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컴 기법을 이용한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 분석
Nurses' Job Analysi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Using the DACUM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26 - 46  

윤희제 (서울대학교병원) ,  정은희 (서울대학교병원) ,  정운선 (서울대학교병원) ,  이상림 (서울대학교병원) ,  권영옥 (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role of and to analyze the job of nurse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using the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process, a job analysis technique. Methods: The DACUM committee was organized, and three workshops were held from June 1st to July 4th, 2016. O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장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달라지는 응급의료 환경에 맞는 전문간호 직무역량을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연구의 결과를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교육과정 개발 또는 실무지침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 하는 서술적 탐색연구이다.
  • 본 연구는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수가 두 배나 늘어나는 등 응급간호의 환경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서 응급간호의 범위를 확대하여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근무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취지를 가지고 시작하였기에, DACUM 워크숍 참여자들 그리고 빈도, 중요도, 난이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배포 시에도 연구의 중요성과 의미,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았다.
  • 본 연구는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응급간호 직무역량을 확인하고자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직무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역할을 정립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 취지와 연구참여에 대한 설명은 연구자 중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직접 간호단위를 방문하여 각 간호단위의 수간호사가 동석하지 않은 자리에서 시행해 연구참여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회수용 박스는 간호사들의 업무 공간과 떨어진 휴게실 또는 갱의실에 비치하여 설문지 회수 시 관리자 또는 동료 간호사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연구참여의 자발성을 최대한 보장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ACUM 기법의 장점은? 해당 직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의 우수 수행자들을 위원회로 구성하여 워크숍을 진행하며, 직무 수행을 위한 임무(duty), 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를 도출한 후 현장의 요구도를 조사해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이다. 다른 교육과정 개발 기법에 비해 질적으로 우수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기업이나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8].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DACUM기법을 직무분석과 교육과정 개발에 사용해 왔으며[9-12], 간호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13-16].
DACUM 기법이란? 직무분석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960년대 캐나다에서 개발된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기법으로 1970년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직업 교육을 위한 직무 분석에 사용하면서 여러분야로 전파되었다[7]. 해당 직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의 우수 수행자들을 위원회로 구성하여 워크숍을 진행하며, 직무 수행을 위한 임무(duty), 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를 도출한 후 현장의 요구도를 조사해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이다. 다른 교육과정 개발 기법에 비해 질적으로 우수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기업이나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8].
전문적 간호을 제공하기 위해 응급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것은? 중증의 응급 환자부터 비응급 환자까지 다양한 수준의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는데, 응급간호사는 대상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면서도 체계적이고 신속한 사정과 분석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전문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응급간호사는 광범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 의사소통 능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1,2]. 응급간호가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응급간호실무의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 그 출발점으로[1],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1990년대부터 응급간호사의 업무를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KJ. The basic role and communication of the emergency nurse specialist. The Korean Nurse. 1994;33(1):20-29. 

  2. Kim BJ, Lee EN, Kang KH, Kim SS, Kim SA, Sung YH, et al.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81-95. 

  3. Kim KJ, Lee HY, Kim KB. A study on the job activities of the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4):709-728. https://doi.org/10.4040/jnas.1995.25.4.709 

  4. Kim EJ. Work analysis for the ro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 (1):93-103. https://doi.org/10.4040/jkan.1998.28.1.93 

  5. Baik SY, Cho EH, Kim YA, Choi MN. Emergency department nursing activities: Retrospective study on data from electronic nursing record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9;31(5):496-506. https://doi.org/10.7475/kjan.2019.31.5.496 

  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signated 20 mor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Internet]. Seo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2015 [cited 2016 Apr 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9168. 

  7. Norton RE. DACUM handbook. 2nd ed. Columbus(OH): Ohio State University; 1997. 

  8. Choi W. Development cases of a course structure in corporate training program: A comparison between DACUM and CBC.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02;18(2):91-121. https://doi.org/10.17232/KSET.18.2.91 

  9. Kim SY, Son KC, Lee C. Job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ist using DACUM. Hort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2010;28(Special I):47. 

  10. Kim HP, Kim YY, Kim HS. Job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06;25(2):55-77. 

  11. Bae ST. Job analysis of container crane operators by the DACUM method.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009;25(4):285-302. 

  12. Kim IG, Jo N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ongoing education curriculum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using DACUM method.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1;28(4):41-60.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4.41 

  13. Kim KS, Park YH, Lim NY.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based on DA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853-865. https://doi.org/10.4040/jkan.2008.38.6.853 

  14. Oh ES, Song SD, Choi EJ, Chun HS, Han HS, Ryoo SS, et al. Job description of nurses in central supply department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3):303-312.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3.303 

  15. Kim HJ, Lim JS, Choi SM, Park SH, Park SH, An SE, et al. Analysis of activities and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based on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319-334.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319 

  16. Yoo MR, Yu JA. Curriculum development of nursing officer's advanced course(OAC) based on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1;29(2):19-38. 

  17. Kim IS, Shin SD, Choi HK, Yu JS, Shin SH, Lee JY, et al. Epidemiology of patients using the resuscitation room in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9;20(3):245-255. 

  18. Han HH. A study of convergence on frequency of performance, self-confidenc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of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8):355-362. https://doi.org/10.14400/JDC.2016.14.8.355 

  19. Choi EH, Ko MS, Yoo CS, Kim MK. Characteristics of fall events and fall risk factors among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3):350-360.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3.350 

  20. Lee EN, Kim BJ, Kang KH, Kim SS, Kim YS.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1):99-111. 

  21. Ryu EJ, Choi KS, Kwon YM, Joo SN, Yun SR, Choi HS, et al.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done by MICU and SICU nurses using 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35(4):457-467. https://doi.org/10.4040/jkan.1998.28.2.457 

  22. Park HY, Choi EJ, Lee EN.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of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3;6(2):1-11. 

  23. Cheon SJ, Lee BS. Length of stay and related factors of patients in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2;16(2):65-75. 

  24. Kim MH. Actual condition of cari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orking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p. 1-86. 

  25. Kim HY, Ahn SA, Kim MH, Kong JH. A study on knowledge,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9;9(10):39-47.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0.0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