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o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5 no.2, 2018년, pp.74 - 81  

오의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박경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안석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남궁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심다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이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회경제적 손실에 비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수는 많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 : 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뒤, 치료 전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적 자원 부담이 적음을 고려하였을 때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fi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ficient cognitive resources to obtain a proper treatm...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치료를 지역사회에서 시행하게 되면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의 “단계적인 관리” 개념에 맞추어 불면증의 일차적인 지역 사회 치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노인 불면증의 성공적인 치료 대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에서 불면을 호소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저자들이 개발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를 시행하고 이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노인 인구 비율 증가가 유지된다면 2045년에는 어떻게 되는가? 2017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이 전체인구의 13.8%를 차지하고 있고, 현재의 노인 인구 비율 증가가 유지된다면 2045년에는 노인 인구가 47.7%로 증가하여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 고령화 사회에서 불면증은 중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된다.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시행했을 때의 단점은 무엇인가? 임상적으로는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 흔히 약물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수면 구조의 변화로 인한 깊은 수면의 감소, 병용 약물과의 상호작용, 신체 및 심리적 의존 및 오남용 가능성 등이 있으며, 특히 노인 인구에게는 장기간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이 낙상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Alessi 등 2005). 노인 인구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약물 부작용에 더욱 민감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등 비약물치료를 중심으로 한 접근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Smith 등 2002).
불면증은 노인인구에게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1%가 불면증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고 알려졌다(Ahn등 2015). 불면증은 노인 인구에게서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인지 기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면역 기능 약화, 대사 기능, 교감 신경계 활동에도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Ancoli-Israel 등 2008).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노인 인구의 불면증은 결과적으로 노인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사회적인 비용을 크게 상승시킬 것이므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의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ler RM. Cognitive/behavioral and relational/interpersonal group counseling: Effects of an eight-week approach on affective status among independent-living elderly adults.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1990;51:969B. 

  2. Ahn S, Choi H, Kim H, Kim J.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15;19:32-39. 

  3. Alessi CA, Martin JL, Webber AP, Cynthia Kim E, Harker JO, Josephson K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abnormal sleep/wake patterns in nursing home residents. J Am Geriatr Soc 2005;53:803-810. 

  4. Ancoli-Israel S, Ayalon L, Salzman C. Sleep in the elderly: normal variations and common sleep disorders. Harv Rev Psychiatry 2008;16:279-286. 

  5. Avidan AY. Sleep disorders in the older patient. Prim Care 2005;32:563-586. 

  6. Brabbins C, Dewey M, Copeland J, Davidson I, McWilliam C, Saunders P, et al. Insomnia in the elderly: prevalence, gender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Int J Geriatr Psychiatry 1993;8:473-480. 

  7. Buysse DJ, Germain A, Moul DE, Franzen PL, Brar LK, Fletcher ME, et al. Efficacy of brief behavioral treatment for chronic insomnia in older adults. Arch Intern Med 2011;171:887-895. 

  8.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9.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40:373-383. 

  10. Cho M, Bae J, Suh G, Hahm B, Kim J, Lee D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1. 

  11. Cho Y, Kim 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Kor J Clin Psychol 2004;23:503-518. 

  12. Espie CA. "Stepped care": a health technology solution for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a first line insomnia treatment. Sleep 2009;32:1549-1558. 

  13. Espie CA, Inglis SJ, Tessier S, Harvey L.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chronic insomnia: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leep clinic in general medical practice. Behav Res Ther 2001;39:45-60. 

  14. Foley DJ, Monjan AA, Brown SL, Simonsick EM, Wallace RB, Blazer DG. Sleep complaints among elderly persons: an epidemiologic study of three communities. Sleep 1995;18:425-432. 

  15. Hamblin JE. Insomnia: an ignored health problem. Prim Care 2007; 34:659-674, viii. 

  16. Mastin DF, Bryson J, Corwyn R. Assessment of sleep hygiene using the sleep hygiene index. J Behav Med 2006;29:223-227. 

  17. Mintz J, Steuer J, Jarvik L. Psychotherapy with depressed elderly patients: research considerations. J Consult Clin Psychol 1981;49:542-548. 

  18. Morin CM.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Guilford Press;1993. 

  19. Ohayon MM.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 Rev 2002;6:97-111. 

  20. Riemann D, Spiegelhalder K, Espie C, Pollmacher T, Leger D, Bassetti C, et al. Chronic insomnia: clinical and research challenges--an agenda. Pharmacopsychiatry 2011;44:1-14. 

  21. Schutte-Rodin S, Broch L, Buysse D, Dorsey C, Sateia M.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8;4:487-504. 

  22. Seo W-S. Behavior therapy and light therapy of insomnia. Sleep Med Psychophysiol 2003;10:20-25. 

  23. Smith MT, Perlis ML, Park A, Smith MS, Pennington J, Giles DE, et al. Comparative meta-analysis of pharmacotherapy and behavior therapy for persistent insomnia. Am J Psychiatry 2002;159:5-11. 

  24. Troxel WM, Germain A, Buysse DJ. Clinical management of insomnia with brief behavioral treatment (BBTI). Behav Sleep Med 2012;10:266-279. 

  25. Verbeek IH, Konings GM, Aldenkamp AP, Declerck AC, Klip EC.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in clinically referred chronic insomniacs: group versus individual treatment. Behav Sleep Med 2006;4:135-151. 

  26. Vitiello MV, McCurry SM, Rybarczyk BD. The futur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what important research remains to be done? J Clin Psychol 2013;69:1013-1021. 

  27.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Psychiatr Res 1982;17: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