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linical Decision-making on Job Satisfaction among Pediatric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Nurse-Parent Partnership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9 - 17  

신경숙 (경산세명병원 소아과병동)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pediatric nurses and to eluc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nurse-parent partnership on that relationshi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의사결정 능력 향상 및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을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그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의사결정 능력 향상 및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을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그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시작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임상의사결정 능력, 직무만족도,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간에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매개효과를 보기위한 회귀분석 결과 임상의사결정 능력은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에서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19%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아동병동 간호사가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을 매개변수로 하여 임상의사결정 능력을 발휘할 때 아동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 직무 만족도,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에서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핵심은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Soble test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의사결정 능력 향상 및 아동병동 간호사-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을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그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의사결정 능력이란 무엇인가? 의료기술의 발전과 간호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면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과학적인 지식과 간호 역량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 능력은 임상실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1]. 임상의사결정 능력이란 임상에서 간호사가 환자의 문제를 확인하고 최선의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는 인지과정으로써 환자 간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높은 수준의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 능력이다[2]. 특히 아동병동 간호사에게 있어 임상의사 결정 능력은 신생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의 정서적, 행동적 발달에 맞는 개별성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환아 간호에 필수적인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 간호사의 임상의사 결정 능력의 역할은 무엇인가? 선행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전문지식, 교육수준, 직위, 임상경험, 근무부서 등이 임상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5], 전문직 자율 성과 비판적 사고 성향, 직무만족도,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4,6]. 이러한 아동 간호사의 임상의사 결정 능력은 가족중심간호를 통해 환아와 가족이 바람직한 치료 과정을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있어 옹호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7]. 간호사 또한 임상현장에서 효율적인 임상의사결정 능력을 발휘하여 신중하게 문제를 대처할 때 간호업무에 대한 만족 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6].
아동 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위한 간호사의 태도는? 아동 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은 아동뿐 아니라 부모를 비롯한 가족까지 간호의 대상이 되므로 아동 간호사에게 환아 부모와의 협력과정을 능숙하게 처리하는 능력을 요구하고, 이를 통해 아동에게 보다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14]. 따라서 효율적인 파트너십이 일어나기 위해 아동병동 간호사는 아동과 부모에 대한 신뢰와 상호작용이 기초임을 인식하고 아동과 부모에게 긍정적인 태도로 접근해야 한다[15]. 환아 부모들은 아동 간호사로부터 최고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자신감 있는 간호를 제공받기 원하며, 이렇게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임상의사결정 능력이 높은 간호사는 환아 부모의 만족과 상호 신뢰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en SL, Hsu HY, Chang CF, Lin ECL. An exploration of the correlates of nurse practitioner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6;25(7-8):1016-1024. https://doi.org/10.1111/jocn.13136 

  2. Jenkins HM. A research tool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85;1(4):221-229. https://doi.org/10.1016/S8755-7223(85)80159-9 

  3. Hwang IJ. Clinical decision making patterns of pediatric nurse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2;15(1):20-32. 

  4. Lipstein EA, Brinkman WB, Fiks AG, Hendrix KS, Kryworuchko J, Miller VA, et al. An emerging field of research: Challenges in pediatric decision making. Society for Medical Decison Making. 2015; 35(3):403-408. https://doi.org/10.1177/0272989x14546901 

  5. Jung SC, Jung DY.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43-450.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43 

  6. Park SM, Kwon IG.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863-871. https://doi.org/10.4040/jkan.2007.37.6.863 

  7. Abraham M, Moretz JG. Implement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rt I--understanding the challenges. Pediatric Nursing. 2012;38(1):44-47. 

  8. Lichtenstein R. Measuring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ians in organized settings. Medical Care. 1984;22(1):56-68. 

  9.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14-23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14 

  10. Jeong E, Kwon IS.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as perceived by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44-252.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44 

  11. Corlett J, Twycross A. Negotiation of parental roles within familycentred car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10):1308-1316.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407.x 

  12. Choi MY, Kim JS.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76-184. https://doi.org/10.4094/chnr.2014.20.3.176 

  13. Wyatt J, Harrison M. Certified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Pediatric Nursing. 2010;36(4):205-208. 

  14. Coyne I, O'Neill C, Murphy M, Costello T, O'Shea R. What does family centred care mean to nurses and how do they think it could be enhanced in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12):2561-257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1.05768.x 

  15. Cho HR, Oh JN, Jung D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for hospitalized child.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5):131-140.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31 

  16. Giambra BK, Stiffler D, Broome ME. An integrative review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nurses of hospitalized technology-dependent children.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4;11(6):369-375. https://doi.org/10.1111/wvn.12065 

  17. Yoon HK, Choi J, Lee EY, Lee H, Park M.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58-667.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5.658 

  18. Hong E, Yang YJ.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36-243.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36 

  19. Lee SY, Lee MH, Kim HK, Park OL, Sung BJ. Effects of head nurses'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linical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5):552-560.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52 

  20. Baek M.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making in nursing scale of ET nurs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p. 1-73. 

  21. Song M.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nurses' task satisfaction factor and task satisfaction degree on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master's thesis]. Deagu: Keimyung University; 2005. p. 1-52. 

  22.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194-202. https://doi.org/10.4040/jkan.2013.43.2.194 

  2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4. Kim YS, Park J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ies, and job performance in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13-621.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5.613 

  25. Sung MH, Eum OB. Professional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2):274-281. 

  26. Jeong YH, Lee CS, Choe H, Park JY.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sion of nurses in the regional general hospita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 708-71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08 

  27. Lee MH, Kim JK.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70-479.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70 

  28. Cho EJ, Bang K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94-101. https://doi.org/10.4094/chnr.2013.19.2.94 

  29. Choi MY.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105-112. https://doi.org/10.4094/chnr.2014.20.2.105 

  30. Callery P, Milnes L.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asthma review consulta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11-12):1641-1650.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943.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