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수술환자의 디스트레스 및 연관인자 : 단면연구
Distress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Surgery : A Cross-Sectional Stud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77 - 85  

이상신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임효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우정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유방암 환자가 치료 초기에 경험하는 디스트레스는 유방암 생존기까지 지속되는 만성 디스트레스의 위험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첫 치료로써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distress thermometer, DT)를 이용하여 디스트레스의 정도와 이와 연관된 인자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2013년 4월 1일부터 2017년 3월 31일 사이에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유방암 첫 치료로써 수술을 받고 일주일 이내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DT로 디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척도 단축형(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으로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그 외 기본 인구학적 자료, 암 및 암 치료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DT 점수 4점 이상인 대상자를 디스트레스 군으로 분류하였다. 디스트레군과 연관된 인자를 알기 위하여 디스트레스군과 비-디스트레스 군 사이의 변수 차이를 단변수 분석(univariable analysis)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디스트레스 군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자는 총 307명이었다. 이 중에서 DT에 응답하지 않은 39명, WHOQOL-BREF에서 6개 항목 이상 답을 하지 않아서 채점을 할 수 없었던 4명을 제외한 264명이 분석 대상자였다. 65.5%(n=173)가 디스트레스 군으로 분류되었다. 단변수 분석(univariable analysis)에서 디스트레스 군이 비-디스트레스 군과 비교하여 더 젊었으며(p=0.045),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p=0.032). 삶의 질 영역에서 디스트레스 군이 전반적 삶의 질(p=0.009), 전반적 건강상태(p=0.005), 신체건강영역 p<0.001), 심리건강영역(p=0.002)에서 더 나쁜 삶의 질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60세 이상의 환자에 비하여 40-49세의 환자가 디스트레스에 이환 될 확률이 약 3배 높았고[OR=2.992, 95% confidence intervals (CI) 1.241-7.215], WHOQOL-BREF영역 중 신체건강영역이 디스트레스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OR=0.777, 95% CI 0.692-0.873). 결 론 유방암 수술 치료 초기단계에서부터 상당한 수의 환자가 유의한 수준의 디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생산성이 왕성한 삶의 주기에 있는 40대의 환자가 60대 이상의 환자에 비하여 수술 후 일주일 이내에 겪는 심리적 고통이 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환자들에게서 수술 초기부터 신체적 삶의 질과 연관된 영역(예 : 통증, 불면, 피로 등)에 대해 평가하고 개입하는 것이 디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킬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istress using the distress thermometer (DT)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istress in postoperative breast cancer (BC) patients. Methods : DT and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along with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으로 처음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DT를 이용하여 전향적으로 디스트레스를 측정하고, 삶의 질을 포함하여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3,16,17) 수면은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선별 도구 중의 하나인 국립암센터 심리 증상 평가지에서 우울, 불안과 더불어 3대 증상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으나 간과되어온 측면이 있다.37) 그러나 유방암에서 수면장애는 흔하고 암 치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37-39) 유방암에서 불면이 만성화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치료 초기부터 인지행동적 접근이 유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수술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6,7) 그러나 권고안 및 널리 알려진 이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스트레스 관리 지침이 준수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8) 유방암 수술은 대표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이지만 유방 변형, 절단과 같은 신체상(body image) 손상과 이에 따른 우울, 불안, 삶의 질 저하와 연관되기도 한다.9) 유방암 수술을 받는 환자의 약 80%가 수술 전 3개월이내에 진단을 받았다는 점과,10)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가 어떤 방식으로든 심리적 적응을 하는데 약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11) 수술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은 암 진단이라는 충격과 불확실성에서 아직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유방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연관된 요인에 따른 결과가 일정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유방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연관된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암 및 암 치료 관련, 신체 및 생리기능, 심리 및 성격 관련 요인 등의 다양한 측면이 보고되어 왔으나16-22) 아직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대상자의 암 상태, 암 치료 단계, 디스트레스 측정도구 등이 연구마다 다르다는 점도 있지만,19) 디스트레스 자체가 심리, 사회, 영적, 신체적 등의 다양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23)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World Health O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WHOQOL),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Core Questionnaire (EORTC QLQ-C30),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FACT-B)와 같은 삶의 질 척도는 신체, 심리 등의 포괄적인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디스트레스는 무엇인가? ‘디스트레스(Distress)’는 암, 암의 신체 증상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심리적, 사회적, 영적 혹은 신체적 경험으로 정의된다. 디스트레스에는 취약한 느낌, 슬픔 등의 정상 감정에서부터 우울, 불안, 공황, 사회적 고립 그리고 실존적 혹은 영적 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NCCN org [homepage on the Internet]. Fort Washingto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Guidelines for Distress Management version 2.2018-February 23,2018 [cited 2018 Jun 21]. Available from: https://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f_guidelines.asp#supportive. 

