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질에 따른 스트레스와 비만도가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and Obesity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o the Sasang Constitution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0 no.1, 2018년, pp.58 - 65  

유하나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호석 (한국한의학연구원)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서복남 (한국한의학연구원)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MetS) by Sasang constitution (SC)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customized healthcare system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a rural area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가설은 체질별 스트레스와 비만이 주요한 요인으로 만성질환의 대표적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등과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체질별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밝혀서, 한의학적으로 체질 특성을 고려한 만성질환의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은 체질별 스트레스와 비만이 주요한 요인으로 만성질환의 대표적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등과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체질별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밝혀서, 한의학적으로 체질 특성을 고려한 만성질환의 맞춤형 건강관리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상의학에서는 사람의 체질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동무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사람을 체형, 성정, 소증 등 고유의 특성에 따라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 태양인으로 4개 체질로 구분하였으며, 체질에 따라 질병의 진단, 치료, 예후평가가 다르다고 하였다1. 이는 체질별 맞춤형 건강관리가 필요하며, 현재 의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정밀의학의 개념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태음인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라 태음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소음인, 소양인에 비해 높았다. 이는 태음인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이라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체질별 특징에서 비만에 가장 취약한 태음인이 비만군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23. 스트레스와 비만을 모두 동반한 태음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경향은 비슷하였으나소음인에서도 스트레스와 비만이 모두 있는 경우 그 위험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복부비만, 높은 중성지방, 고혈압 및 높은 혈당 등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대사이상 상태로서 1988년 Reaven이 syndrome X라고 처음 명명하였다2.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로3 2016년 국민건강통계자료에 따르면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높은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며, 특히 스트레스와 비만이 주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JM. Donguisusebowon. Seoul. Daesung Publisher. 1992:42 

  2. Reaven GM.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1988;37:1595-607. 

  3.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Won Yoon J,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Care. 2011;34(6):1323-8. 

  4. Yoo JS, Jeong JI, Park C, Kang SW, Ahn JA.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Nurs, 2009;39:594-601. (Korean) 

  5. Edie M, Kare A. 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7; 34(3):240-52. 

  6. Jeon JH, Kim SH. Depression, Stress and How They are Related with Health Behavi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Women Over 40Year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2;16(2):263-73.(Korean) 

  7. Funk LM, Jolles SA, Voils CI. Obesity as a disease: has the AMA resolution had an impact on how physicians view obesity?. Surg Obes Relat Dis. 2016;12(7):1431-5. 

  8. Kawachi I.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weight gain. J Clin Psychiatry. 1999;60(suppl 21):5-9. 

  9. Nam JH.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Nutr. 2006;19(1):70-8. 

  10. Heraclides AM, Chandola T, Witte DR, Brunner EJ. Work stress, obesity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gender-specific bidirectional effect in the Whitehall II study. Obesity(Silver Spring). 2012 Feb;20(2):428-33. 

  11. Shin SW, Lee JH.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dinary Symptoms in Overweight and Obesity Pati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Obes Res. 2013;13:33-45. 

  12. Lee KS, Seok JH, Kim SH, Kim YH, Lee SK, Lee EJ, et al.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of Obese Patients of Each Sasang Constituit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7;19(2):94-112. (Korean) 

  13. Yoo JH, Lee HY, Lee EJ. Perception and Ways of Coping with Stress of Sasangin. Korean J Adult Nurs. 2003;15(2):173-82. (Korean) 

  14. Hong JW, Kim DH, Park WS, Seo I, Jang SJ, Kim JY et al. Collection of Health Statistics and Standard of Measurement.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p.134-5. 

  15. Chun KH, Jon DI, Hong HJ, Jung MH, Hong NR. The effect of Resilence on Subjective Stress of Employees.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16;21(2): 94-100. 

  16.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112(17):2735. 

  17. Cohen BE, Panguluri P, Na B, Whooley MA.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Psychiatry Res. 2010; 175:133-137. 

  18. Chandola T, Brunner E, Marmot M. Chronic stress at work and the metabolic syndrome: prospective study. BMJ. 2006;332:521-525. 

  19. Ervin RB.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age,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 2006. Natl Health Stat Report. 2009;13:1-7. 

  20. Heraclides A, Chandola T, Witte DR, Brunner EJ. Psychosocial stress at work doubles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middle-aged women: evidence from the Whitehall II study. Diabetes Care. 2009;32(12): 2230-5. 

  21. Heraclides AM, Chandola T, Witte DR, Brunner EJ. Work stress, obesity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gender-specific bidirectional effect in the Whitehall II study. Wiley Online Library. 2013;13(1):33-45. 

  22. Kim EY, Kim JW. A Clinical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4;16(1):100-111.(Korean) 

  23. Chang JY, Kim KS, Kim BS. Study of on Academic Stress Response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of Oriental medicine College Student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3):77-88. 

  24. Moon SH, Sin SH, Kim HJ, Kim JY. A Relationship of the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y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2;12(4):51-60. (Korean) 

  25. Oh HW, Koh BH, Song IB, Lee EJ, LEE JH.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5;4(1);9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