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분석
DACUM Job Analysis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3 no.1, 2018년, pp.76 - 93  

김종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컴(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협력 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긴 후,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정하고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다. 데이컴 직무분석을 위한 워크숍은 Level-I 자격증을 소지한 데이컴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8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이틀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란 특성화고 산업수요 맞춤형고 등에서 취업진로지도, NCS 기반 현장실습운영, 산학관관계구축, 대외사업운영, 산학협력행정업무, 담당교과교수 등을 수행하는 보직교사로 정의하였다. 둘째,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의 임무(duties)와 80개의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7개 임무는 '취업 진로 지도', 'NCS 기반 현장 실습 운영', '산학관 관계 구축', '대외 사업 운영', '산학 협력 행정 업무', '담당 교과 교수활동', '자기계발'이다. 이들 임무 중 가장 많은 작업은 '담당 교과 교수활동'으로 17개의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직무분석 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도출하고, 작업자의 태도와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장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ob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using DACUM metho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duties, task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entry level on each task. Finally, 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공업계열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 이 연구는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산학협력부장 교사를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분석에 참여한 데이컴 위원회 구성은 Level-Ⅰ 라이센스를 취득한 데이컴 분석가, 산학협력부장 교사로 5년 이상의 경력자인 8명의 데이컴 위원, 서기, 실무자로 구성되었다.
  • 이 연구는 직무분석기법을 활용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여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차트(chart)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학교에서 산학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보직교사의 명칭은? 학교별 보직교사의 종류 및 업무분장은 학교의 장이 정한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서 산학협력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장교사명칭은 산학협력부장, 산학협력취업 부장, 특성화 산학협력부장, 산학취업 부장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서 산학협력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장교사의 사용 명칭을 조사한 결과 “산학협력부장”이란명칭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는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가? 특성화고등학교는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기술․기능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학생들은 졸업 후 다양한 사회 분야로 진출을 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기술이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영향력은 사회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에 다수가 공감하고 있다.
졸업생의 취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에 목적이 있으며, 졸업생의 취업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발굴과 이에 부합되는 직업능력을 개발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특성화고등학교와 산업체 간의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관계를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산학협력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참여정부의 신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전략. 

  2. 교육부(2015). NCS 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개편 및 적용 계획. 교육부. 

  3. 교육부(2017). 직업계고 현장실습제도 개선방안 안내자료. 교육부. 

  4. 교육부, 고용노동부(2015).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청년고용을 위해 함께 뛴다. 보도자료. 

  5. 김동연 외(2013).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교원교육, 29(3), 237-254. 

  6. 김선태 외(2010). 특성화고 산학협력교육을 활용한 기능인력 양성프로그램 운영방향 모색.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종욱, 김지원, 김진수(2016).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81-93. 

  8. 김진옥, 김종욱, 김진수(2015). DACUM 기법에 의한 초등 로봇지도교사의 직무 분석. 실과교육연구, 21(4), 183-204. 

  9. 김태훈 외(2015). 데이컴(DACUM)을 활용한 전기.전자.통신 교사의 직무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273-297. 

  10. 김판욱(2005). 데이컴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11.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2016). 법률 제14078호, 일부개정 2016.3.22. 

  12. 이무근(2004).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6).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68-87. 

  14. 이창훈 외(2015).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15. 이창훈 외(2016). 데이컴법을 활용한 중등 화학공업(공학) 교사 직무 분석. 직업과 자격 연구, 5(2), 119-141 

  16. 임창빈, 정철영(2009). 산학협력정책의 성과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4). pp. 241-275 

  17. 장명희 외(2011). 특성화고 산학협력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산업체 가이드라인 개발 (수탁연구 2011-35).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18. 최동선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최수정 외(2013). 산업현장 일.학습 지원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McCormick, E. J. (1976). Job and task analysis,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21. Norton, R. E. (1997). DACUM Handbook,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22. Norton, R. E., McLennan, K. S (1997). DACUM: Bridging the gap between work and performa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and Dafasco Inc., ED418210. 

  23. Norton, R. E., Moser, J (2008). DACUM handbook (3rd ed.).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Center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