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Related Factors of Problem Behaviors amo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614 - 626  

채명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아린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전해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요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한국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서비스와 국회전자도서관의 온라인 검색을 통해 2018년 7월 4일까지 검색된 국내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어는 다문화와 문제행동 혹은 행동문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2,084편이 검색되었고, 최종 21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성별, 학업성적, 자아존중감 등), 가족적 요인(가족의 유형, 부모지지,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친구지지, 교사지지, 사회적지지)의 변수들이 관련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을 측정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심리적, 사회적 적응 또는 부적응이 4편, 문제행동 또는 위험행동과 정서적 행동문제가 각각 3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중재를 통해, 문제행동 발생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일관성 있는 이론적 정의를 근거로 도구를 개발하여, 문제행동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literature and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mo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domestic documents retrieved through July 4, 2018 based on online searches of domestic 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한국 다문화자녀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전략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 문제행동 관련 변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최종 선정된 21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학회지 게재 여부, 대상자 수, 대상자의 학년, 문제행동 관련 변수, 문제행동 측정도구를 확인하였다. 총 21편의 논문 중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은 7편(33.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기 위해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 문제행동 관련 변인은 무엇인가?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21편이었고,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환경적 요인의 변수가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제행동 주요 관련요인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기존에 보고된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들은 일부 문제행동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심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단면적으로 비교한 연구이거나[2,6,7], 심리적 건강의 위험성 및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 연구들로[8-9], 연구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비교·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연구의 특성, 연구의 질 평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전략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교육 기본통계에서 다문화 가정의 초·중·고등학생의 수의 추세는? 2017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전반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다문화 가정의 초·중·고등학생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2년 조사이후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으며, 전년보다 10.3% 증가하였다[1]. 이 중 초등학생의 비율이 75.
한국사회 내 다문화 가정의 인구구성 비율의 증가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한국사회 내 다문화 가정의 인구구성 비율의 증가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과 사회통합의 문제를 일으키며,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2].
2017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학생 수에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비율은? 3% 증가하였다[1]. 이 중 초등학생의 비율이 75.6%로 가장 높고, 중학생 14.6%, 고등학생 9.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한국사회 내 다문화 가정의 인구구성 비율의 증가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과 사회통합의 문제를 일으키며,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asic statistics of education 2017. [cited June 28, 2018] Available From: https://kess.kedi.re.kr/post/6661635?itemCode04&menuIdm_02_04_02 

  2. I. Jang,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Delinquency Factors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Structure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Multicultural & Diaspora Studies, Vol.7, pp.1-39, 2015.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cited June 28, 2018] Available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7137 

  4. WeFriends Aid Migrant Health Association in Korea [cited June 28, 2018] Available From: http://www.wefriends.org/main/index.php 

  5. H. Cheon, G. Park, "A Study on the School Life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temparary Society and Multiculture, Vol.2, No.2, pp.416-444, 2012. 

  6. J. Shin, "A Study on Comparative Home Environmental Factor Effect of Delinquency in Multi-cultural Youth",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Vol.11, No.2, pp.1-20, 2014. 

  7. Y. Jun, "Relationships of Self-Concept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19, No.2, pp.277-293, 2012. 

  8. R. Lee, H. L. Chang,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Happi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Welfare, Vol.19, No.3, pp.109-132, 2017. DOI: http://dx.doi.org/10.19034/KAYW 

  9. Y. Kim, J. Woo,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Improvement of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Vol.13, pp.69-103, 2012. 

  10. T. I. Kim, H. S. Kim, Y. H. Shin, M. K, Shim, W. O. Oh. Growth Development and Health. 3rd ed. Paju: Gyomoon Press, 2016. 

  11. I. T. Lee, "Mediating Effect of Moral identity on the Influence of Peer Normative pressure to the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No.53, pp.21-44, 2016. 

  12. K. M. Cheong, "A Study on The Prob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 Delinqu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5, No.3, pp.95-127, 2013. 

  13. J. P. T. Higgins,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14.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Internet]. London, UK: Author; 2013 [cited 2016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prismastatement.org/News.aspx 

  15. G. Cummings, H. Lee, T. Macgregor, M Davey, C. Wong, L. Paul,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nursing leadership: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Policy, Vol.13, No.4, pp.240-24, 2008. DOI: http://dx.doi.org/10.1258/jhsrp.2008.007154 

  16. G. Cummings, C. A. Estabrooks, "The Effects of Hospital Restructuring That Included Layoffs on Individual Nurses Who Remained Employed: A Systematic Review of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Vol.23, No. 8/9, pp.8-53, 2003. DOI: http://dx.doi.org/10.1108/01443330310790633 

  17. Y. R. Choi. Impact of Mothers' Stress of Culture Adjustment and Their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ehavior Problem : Focusing on Japanese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014. 

