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의 직무 분석
A Research on the Job Analysis of the Principal of Vocation High School using DACUM Method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4 no.1, 2019년, pp.114 - 140  

현수 (한국진로직업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데이컴(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직업계고 학교장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내용은 직업계고 학교장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고 각 임무에 작업의 순서를 정한 후,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밝히고, 입직 초기에 갖출 필수능력 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고 교장의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한 워크숍은 DACUM 분석가 1명, 현업내용전문가 위원 7명, 서기 1명, 실무자 2명으로 구성하여 이틀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교장의 정의는 특성화고 산업수요맞춤형고 등에서 산업수요인재양성의 직업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경영자이며, 직업계고 학교장의 직무 영역은 11개의 임무(duty)와 95개의 작업(task)이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계고 학교장의 임무별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한 결과, 직업계고 학교장의 임무별 작업(95개)의 중요도는 A 84개, B 11개, 난이도는 A 58개, B 33개, C 4개, 수행 빈도는 A 18개, B 33개, C 44개이다. 학교장의 임무별 작업(95개) 중에서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필수능력은 30개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고 학교장의 DACUM 직무분석 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직업계고 학교장의 직무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일반 지식과 능력 49개, 직무수행에 필요한 통합자료 및 비품 목록 16개를 도출하고, 작업자의 태도 28개와 직업계고 학교장의 장래 전망과 특성 33가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 principal's job at a Vocational High School using DACUM Task Analysis Metho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to set the order after deriving the duties and tasks of the principal., then to verify as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의 직무분석에 있어서, 직업계고 현장의 직무 경험이 풍부한 학교장을 대상으로 DACUM기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임무와 작업, 지식, 스킬, 태도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공하여 학교장의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 제공으로 학교장의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아울러 교장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도 분석된 교장의 직무를 인식하면서 학교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학교장과 함께 성공적인 학교경영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할 기회를 얻게 될 뿐만 아니라, 학교장으로서의 역량을 학습하게 된다.
  • 아울러 교장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도 분석된 교장의 직무를 인식하면서 학교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학교장과 함께 성공적인 학교경영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할 기회를 얻게 될 뿐만 아니라, 학교장으로서의 역량을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직업계고등학교 학교경영을 위해 학교장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DACUM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직업계고 학교장을 위한 직무분석을 하였다. 직무분석에 참여한 DACUM 위원회 구성은 마이스터고에서 학교장으로 5년 이상 경력자인 Level-Ⅰ 면허를 취득한 DACUM 분석가, 마이스터고에서 학교장으로 4년 이상의 경력자인 7명의 DACUM 위원, 서기, 실무자로 구성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의 직무분석에 있어서, 직업계고 현장의 직무 경험이 풍부한 학교장을 대상으로 DACUM기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임무와 작업, 지식, 스킬, 태도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직업계고등학교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공하여 학교장의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 제공으로 학교장의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분석이란? 직무분석이란 조직 내의 다양한 직무의 내용과 아울러 책임과 권한의 범위, 수행단계 및 방법, 직무 담당자의 인적 요건 등을 분석한 것으로 직무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Jones & Walters, 1994; 장수용, 2006; Gibb, 2008; 김주연, 2014). 직무분석이란 사람들이 하는 일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목적에 맞게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으로 인간의 노동력을 과학적으로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황금숙 외, 2008).
직무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직무분석을 통해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명확하게 밝혀 기술하고자 하며, 직무 및 역량을 기반으로 한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체계적인 직무역량 개발과 경력개발을 하는 데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김종욱, 김진수, 2018). 각자 자신의 직무에 대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자신의 직무수행을 위해 어떤 지식이 중요하고 직무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학습하여야 할 것인지 알게 된다(한흥진, 2003). 직무의 책임소재가 분명하게 되고, 조직체계가 확립되며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임무 수행을 도울 수 있게 된다(Blanding, 1991; 심재호, 2003).
직무분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직무분석을 통해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명확하게 밝혀 기술하고자 하며, 직무 및 역량을 기반으로 한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체계적인 직무역량 개발과 경력개발을 하는 데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김종욱, 김진수, 2018). 각자 자신의 직무에 대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자신의 직무수행을 위해 어떤 지식이 중요하고 직무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학습하여야 할 것인지 알게 된다(한흥진,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교육과학기술부(2008). 한국형마이스터고운영계획(2008.7.8.) 

