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원문보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시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99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13.0%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련성에서는 학업성취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으로 자아동기능력,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전략,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으로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자아동기 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시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99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13.0%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련성에서는 학업성취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으로 자아동기능력,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전략,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으로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자아동기 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college students in various cities. A total of 199 students were analyzed in the study. Co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college students in various cities. A total of 199 students were analyz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show that behavioral strategy, a subarea of self-leadership, self-motivation ability, a sub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o subareas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13.0%. The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und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cademic achiev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motivation ability, a sub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behavioral strategy, a subarea of self-leadership, and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o subarea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shor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help nursing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behavioral strategy of self-leadership, self-motivation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college students in various cities. A total of 199 students were analyz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show that behavioral strategy, a subarea of self-leadership, self-motivation ability, a sub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o subareas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13.0%. The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und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cademic achiev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motivation ability, a subarea of emotional intelligence, behavioral strategy, a subarea of self-leadership, and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o subarea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shor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help nursing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behavioral strategy of self-leadership, self-motivation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igh academic achieve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시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199명 이었다.
선행연구를 보면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 학업성취도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낮았고, 심리적 안녕감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과 만족도가 낮았다고[16] 보고되고 있으나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만족스런 학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자신이 목표하는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 학업성취 정도를 알아보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 학업성취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기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를 13.
제안 방법
본 연구도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일반적 특성,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변수로는 성별, 학년, 리더십프로그램 참여 경험, 동아리활동여부, 형제자매수, 인터넷사용시간, 사용용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일반적 특성,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변수로는 성별, 학년, 리더십프로그램 참여 경험, 동아리활동여부, 형제자매수, 인터넷사용시간, 사용용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잘 인지하고, 정서적 정보를 통하여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이며, 그를 토대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며,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이끌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18]. 본 연구에서는 Goleman이 개발하고 Chung[19]이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leman이 개발하고 Chung[19]이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하위 요인으로 자아감성 인식능력, 자아감성 조절능력, 자아동기부여능력, 대인관계 유지능력 등 4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총 13 문항으로 되어 있다.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Manz [20]가 개발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Self Leadership Questionnaire; SLQ)를 Kim[21]이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적 안녕감 측정도구는 Ruff와 Keyes[22]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Kim 등[23]이 수정.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일부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본 측정도 구는 Likert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 소재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전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연구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학생전원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보조자가 해당 연구의 목적과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J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절차를 거쳐 승인(IRB 승인번호: 1044297-HR-201804-009-01)을 받아 설문을 진행하였다.
J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절차를 거쳐 승인(IRB 승인번호: 1044297-HR-201804-009-01)을 받아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209부이었고, 그중 설문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19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필요한 대상자 수는 G-power program[17]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기준으로 필요한 유의수준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시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199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데이터처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정감, 학업성취도의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정감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셀프리더십, 감성 지능, 심리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시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199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13.
이론/모형
심리적 안녕감은 Ryff[13]가 심리학 이론들을 바탕으로 처음 개념화한 것으로 사람의 삶이 질을 측정할 수있는 심리학적 척도들의 합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적 안녕감 측정도구는 Ruff와 Keyes[22]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Kim 등[23]이 수정.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일부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성능/효과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행동전략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13.0%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련성에서는 학업성취 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으로 자아동기능력,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전략,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으로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행동적 전략은 목표설정, 자기보상, 연습 등의 3개 요인과 인지적 전략의 자연보상의 분별, 환경조성, 자연보상 활동도입, 일에 좋은 면에 초점, 내적 보상에 집중 등 5개 요인으로 총 8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0.85,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85였다.
학업성취도는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r=.147, p=.037)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적 전략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54, p<.001)로 나타났다.
001)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과 양의 상관관계(r=.146, p=.039)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심리적 안정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r=.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변수로 하여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5.95, p<.001), 학업성취도를 수정된 R2 는 13.0% 설명하였다.
셀프리더십(β=.148, p=.037),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행동전략(β=.262, p=.005),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자아동기능력(β=.174, p=.057),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성장(β=-.346, p=.038), 긍정적 대인관계(β=.219, p=.043) 가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001)이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도는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과 셀프리더십은 감성지능, 심리적 안녕감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대상자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다중 공선성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잔차의 독립성 검정인 Durbin-Watson Test를 실시한 값은 1.648로 나타나 수용기준에 부합하여 자기 상관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차한계(Tolerance)는 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를 13.0%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특성으로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Kim의 연구[24]에서와 유사한 결과로 확인 되었다.
