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 개발지 완충지역 기준 설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Buffering Region in Railway Development Areas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5 no.1, 2018년, pp.45 - 53  

김민경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핵심지역, 완충지역, 코리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핵심지역이나 생태적 코리더를 연결하기 위한 완충지역은 생태 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생태적 가치 및 보호적 가치가 높은 자원과 관련된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연구 및 관련법 등을 검토한 결과,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완충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 다양한 분야의 사례를 조사하고, 철도환경영향평가 결과서 및 철도건설지침을 기준으로 철도개발지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분석하여 이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토지피복현황, 종다양성, 희귀성, 연계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철도개발지 주변의 환경생태적 가치를 검토하여 철도 건설로 인한 환경 훼손 등 영향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networks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core areas, buffer zones, and corridors. Particularly, buffer zones connect core areas or ecological corridors, and preserve ecological network by reducing the impact from outside. We examined related laws and researches about buffer zone esta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철도건설로 인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철도건설 시 미치는 영향 반경 (완충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관련 환경영향평가 결과, 철도건설 지침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완충지역에 관련된 연구동향 및 법을 검토하여 철도건설 시 영향 반경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리고 수환경지표로는 500 m - 1 km 내 특별대책지역일 경우에 완충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서식처지표와 문화지표로는 500 m - 1 km 내 개발가능지역을 완충지역으로 설정하였으나 호남고속철도 주변지역이라는 한정된 대상지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건설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서식처와 습지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또한, 전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협약 등에 근거해 전체 보호지역을 17% 이상으로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IUCN 2016), 우리나라도 백두대간 보호지역, 자연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야생동식물보호구역 등 다양한 보호지역을 지정하여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보호지역은 일반적으로 용도별로 구분 시,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으로 구분되며, 보호지역이 중복 지정이 되는 경우에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이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안의 지정기준을 살펴보면,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역으로 연안의 독특한 생태적 특징, 환경적 가치, 뛰어난 해안경관을 가진 바닷가, 연안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해안사구나 해안림이 분포하는 바닷가 및 이를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주변지역, 해수면 상승이나 해양환경의 변화 등으로 연안침식이나 범람이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나타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바닷가, 해수면 상승이나 기후변화 등에 따른 연안재해에 대한 취약성 평가결과 연안 육역을 보호하기 위한 토지등록 등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바닷가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하천의 경우,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한강수계, 낙동강수계, 금강수계, 영산강・섬진강 수계 등 주요 하천 연안 500 - 1,000 m를 수변지역으로 지정하여 행위규제 및 보전을 통해 오염물질의 유입을 저감하고자 하는 완충 지역으로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동법 제4조에 근거해 특별대책지역은 하천과 호소의 경계로부터 1km 이내의 지역을 지정하며, 특별대책 외 지역은 하천호소의 경계로부터 500 m 이내의 지역을 수변지역으로 지정을 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철도 건설로 인한 환경 훼손을 감소시키고, 건설지역의 환경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철도건설 시 미치는 영향 반경 (완충지역)을 설정하였다. 유사 연구사례와 철도건설 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을 검토하여, 완충지역 설정을 위한 평가항목으로 토지피복현황, 종다양성, 희귀성, 연계성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철도개발지 주변의 환경생태적 가치를 검토하였고, 철도개발로 인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완충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토지피복현황, 종다양성, 희귀성, 연계성 등 각 항목별 평가기준과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Table 3).
  • 본 연구에서는 철도건설로 인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철도건설 시 미치는 영향 반경 (완충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관련 환경영향평가 결과, 철도건설 지침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완충지역에 관련된 연구동향 및 법을 검토하여 철도건설 시 영향 반경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핵심지역과 코리더를 연결하여 생태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완충지역에 대한 정의, 법, 관련 연구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각 분야에서 완충지역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으며, 대다수의 경우 완충지역을 선언적으로만 제시하고 있다.
  • Woo and Oh (2005)는 비점오염물질의 하천유입을 차단 및 저감하는 수변완충지역의 기후나 유역관리의 변화, 식생 군집의 종 구성과 연령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없어 이에 대한 국외 사례 및 가치 등을 조사하고 시험완충지의 시험 설치 및 결과 등을 제시하였다. 수변지역 내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변완충지역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수변완충지역의 최대, 최소 폭은 기대하는 기능에 따라 15 m, 30 m, 100 m 등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네트워크을 구분하면? 생태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핵심지역, 완충지역, 코리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핵심지역이나 생태적 코리더를 연결하기 위한 완충지역은 생태 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생태적 가치 및 보호적 가치가 높은 자원과 관련된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연구 및 관련법 등을 검토한 결과,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완충지역의 역할은? 생태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핵심지역, 완충지역, 코리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핵심지역이나 생태적 코리더를 연결하기 위한 완충지역은 생태 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생태적 가치 및 보호적 가치가 높은 자원과 관련된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연구 및 관련법 등을 검토한 결과, 완충지역 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핵심지역과 코리더를 연결하여 생테 생태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완충지역에 대한 정의, 법, 관련 연구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핵심지역과 코리더를 연결하여 생테 생태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완충지역에 대한 정의, 법, 관련 연구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각 분야에서 완충지역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으며, 대다수의 경우 완충지역을 선언적으로만 제시하고 있다. 일부의 경우에만 구체적인 면적 범위 (길이)를 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nett, G. 1998. The pan-European ecological network. 