  2. Hershman DL, Kushi LH, Hillyer GC, Coromilas E, Buono D, Lamerato L, Bovbjerg DH, Mandelblatt JS, Tsai WY, Zhong X, Jacobson JS, Wright JD, Neugut AI.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non-persistence with adjuvant endocrine therapy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the Breast Cancer Quality of Care Study (BQUAL). Breast Cancer Res Treat 2016; 157:133-143. 

  3. Brunault P, Champagne A-, Huguet G, Suzanne I, Senon JL, Body G, Rusch E, Magnin G, Voyer M, Reveillere C, Camus V. Major depressive disorder, personality disorders, and coping strategie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lower quality of life in non-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16;25:513-520. 

  4. Andersen BL, Yang HC, Farrar WB, Golden-Kreutz DM, Emery CF, Thornton LM, Young DC, Carson WE 3rd. Psychologic intervention improves survival for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ancer 2008;113:3450-3458. 

  5. Eskelinen M, Korhonen R, Selander T, Ollonen P. Beck Depression Inventory as a Predictor of Long-term Outcome Among Patients Admitted to the Breast Cancer Diagnosis Unit: A 25-year Cohort Study in Finland. Anticancer Res 2017; 37:819-824. 

  6. Yu ES, Shim EJ, Kim HK, Hahm BJ, Park JH, Kim JH.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distress management in Korean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12;21:541-549. 

  7. Cancer.go.kr [homepage on the Internet]. GyeongGi-Do: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Recommendations for Distress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updated 2010 Jun 4;cited 2018 June 21].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bbs/S1T674C680/B/26/view.do?article_seq19644. 

  8. Kang JI, Sung NY, Park SJ, Lee CG, Lee BO. The epidemiology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in South Korea: analysis of national registry data. Psychooncology 2014;23:35-39. 

  9. Begovic-Juhant A, Chmielewski A, Iwuagwu S, Chapman LA. Impact of body image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J Psychosoc Oncol 2012;30: 446-460. 

  10. Kim JY, Woo J, Lee SS, Kim HW, Khang D, Rim HD.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delayed diagnosis of breast cancer: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functioning. Korean J Psychosom Med 2014;22:13-22. 

  11. Lam WW, Bonanno GA, Mancini AD, Ho S, Chan M, Hung WK, Or A, Fielding R. Trajectori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hinese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0;19:1044-1051. 

  12. Liu JE, Wang HY, Wang ML, Su YL, Wang PL. Posttraumatic grow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hinese early-stage breast cancer survivors: a longitudinal study. Psychooncology 2014;23:437-443. 

  13. Vahdaninia M, Omidvari S, Montazeri A. What do predict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follow-up stud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0;45:355-361. 

  14. Saboonchi F, Petersson LM, Wennman-Larsen A, Alexanderson K, Brannstrom R, Vaez M. Changes in casenes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the first year following surgery: patterns of transiency and severity of the distress response. Eur J Oncol Nurs 2014;18:598-604. 

  15. Lam WW, Shing YT, Bonanno GA, Mancini AD, Fielding R. Distress trajectories at the first year diagnosis of breast cancer in relation to 6 years survivorship. Psychooncology 2012; 21:90-99. 

  16. Syrowatka A, Motulsky A, Kurteva S, Hanley JA, Dixon WG, Meguerditchian AN, Tamblyn R. Predictors of distress i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Breast Cancer Res Treat 2017;165:229-245. 

  17. Brandao T, Schulz MS, Matos PM. Psychological adjustment after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oncology 2017;26:917-926. 

  18.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s M, Ramirez A.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MJ 2005;330: 702-705. 

  19. Bardwell WA, Natarajan L, Dimsdale JE, Rock CL, Mortimer JE, Hollenbach K, Pierce JP. Objective cancer-related variables are no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treated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J Clin Oncol 2006; 24:2420-2427. 

  20. Tojal C, Costa R.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 adjustment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5;24: 1060-1065. 

  21. Hopwood P, Sumo G, Mills J, Haviland J, Bliss JM, START Trials Management Group. The course of anxiety and depression over 5 years of follow-up and risk factors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results from the UK Standardisation of Radiotherapy Trials (START). Breast 2010;19:84-91. 

  22. Jorgensen L, Laursen BS, Garne JP, Sherman KA, Sogaard M.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istress in women taking part in surgical continuity of care for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Eur J Oncol Nurs 2016;22:30-36. 