예측요인들의 평균값으로 살펴 볼 때, 셀프리더십의 점수 범위는 1-115점으로 평균값은 81.4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인 행동적 전략은 점수범위가 1-45점이며, 평균값은 33.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간호대학생 스스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사고와 태도로 관리 하도록 할 수 있는 인지적 전략 부분의 셀프리더십을 향상 시킬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성지능은 점수범위가 1-65점으로 평균값은 46.29점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에서는 대인관계 유지능력은 점수 범위 1-25점에 평균값은 17.
29점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에서는 대인관계 유지능력은 점수 범위 1-25점에 평균값은 17.53점으로 높게 나타나고, 자신의 느낌을 정확히 알고 파악할 수 있는 자아감성 조절 능력은 1-15점에 평균값 7.56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28] 본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과민해지지 않고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자아감성 조절능력을 향상시킬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중요 변수들의 상관관계에서는 학업성취도와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학업성취도와 셀프리더십의 행동적 전략(r=.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학업 성취도를 13.0%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향요인인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의 역량을 키우는 중재안이 필요할 것이다.
0%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련성에서는 학업성취 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으로 자아동기능력,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전략,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으로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학습에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보상 하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전략과 자신을 중요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맡은 일에 책임을 지는 감성지능의 자아동기 능력, 타인과의 관계가 좋은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209부이었고, 그중 설문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19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필요한 대상자 수는 G-power program[17]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기준으로 필요한 유의수준 .05, 효과의 크기 중간정도인 0.15, 예측변수 11개를 포함했을 때, 검정력 .95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표본 크기는 178명이 요구되어 설문지 미회수율 10%(17.8명)를 계산하여 더하여 본 연구대상자인 199명은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속연구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에서는 학년과 인터넷사용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여 컴퓨터 인터넷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과 건강에도 도움이 되고 간호사로서의 소명의식과 전공지식 습득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은 리더십교육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여 선행연구[26]의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와는 다소 차이가 있어 추후 반복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27]에서도 행동적 전략이 높고 인지적 전략이 낮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간호대학생 스스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사고와 태도로 관리 하도록 할 수 있는 인지적 전략 부분의 셀프리더십을 향상 시킬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성지능은 점수범위가 1-65점으로 평균값은 46.
선행연구에서도 심리적 안녕감은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에 대한 높은 확신과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 조절하고 일을 수행하며 삶의 만족도를 증가[16] 시킨다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긍정적 대인관계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긍정적 정서의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 및 내적 자아가 강화되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에서도[29] 학업성취도와 심리적 안녕감이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실증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추후 반복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0%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향요인인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의 역량을 키우는 중재안이 필요할 것이다. 즉, 자신감 고취 및 리더십 교육과 개인의 감성을 건설적인 활동으로 활용하는 감성 지능의 활용 및 조절훈련[30]과 스스로의 사고와 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잘 적응할 수 있는 심리적 안녕감[16]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연구의 제한점은 일부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한 연구결과이며, 자가 보고한 학업성취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모든 학년의 학생들을 동일하게 확대하고 확률표집 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일부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한 연구결과이며, 자가 보고한 학업성취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모든 학년의 학생들을 동일하게 확대하고 확률표집 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과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련성에서는 학업성취 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으로 자아동기능력,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행동전략,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으로 자율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학습에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보상 하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전략과 자신을 중요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맡은 일에 책임을 지는 감성지능의 자아동기 능력, 타인과의 관계가 좋은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및 긍정적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추후 학업성취도에 대한 반복 및 심층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점이외의 표준화된 연구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학업성취도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에 대한 예측되는 중요한 변수로[2], 이것은 대학생활에서 학업적 요구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성취하고 있는가는 보는 것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측정지표가 되며, 개인의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졸업 후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3]. 또한, 학업성취를 단지 학습 성취가 누적된 단순한 결과가 아니라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는 과정이나 작용으로 본다면 학생들이 학업성취에는 지적영역의 능력이외에 많은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감성지능이란?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다양한 상황에 있어서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을 조절하며, 알고 있는 감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7]이며, 감성지능이 높은 사람은 스트레스 상황이 주어지더라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대처 행동을 나타낸다[8]. 또한, 감성지능이 낮은 사람은 정서적으로 갈등을 일으키며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고 사회 생활에서도 적응이 어려운 것으로[9] 나타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압박감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들은 대학에 들어가면서 사회, 심리적으로 큰변화를 겪게 되며, 변화된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1]. 특히,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직업적 선택을 어느 정도 결정해 입학한 상태이나 과중한 수업부담과 임상실습,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부담감으로 심리적 압박감이 타 대학생보다 높게[2] 나타나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거나 불안으로 학업성취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부담감이 가중되어 있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