after entering college was related to youth's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youth'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satisfaction w...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졸업 이후 취업을 하더라도 조기 퇴사하거나 잦은 이직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서 결국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4,7].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 시기 진로발달의 수준이 대학교 진학 이후 신입생 시기 진로결정 여부 및대학 생활 만족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진로정체감의 실제 변화량을 통해 진로발달의 추이를 측정하지 못하고 진로 결정이라는 간접적 지표를 활용하여 그 변화의 방향성을 추정하였다.
  • 특히 대학생 시기 진로 결정은 재학 기간 중 진로준비 행동과 졸업 후 노동시장 성과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을 통해 이들의 진로발달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예를 들어 모의 정서적 지지와 온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7,28],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은 자녀의 진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가 부모의 양육방식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통해 이들의 부모-자녀 관계를 평가하고 부모-자녀 관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청소년의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가정 안팎에서 형성된 청소년들의 사회관계에 주목하고, 이러한 사회관계가 청소년기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청소년들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진로발달을 위해 사회관계 차원에서 요구되는 융합적 접근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 또래, 교사와의 사회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의 진로정체감 변화와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관계라는 환경적 요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융합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를 포함한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대학생활적응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학생활을 만족스럽게 보내는 것은 대학생활적응과 연결되는 중요한 부분 하나로, 교육현장에서 만족감을 느끼는 학생들은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졸업 이후의 삶 속에서도 잘 적응하고, 더 높은 성취도와 내재동기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38].
  • 특히, 사회관계를 통한 물질 적·정서적 지원은 진로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되어왔다[22]. 본 연구에서는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사회관계로 부모, 또래,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가정 안팎에서 형성된 청소년들의 사회관계에 주목하고, 이러한 사회관계가 청소년기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청소년들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진로발달을 위해 사회관계 차원에서 요구되는 융합적 접근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아래의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 간의 역동성을 이해하고 청소년의 사회관계가 이러한 역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Fig. 1 참조).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청소년의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기 형성·발전된 사회관계가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고등학생 시기 동안 지지적인 사회관계를 통해 형성된 안정적인 진로정체감은 대학교 진학 후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전반적인 대학생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시기 사회관계의 경험이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개념 중 하나로서 진로정체감이란?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개념 중 하나로서 진로정체감이란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적인 상을 의미한다[10,11]. 즉, 진로정체감이 잘 형성된 개인은 자신의 목표, 흥미, 성격, 재능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진로를 설정하는 데 반해, 진로정체감이 낮은 개인은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10,11].
진로결정은 진로정체감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개념 중 하나로서 진로정체감이란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적인 상을 의미한다[10,11]. 즉, 진로정체감이 잘 형성된 개인은 자신의 목표, 흥미, 성격, 재능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진로를 설정하는 데 반해, 진로정체감이 낮은 개인은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10,11]. 따라서 진로결정은 진로정체감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12].
진로발달은 어떠한 과정인가? 진로발달은 생애 전반에 걸쳐 직업인으로서의 자신을 구축하고 구조화와 재구조화를 반복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1]. 특히 청소년기는 진로정체감의 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E. J. Porfeli & B. Lee. (2012). Career develop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134, 11-22. 

  2. E. Crocetti & M. Meeus. (2015). The identity statuses: Strength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In K. C. Mclean & M. Syled. (Eds.), The Oxford Handbook of Identity Development (pp. 97-11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E. Ginzberg, S. W. Ginsburg, S. Axelrad & J. L. Herma. (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 H. G. Kang, J. N. Song, S. J. Jung & S. H. Yi.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in early adolescence and university-major satisfaction on identity developmental trajectori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8(3), 57-88. 

  5. S. K. Kim. (2003).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2), 215-237. 

  6. K. H. Yoo & J. K. Kim. (2016).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8), 580-591. 

  7. J. C. Lee & A. J. Hong. (2012). Exploring factor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0(3), 177-206. 

  8. M. H. Hwang, H. C. Choi & H. J. Lim. (2016).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3), 195-220. 

  9. Y. Son & S. Lee. (2019). The analysis of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to career identity by using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3), 139-157. 