  2. Cho, S.J. and H.M. Kim. 2009. Evaluation of green buffer zone supplement plan for air pollution decrease function; in the case of Sihwa industrial complex green buffer zo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15(3): 145-154. (in Korean) 

  3. Chung, S.J., H.K. Ahn, H.S. Woo, and J.M. Oh. 2007. A guideline (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in Korean) 

  4. Cook, E.A. and H.N. van Lier (eds.). 1994.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 New York. Elsevier. 

  5. https://www.luris.go.kr/web/actreg/lawlanguage/WebLawLanguageView.jsp?termsNo00278&termsIndexNm, 15 March 2018 

  6. IUCN. 2016. International protection are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7. Kim, E.Y., W.K. Song, and D.K. Lee. 2012. Forest fragmentation and its impacts: a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2): 149-162. (in Korean) 

  8. Kim, M.K. and D.Y. Kim. 2017a.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 indicators for railway development area se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6(2): 105-113. (in Korean) 

  9. Kim, M.K. and D.Y. Kim. 2017b. Sensitivity analysis for railway development areas using land cover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 76-84. (in Korean) 

  10. Kim, Y.H. 2006. A study on the emotion of land in the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2001. Survey to establish buffer zon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consultation standard around the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12. Korea protected area forum. 2008. IUCN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categories. (in Korean) 

  13. Lammers, W. 1994. A new strategy in nature policy: towards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in the Netherlands. in E.A. Cook, H.N. van Lier (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Vew York. Elsevier. 

  14. Lee, S,J., H.W. Lee, C.K. Kim, H.J. Hong, S.Y. Kim, and K.R. Kang. 2015. Strategy and measures to enlarge the protected area in Korea. (in Korean)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Research for constructing a wide-area ecological axis (in Korean).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Demonstration project for national environmental guidance. (in Korean)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 study on establishment of re-planning of buffer green area project around Ulsan city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Korean) 

  18. Park, E.Y. and B.R. Yoo. 2004. Design and planning criteria for the green buffer zo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2): 25-35. (in Korean) 

  19. Schultz, R.C., T.M. Isenhart, W.W. Simpkins, and J.P. Colletti. 2004. Riparian forest buffers in agrosystems-lessons learned from the Bear Creek Watershed, central Iowa, USA. Agroforestry Systems 61: 35-50. 

  20. Ser, Y.H., Y.H. Jin, and B.C. Koo. 2012. A study of environment ecological appropriateness assessment for eco-railroad route selection.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7(4): 9-16. (in Korean) 

  21. Shin, H.T. 2001. A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of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rea based on preservation priority. (in Korean) 

  22. Woo, H.S. and J.M. Oh. 2005. Reduction of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using waterside buffer zone and formation of watershed habitat. Water engineering research 38(3): 29-3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