  18. J. H Cui, J. A. Oh, J. H. Park,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Parental Behavior and Childern's Self-Perception, Psychological &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3, pp.449-469, 2017. DOI: https://doi.org/10.13049/kfwa.2017.22.3.4 

  19. H. S. Ha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y and the Moderating of Effect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2. 

  20. S. C. H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9, No.4, pp.239-58, 2012. 

  21. K. J. Han, A Study on School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pp.1-89,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22. P. R. N. Jeon. A Comparative Study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Racially-Homogeneous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0. 

  23. Y. H. Jun. Relationships and Related Variables of Self-Concept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0. 

  24. S. L. Kang. Th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Born in Multi-Cultural Home Concerned Family and Social Support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Uiduk University, 2009. 

  25. S. H.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Mothers' Parenting Stresses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 Outc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013. 

  26. Y. M.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1. 

  27. S. I. Kim. Comparison of Psychological Features Between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Regard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0. 

  28. D. H. Lee, "Factors Affect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5, No.3, pp.77-96, 2010. 

  29. S. V. Lee. The Effects of Self-Concept, Parent's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Mu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0. 

  30. S. H. Park. A Study on Resilience Ii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Dongshin University, 2009. 

  31. J. Y. Rhe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Mothers' Enculturation Stress and Parental Stress on Children's Mal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Focusing on a Control Effect of Family Func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7, No.2, pp.105-125, 2012. 

  32. J. Y. Rhee. J. Y. Lee, "The Influence of Stress for Cultural Adaptation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Vol.3, No.2, pp.19-27, 2016. DOI: http://dx.doi.org/10.20496/cpew.2016.3.2.19 

  33. J. H. Shin. Exploring Pathwaysfrom Acculturation Attitudes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Unpublished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4. S. J. Sung.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35. J. H. Yang. Analyse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motional and Behavior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2018. 

  36. K. H. Yoon,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 on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13, No.4, pp.431-50, 2014. 

  37. B. A. Yu, K. H. Ok,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chool Adjust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8, No.4, pp.511-538, 2013. DOI: http://dx.doi.org/10.13049/kfwa.2013.18.4.511 

  38. H. J. Yu. The effects of the family function and internet addic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2009. 

  39. T. M. Achenbach, & Edelbrock, C.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83. 

  40. T. M. Achenbach. Integrative guide for the 1991 CBCL/4-18, YSR, and TRF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91. 

  41. K. J. Oh, H. R. Lee, K. Y. Hong, E. H. Ha.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Jungang Jeokseong Press, 1997. 

  42. B. H. Nam, Y. Y. Kim,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Vol.2, No.3, pp.19-57, 2011. 

  43. R. Finzi-Dottan, R. Bilu, P. Golubchik, "Aggression and Conduct Disorder in Former Soviet Union Immigrant Adolescents: The Role of Parenting Style and Ego Identit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3, No.6, pp.918-26, 2011. DOI: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0.12.008 

  44. W. S. Choi, "Personal Characteristics, Ethnic Identit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of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7, No.2, pp.49-71, 2012. 

  45. F. Albarello, E. Crocetti, M. Rubini, "I and Us: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rplay of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47, No.4, pp.689-702, 2018. DOI: https://doi.org/10.1007/s10964-017-0791-4 

  46. Y. C. Roh, H. S.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0, No.7, pp.23-44. 2013. 

  47. Y. S. Oh, K. S. Kim, "The Effects of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Children's Stress Perception and Stress Coping",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13, No.4, pp.389-407, 2014. 

  48. H. S. Kim, I. S. Oh, "Exploration of Protective Factors for School Resilience in Low-Income Middle School Students: A Focus on Academic, Social, and Affective Resili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3, No.2, pp.917-933, 2012. 

  49. H. M. Kim, S. J. Won, S. H. Choi,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2, No.1, pp.117-149, 2011. 

  50. H. J. Lee, "Attitudes of Peers Toward Rejected Children: Biased Information Processing Caused by Negative Emotions and Peer Pressur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16, No.3, pp.233-260, 2017. 

  51. M. S. Jung, J. Y. Jang, H. C. Choi,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Norm Mal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1, No.4, pp.1691-1706, 2010. 

  52. K. J. Hwang,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nflicts in Korea - based on Analysis of Online News Articles-",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Vol.22, No.3, pp.13-29, 2015. 

  53. K. H. Yoon,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 on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13, No.4, pp.431-450. 2014. 

  54. S. G.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Application of Resilienc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No.50, pp.213-24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