  10. J. L. Holland & J. E. Holland.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404-414. 

  11. J. K. Lee. (2006).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in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Psychology, 20(3), 571-586. 

  12. I. S. Kim, M. J. Son & H. G. Park. (2017).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302-312. 

  13. E. Lee, S. Oh & H. Kwak. (2019). Longitudinal study among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of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2(4), 307-329. 

  14. H. J. Shin & M. H. Lee. (2011).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on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effect on stress, aggression,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7), 139-161. 

  15. Y. K. Au. (2008). Effect of school stress and melancholy disposition on adolescences learning flow: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erspectiv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9(3), 97-117. 

  16. M. H. Jo, H. Y. Lee & H. W. Lee. (2013). Longitudinal chang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2), 91-112. 

  17. E. S. Kim. (2015).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means of major selection criteria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3), 85-101. 

  18. H. Jung & A. Cho.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university/major selection factor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university satisfaction level.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1(1), 1-20. 

  19. D. Y. Lee, I. H. Kim & T. Y. Go. (2011). A study on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local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1(2), 41-68. 

  20. K. M. Jang. (2005).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6(1), 185-196. 

  21. A. R. Nam & H. Jung. (2012). The Study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indecision.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0(3), 27-37. 

  22. E. M. Lim, M. S. Song & S. J. Lee. (2011).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4), 1-20. 

  23. E. S. Jung & J. H. Ha. (2019).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life adaptation and depression on university students: Verification of medication effect of career indeci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6(6), 25-50. 

  24. H. S. Kim (2018).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2), 251-262. 

  25. J. Y. Lee. (2017).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major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2year and 4year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07-218. DOI: 10.15207/JKCS.2017.8.4.207 

  26. Y. J. Hong & M. K. Lee. (2014). Effect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0), 445-474. 

  27. C. H. Yoon.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4), 129-154. 

  28. Y. J. Kwon.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nqu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9, 177-204. 

  29. E. Jung & D. Ahn. (2018).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utonomy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1(2), 171-192. 

  30. D. E. Felsman & D. L. Blustein. (1999). The role of peer relatedness in late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31. E. S. Moon. (201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ego-identity, and career identity influencing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Korea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2(1), 21-35. 

  32. S. J. Kwon, J. R. Park & J. Y. Kim. (2017).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3(2), 29-51. 

  33. S. K. Lee. (2006).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8(3), 613-627. 

  34. Y. Cho & I. Oh. (2019). The relation of life goal types and life satisfactions depending on perceived types of parenting style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1), 1327-1346. 

  35. S. J. Park & S. R. Choi. (2019).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dependency on the smartphone in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21-129. DOI: 10.22156/CS4SMB.2019.9.6.121 

  36. S. M. Park, J. Y. Park & P. G. Kim. (2018).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s and college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9), 684-695. 

  37. J. Y. Song. (2017).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2), 335-345. 

  38. M. J. Park, Y. L. Ham & D. N. Oh. (2012). Levels and their Correlations of decision-making-competency, adjustment to college life,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in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4), 327-337. 

  39. M. R. Kim & S. J. Han. (2018). The effects of personal, social factors and school career experience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9), 399-405. DOI: 10.15207/JKCS.2018.9.9.399 

  40. B. W. Westbrook, J. O. Cutts, S. S. Madison & M. A. Arcia. (1980). The validity of Crites' model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 249-281. 

  41. M. S. Min, H. R. Hue & H. M. Kim. (2002). The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the Colleges' support for the Tran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o the World of Job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42. K. M. Taylor & J. Pompa. (1990). An examination for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1), 17-31. 

  43. C. Park. (2018).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abor market performanc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18(4), 51-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