  23. Mitchell AJ. Screening and assessment for distress. Holland JC, Breitbart W, Butow P, Jacobsen PB, Loscalzo M, Mc-Corkle R, editors. Psycho-oncology,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15. p.384-395. 

  24. Pockaj BA, Degnim AC, Boughey JC, Gray RJ, McLaughlin SA, Dueck AC, Perez EA, Halyard MY, Frost MH, Cheville AL, Sloan JA. Quality of lif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should we go next? J Surg Oncol 2009;99:447-455. 

  25. Paraskevi T. Quality of life outcome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 Rev 2012;6:e2. 

  26. Mitchell AJ. Pooled results from 38 analyses of the accuracy of distress thermometer and other ultra-short methods of detecting cancer-related mood disorders. J Clin Oncol 2007;25: 4670-4681. 

  27. Ma X, Zhang J, Zhong W, Shu C, Wang F, Wen J, Zhou M, Sang Y, Jiang Y, Liu L. The diagnostic role of a short screening tool--the distress thermometer: a meta-analysis. Support Care Cancer 2014;22:1741-1755. 

  28. Min SK, Kim KI, Park IH. Korean version of WHOQO. Seoul: Hana Medical Publishing;2002. p.7-70. 

  29. Agarwal J, Powers K, Pappas L, Buchmann L, Anderson L, Gauchay L, Rich A. Correlates of elevated distress thermometer scores in breast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3;21:2125-2136. 

  30. Bidstrup PE, Johansen C, Mitchell AJ. Screening for cancer-related distress: Summary of evidence from tools to programmes. Acta Oncol 2011;50:194-204. 

  31. Mertz BG, Bistrup PE, Johansen C, Dalton SO, Deltour I, Kehlet H, Kroman 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women with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Eur J Oncol Nurs 2012; 16:439-443. 

  32. Hegel MT, Collins ED, Kearing S, Gillock KL, Moore CP, Ahles T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Distress Thermometer for depression in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08;17:556-560. 

  33. Ho SY, Rohan KJ, Parent J, Tager FA, McKinley PS. A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fatigue, and sleep disturbances as a symptom cluster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5;49:707-715. 

  34. Khang D, Rim HD, Woo J. The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scale-reliability and validity in a sample of breast cancer patients. Psychiatry Investig 2013;10:26-33. 

  35. Roma S, Tickoo R, Garrett Key, Willian S. Breitbart. Cancer-related pain Holland JC, Breitbart W, Butow P, Jacobsen PB, Loscalzo M, McCorkle R, editors. Psycho-oncology,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2015. p.171-198. 

  36. Ripamonti CI, Santini D, Maranzano E, Berti M, Roila F, ESMO Guidelines Working Group. Management of cancer pain: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n Oncol 2012;23 Suppl 7:vii139-154. 

  37. Savard J, Savard MH. Insomnia and cancer: Prevalence, nature, and nonpharmacologic treatment. Sleep Med Clin 2013;8: 373-387. 

  38. Savard J, Ivers H, Savard MH, Morin CM. Cancer treatments and their side effects are associated with aggravation of insomnia: Results of a longitudinal study. Cancer 2015;121: 1703-1711. 

  39. Caplette-Gingras A, Savard J, Savard MH, Ivers H. Is Insomnia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s in Breast Cancer Patients? Behav Sleep Med 2013;11:239-257. 

  40. Savard J, Villa J, Ivers H, Simard S, Morin CM. Prevalence, natural course, and risk factors of insomnia comorbid with cancer over a 2-month period. J Clin Oncol 2009;27:5233-5239. 

  41. Garland SN, Johnson JA, Savard J, Gehrman P, Perlis M, Carlson L, Campbell T. Sleeping well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in cancer patients. Neuropsychiatr Dis Treat 2014;10:1113-1123. 

  42. Wagner LI, Cella D. Fatigue and cancer: causes, prevalence and treatment approaches. Br J Cancer 2004;91:822-828. 

  43. Tomlinson D, Robinson PD, Oberoi S, Cataudella D, Culos-Reed N, Davis H, Duong N, Gibson F, Gotte M, Hinds P, Nijhof SL, van der Torre P, Cabral S, Dupuis LL, Sung L. Pharmacologic interventions for fatigue in cancer and transplantation: a meta-analysis. Curr Oncol 2018;25:e152-e167. 

  44. Qu D, Zhang Z, Yu X, Zhao J, Qiu F, Huang J. Psychotropic drugs for the management of cancer-related fatigu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Cancer Care 2016;25: 970-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