  2. 교육부(201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50호(2018.4.19.) 

  3. 교육부(2018). 초.중등교육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203호 일부개정 2018. 10. 02.) 

  4. 교육부(2018). 하이파이브(http://hifive.go.kr) 학교통계 (검색일 2018.10.12.) 

  5. 김동연 외(2013).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교원교육, 29(3), 237-254. 

  6. 김병찬(2010). 교장의 직무수행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연구. 교육연구, 18(2), 185-222. 

  7. 김이경 외(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김이경 외(2006). 학교장의 리더십 개선방안연구. 연구보고서 RR2006-14. 한국교육개발원. 

  9. 김종욱, 김지원, 김진수(2016). 특성화고 산학 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81-93. 

  10. 김종욱, 김진수(2018). DACUM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의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76-93. 

  11. 김주연(2014). DACUM기법을 활용한 피부미용사의 직무분석. 한국미용학회지, 20(4), 607-618. 

  12. 김판욱(2005). DACUM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13. 남상현(1998). 중등학교장의 관리행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4. 남호정(2007).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의 관점에서 본 교장 자격연수에 대한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박영순(2011). 교장의 경영능력 평가 준거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6. 박영호(2011).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박종흡, 성호진, 신동원(2005). 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분석.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人文論叢, 12, 63-87. 

  18. 손경수 외(2005). 교원연수 체제 개선 후속 조치 정책 연구 : 교원 자격연수 표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19. 신동원(2006).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신상명(1999). 교장의 학교경영능력: 초등학교 사례 비교연구. 한국교육, 26(2), 307-335. 

  21. 신상명(2007). 학교변화에 따른 교장의 역할변화와 임용방식. 학교경영, 20(11), 14-17 

  22. 심재호(2003). 중등학교 컴퓨터 교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양일모(2011). DACUM기법의 직무분석을 이용한 심리행동적응지도사의 직무규명.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윤동열, 조세형, 배을규(2011). 국내직무분석 연구에서 DACUM 활용현황과 비판. 교육문화연구, 17(3), 87-115. 

  25. 이창훈 외(2015). DACUM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교사의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26. 장수용 (2010). 직무분석활용기법. 서울: SBC전략기업컨설팅. 

  27. 정광호(1998). 학교장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8. 정수현(2010). 초등학교장의 직무수행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9. 정일화(2007). 교장의 직무표준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0. 정태범(2000). 학교경영론. 서울: 교육과학사. 

  31. 조대연 외(2010). 학교장의 직무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32. 조정임(2000). 학교장 직무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 교육 법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3. 황금숙 외(2008). 직무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직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07-427 

  34. 허원회, 신광철(2018). 4차 산업혁명과 융합 교육의 방향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63-70. 

  35. 현수, 김진수(2013).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교장의 인식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7-47. 

  36. 하상근, 김용욱(2009).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1), 275-299. 

  37. 한흥진(2003). DACUM Method를 활용한 상업교사연구프로그램개발. 상업교육연구, 6, 49-81. 

  38. Blanding, W.(1991). Customer service operations: The complete guide. New York: Amacom. 

  39. Gibb, S.(2008).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cess, practices and perspectives (2nd e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40. Jones, J. J., &Walters, D. L. (1994).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education. Lancaster, PA: Technomic Publishing Co. 

  41. King, S. L. (1999). The DACUM Process and its usefulness in Task analysis for Instructional Developers. (Published to the World Wide Web: http://www.2.mtroyal.ca/-sking). 

  42. Norton, R. E. (1997). DACUM Handbook,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43. Norton, R. E., & Moser, J. (2008) DACUM Handbook(3rd ed.). Columbus, OH: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